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재심 과정에서 1000억원 규모의 신용공여를 추가 제안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이는 신용등급 강등 사실을 2월 25일 통보 받기 전까지 알지 못했다는 MBK 측 주장의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MBK와 홈플러스 경영진이 신용등급 강등을 알면서도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팔았다며 투자자에게 중요 정보를 숨긴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가 있다고 판단, 검찰에 이첩한 상태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MBK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결정 직후인 지난 2월 말 재심을 요청하면서 1000억원 규모의 신용공여 제공 방안을 추가로 제안했다. RCPS 상환권 조건 변경에 이어 추가로 내놓은 신용 보강책이다. 홈플러스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라는 게 MBK 측 설명이다.
MBK는 홈플러스의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해 RCPS 상환권을 홈플러스에만 부여하는 방향으로 정관 변경을 추진했고, 2월 27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이를 통과시켰다. 이어 3월 초 재심을 청구하면서 1000억원 신용공여 계획을 밝히며 등급 복구를 시도한 것이다.
문제는 MBK가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했는지 여부를 둘러싼 MBK와 신용평가사의 입장 차이다. 한국기업평가를 포함한 신용평가사들은 2월 중순 기업설명회(IR) 미팅 과정에서 이미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을 명확히 전달했다고 주장한다.
반면 MBK는 강등 통보를 받은 2월 25일까지 등급 하락 가능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MBK 관계자는 “만약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사전에 통보 받았다면 정관 변경 등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을 택하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을 것”이라고 말했다.
MBK는 또 “IR 미팅 당시에는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에 대해 전혀 언질받은 바 없었고, 언질 받았다면 회사가 그렇게 중대한 사안을 간과했을 리 없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신용공여 제안 사실은 신용등급 유지를 위해 성실히 노력했다는 MBK 측 방어 논거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이번 사안을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판단하고 최근 검찰에 관련 내용을 통보한 상태다. 향후 검찰 수사는 MBK와 홈플러스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어느 시점에 인지했는지, 그리고 이를 투자자에게 알리지 않은 행위에 고의성이 있었는 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