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윤석열의 1060일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시작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가장 빨리 뜨고, 가장 빨리 진’ 대통령 윤석열.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윤석열의 1060일’(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3) 시리즈입니다. 주요 국면마다 ‘정치인 윤석열’이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인간 윤석열'의 캐릭터는 그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담아 그의 집권기를 기록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상원아, 이제 어떻게 하냐.”
김용현(66) 전 국방부 장관이 국회가 12·3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가결한 직후인 2024년 12월 4일 새벽 노상원(63) 전 국군정보사령관에 전화를 걸어 한 말이다.

사실 김 전 장관에겐 이번과 똑같은 데자뷔 같은 위기의 순간이 11년 전에도 있었다. 2014년 3~4월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 때였다. 당시 김용현에게 노상원은 구세주 같은 해결사였다.

그해 3월 24일 파주에서 주민 신고로 추락한 북한 무인기가 발견된 게 발단이었다. 일주일 만인 같은 달 31일 백령도에 비슷한 무인기가 발견됐다. 지역 기무사와 국가정보원, 경찰 등 합동심문조 초동 조사에선 “별다른 대공 용의점이 없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고 사건은 유야무야 묻힐 뻔했다.

그런데 4월 3일 언론이 파주 무인기에 장착된 카메라가 청와대 1~2㎞ 상공에서 촬영한 본관, 비서동, 춘추관 건물 등 선명한 청와대 사진을 보도하면서 “청와대가 뚫렸다”는 논란으로 사건은 일파만파 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시 4월 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제 추정 무인기가 우리나라를 전방위로 정찰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 군 당국이 관련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던 것은 방공망, 지상정찰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사실상 공개 질타했기 때문이다.

당시 김용현은 수도인 청와대 방어를 책임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노상원은 청와대 경호실 군사관리관(육군 준장)이었다. 두 사람이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과 비서실 정책 장교로 근무하면서 친분을 맺었던 당시 직속 상관 박흥렬 전 육군참모총장이 이 사건 당시 경호실장이었다.

당시 고위 관계자는 그때 상황을 이렇게 회고했다.

“김용현은 박근혜 정부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수방사령관에 보임됐는데 이력에 치명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긴 거다. 당시 북한이 계속 미사일을 쏘고 핵실험을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외교안보 라인에선 긴장을 늦추지 말라는 경고가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 나오던 시점이었다. 북한 무인기에 청와대 상공이 뚫렸으니 박근혜 대통령이 그렇게 화를 낸 적 없을 정도로 안보실장을 박살 냈다. 왜냐하면 그 무인기 경로를 보면 청와대 방공망이 뚫린 거였으니.”

국가안보실장은 물론 당시 김관진 국방부 장관, 박흥렬 경호실장까지 문책당할 수 있는 위기 상황. 청와대 외곽 경비를 담당하는 김용현이 책임져야 할 상황이었다.

당시 국가안보실 지시로 국방부에서 ‘북 무인기 사태 원인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무인기가 북한 정찰기란 보고를 제대로 하지 않은 기무사로 책임을 돌리는 물밑 작업이 벌어졌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528

윤석열의 1060일-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尹, 자승 죽음 보고받자마자 “좌파나 간첩이 죽인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74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방송 막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한일관계 돌파 아이디어, 검사시절 압수물서 시작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이건 尹 대통령이 발표해야"… '대왕고래' 날린 어공 속삭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6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88 테슬라, 1분기 매출 전년대비 9% 감소…‘어닝 미스’ 랭크뉴스 2025.04.23
47487 [단독] 기재부, 계엄 당일 ‘사이버안보위협’에 예비비 1180억 배정···왜? 랭크뉴스 2025.04.23
47486 최상목 "韓 입장 적극 설명"…24일 美재무부서 '2+2 통상 협의' 랭크뉴스 2025.04.23
47485 [단독] 이재명, 강제동원-남북협력 모두 '전략적 모호성'... 3년 전 대선과는 다르다 랭크뉴스 2025.04.23
47484 김문수-홍준표에 맞선 한동훈-안철수, 탄핵 찬반 '표 결집' 총력전 랭크뉴스 2025.04.23
47483 미중 관세전쟁 여파…亞→북미 선복량 14% 급감[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23
47482 방미 최상목 “美관심 경청·韓입장 설명”…내일 오후 9시 2+2 회담 랭크뉴스 2025.04.23
47481 트럼프 정부서 北인권특사 또 공석…터너, 지난 1월 특사서 면직 랭크뉴스 2025.04.23
47480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국힘 4강 확정…"1~3위 초접전" 랭크뉴스 2025.04.23
47479 [교황 선종] 伊 최대일간지, 차기 교황 후보 12명에 유흥식 추기경 랭크뉴스 2025.04.23
47478 "우리 엄마 귀신 돼도, 일본 사과 받아낼 끼라"···'위안부'의 60대 아들은 울었다 랭크뉴스 2025.04.23
47477 도지코인 치니 김어준 떴다…유튜브 '악마의 알고리즘' 랭크뉴스 2025.04.23
47476 5월 2일 '임시공휴일' 될까"…"6일 쭉 쉬어보자" vs "내수 도움 안 돼" 랭크뉴스 2025.04.23
47475 최상목 “우리 입장 적극 설명할 것”…24일 美재무부서 ‘2+2 통상 협의’ 랭크뉴스 2025.04.23
47474 ECB 부총재 “유로, 수년 내 달러 대안 통화 지위 가능” 랭크뉴스 2025.04.23
47473 尹사저 인근 정치 현수막 덕지덕지… “치워달라” 민원 봇물 랭크뉴스 2025.04.23
47472 "한국은 미제의 전형적 식민지" SNS서 北 선전 반복한 50대…법원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23
47471 CNBC “베센트, 미-중 무역 갈등 아주 가까운 미래에 완화” 랭크뉴스 2025.04.23
47470 "한 알만 먹으면 체지방 싹 분해"…SNS 속 허위광고 무더기 적발 랭크뉴스 2025.04.23
47469 내달 유류세 인하폭 축소…휘발유 40원·경유 46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