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윤석열의 1060일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시작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가장 빨리 뜨고, 가장 빨리 진’ 대통령 윤석열.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윤석열의 1060일’(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3) 시리즈입니다. 주요 국면마다 ‘정치인 윤석열’이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인간 윤석열'의 캐릭터는 그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담아 그의 집권기를 기록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상원아, 이제 어떻게 하냐.”
김용현(66) 전 국방부 장관이 국회가 12·3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가결한 직후인 2024년 12월 4일 새벽 노상원(63) 전 국군정보사령관에 전화를 걸어 한 말이다.

사실 김 전 장관에겐 이번과 똑같은 데자뷔 같은 위기의 순간이 11년 전에도 있었다. 2014년 3~4월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 때였다. 당시 김용현에게 노상원은 구세주 같은 해결사였다.

그해 3월 24일 파주에서 주민 신고로 추락한 북한 무인기가 발견된 게 발단이었다. 일주일 만인 같은 달 31일 백령도에 비슷한 무인기가 발견됐다. 지역 기무사와 국가정보원, 경찰 등 합동심문조 초동 조사에선 “별다른 대공 용의점이 없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고 사건은 유야무야 묻힐 뻔했다.

그런데 4월 3일 언론이 파주 무인기에 장착된 카메라가 청와대 1~2㎞ 상공에서 촬영한 본관, 비서동, 춘추관 건물 등 선명한 청와대 사진을 보도하면서 “청와대가 뚫렸다”는 논란으로 사건은 일파만파 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시 4월 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제 추정 무인기가 우리나라를 전방위로 정찰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 군 당국이 관련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던 것은 방공망, 지상정찰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사실상 공개 질타했기 때문이다.

당시 김용현은 수도인 청와대 방어를 책임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노상원은 청와대 경호실 군사관리관(육군 준장)이었다. 두 사람이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과 비서실 정책 장교로 근무하면서 친분을 맺었던 당시 직속 상관 박흥렬 전 육군참모총장이 이 사건 당시 경호실장이었다.

당시 고위 관계자는 그때 상황을 이렇게 회고했다.

“김용현은 박근혜 정부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수방사령관에 보임됐는데 이력에 치명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긴 거다. 당시 북한이 계속 미사일을 쏘고 핵실험을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외교안보 라인에선 긴장을 늦추지 말라는 경고가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 나오던 시점이었다. 북한 무인기에 청와대 상공이 뚫렸으니 박근혜 대통령이 그렇게 화를 낸 적 없을 정도로 안보실장을 박살 냈다. 왜냐하면 그 무인기 경로를 보면 청와대 방공망이 뚫린 거였으니.”

국가안보실장은 물론 당시 김관진 국방부 장관, 박흥렬 경호실장까지 문책당할 수 있는 위기 상황. 청와대 외곽 경비를 담당하는 김용현이 책임져야 할 상황이었다.

당시 국가안보실 지시로 국방부에서 ‘북 무인기 사태 원인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무인기가 북한 정찰기란 보고를 제대로 하지 않은 기무사로 책임을 돌리는 물밑 작업이 벌어졌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528

윤석열의 1060일-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尹, 자승 죽음 보고받자마자 “좌파나 간첩이 죽인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74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방송 막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한일관계 돌파 아이디어, 검사시절 압수물서 시작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이건 尹 대통령이 발표해야"… '대왕고래' 날린 어공 속삭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6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85 안철수, 경선 후보들에 尹탄핵 사과 제안 “탄핵의 강 넘어야” 랭크뉴스 2025.04.23
47584 [속보] 민주 “더 강한 내란특검법 재발의할 것” 랭크뉴스 2025.04.23
47583 [속보] 대법원, 24일 이재명 공직선거법 재판 전원합의체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82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사건 24일도 심리…속행 합의 랭크뉴스 2025.04.23
47581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내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80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79 대법원, 오는 24일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심 두 번째 회의 랭크뉴스 2025.04.23
47578 “황금연휴? 남 얘기” 무휴 운영 가맹점 62.7% 랭크뉴스 2025.04.23
47577 월드옥타 무역인 양성 국고지원 사업, '공짜 관광' 기회로 전락 랭크뉴스 2025.04.23
47576 [속보]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75 검찰, '오세훈 여론조사 대납' 전광삼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조사 랭크뉴스 2025.04.23
47574 인도 카슈미르 관광지서 총기 난사… 관광객 등 26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573 [단독] 미아역 마트 흉기 난동 남성, "의사가 해치려 해 겁이 나 흉기 휘둘러" 진술 랭크뉴스 2025.04.23
47572 [단독]기재부 예비비 증액에 “적정성 검토해야” 제동 건 기재위 전문위원 랭크뉴스 2025.04.23
47571 아시아나항공, 에어인천行 직원들 업무 공간 분리 랭크뉴스 2025.04.23
47570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근황 “제한된다는 얘기 하지 마라”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3
47569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외교무대 되나... 젤렌스키 "트럼프 만나길 기대" 랭크뉴스 2025.04.23
47568 트럼프, 中 협상 땐 "관세율 내려갈 것…제로는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7 마트 칼부림 살해범, 범행후 태연히 담배 피우며 통화 랭크뉴스 2025.04.23
47566 방한 땐 '소울' 탔던 프란치스코 교황…100달러만 남기고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