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글, ‘끼워팔기’ 자진 시정 의사
韓 음원시장서 각 53%·27% 차지
업계, 고객 확보에 비용 경쟁 전망

유튜브 ‘끼워팔기’에 힘입어 음원 업계 1위 플랫폼으로 올라섰던 유튜브 뮤직이 당국의 철퇴를 맞고 후퇴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유튜브 뮤직이 확보했던 막대한 시장 수요가 쏟아져나올 가능성에 대비해 음원 업체들은 치열한 고객 확보전을 준비하는 모양새다. 정체에 가까웠던 음원 시장에 찾아온 오랜만의 지각 변동으로 고객 쟁탈전이 벌어지면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값에 음원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 동의의결 절차를 신청했다. 공정위는 유튜브가 프리미엄 상품을 팔면서 유튜브 뮤직도 함께 구독하도록 강매했다는 의혹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는데 유튜브 측이 이에 대해 자진 시정 의사를 밝힌 것이다.

유튜브는 영상 위주 상품인 ‘프리미엄’과 음원 위주 상품인 ‘뮤직’을 판매한다. 미국에서는 프리미엄 가격(월 13.99달러)이 뮤직(월 10.99달러)보다 21.4% 비싸지만 고객이 두 상품을 분리해 구독할 수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두 상품을 결합한 구독 상품만 단독으로 판매한다. 애플리케이션(앱) 트래픽 분석 업체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유튜브 뮤직의 국내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950만명 수준으로 유튜브(4700만여명)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유튜브의 경우 음원 이용률이 영상에 비해 훨씬 떨어지는 셈이다.

유튜브 프리미엄과 뮤직이 분리될 가능성이 커지자 음원 업계는 환호와 긴장이 뒤섞이는 분위기다. 우선 얼마만큼의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자들이 음원 시장으로 빠져나올지가 관건이다. 분리 구독이 가능한 미국에서 유튜브 뮤직이 차지하는 음원 시장 점유율은 8% 남짓이다. 나머지 시장은 애플뮤직, 스포티파이 등 음원 전문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4 음악 이용자 조사’ 보고서를 보면 한국에서는 음원 스트리밍 수단으로 유튜브(무료)와 유튜브 뮤직이 각각 53.0%, 26.8%를 차지하며 토종 업체들을 압도하고 있다. 유튜브 뮤직의 영향력이 미국 수준으로 낮아진다면 유튜브 뮤직이 확보한 950만여명의 MAU가 그대로 음원 업체 사정권에 들어오는 셈이다.

음원 업체들이 어떤 방식으로 신규 모객에 나설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기대되는 요소는 가격 인하다. 업체 간 가격 경쟁이 벌어진다면 소비자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음원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길이 생길 수 있다. 이날 기준 멜론·벅스·스포티파이의 스트리밍 이용권(30일권) 가격은 7900원으로 동일하다. 지니(8400원)·바이브(8000원) 등 소폭 차이가 있지만 사실상 대부분 업체가 키높이를 맞춘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정위가 유튜브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리든 각 음원 업체만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장기적으로 중요한 과제”라며 “단순히 음원만 판매하기보다는 빅데이터에 기반해 음악을 추천해주고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이는 등 방식으로 고객 로열티를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81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내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80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79 대법원, 오는 24일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심 두 번째 회의 랭크뉴스 2025.04.23
47578 “황금연휴? 남 얘기” 무휴 운영 가맹점 62.7% 랭크뉴스 2025.04.23
47577 월드옥타 무역인 양성 국고지원 사업, '공짜 관광' 기회로 전락 랭크뉴스 2025.04.23
47576 [속보]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75 검찰, '오세훈 여론조사 대납' 전광삼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조사 랭크뉴스 2025.04.23
47574 인도 카슈미르 관광지서 총기 난사… 관광객 등 26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573 [단독] 미아역 마트 흉기 난동 남성, "의사가 해치려 해 겁이 나 흉기 휘둘러" 진술 랭크뉴스 2025.04.23
47572 [단독]기재부 예비비 증액에 “적정성 검토해야” 제동 건 기재위 전문위원 랭크뉴스 2025.04.23
47571 아시아나항공, 에어인천行 직원들 업무 공간 분리 랭크뉴스 2025.04.23
47570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근황 “제한된다는 얘기 하지 마라”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3
47569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외교무대 되나... 젤렌스키 "트럼프 만나길 기대" 랭크뉴스 2025.04.23
47568 트럼프, 中 협상 땐 "관세율 내려갈 것…제로는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7 마트 칼부림 살해범, 범행후 태연히 담배 피우며 통화 랭크뉴스 2025.04.23
47566 방한 땐 '소울' 탔던 프란치스코 교황…100달러만 남기고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5 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안해" 랭크뉴스 2025.04.23
47564 머스크 “5월부터 경영 집중”…테슬라 주가, 시간외거래서 급등 랭크뉴스 2025.04.23
47563 강남서 테슬라 사이버 트럭 부순 난동범은 중국인 랭크뉴스 2025.04.23
47562 이재명이 ‘한덕수’를 말하지 않는 이유···측근 “그분에 관심없다”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