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절차가 시작됐습니다.
검소했던 성품답게 장례 의식을 간소화하고, 마지막 안식처도 바티칸 밖으로 정했습니다.
교황은 무덤을 장식하지 말고, 묘비에 이름만 써달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먼저, 안다영 특파원의 보도를 보신 다음, 바티칸을 연결하겠습니다.
[리포트]
프란치스코 교황이 붉은 제의와 교황관을 착용하고 관에 안치됐습니다.
가지런히 모은 두 손에는 묵주를 둘렀습니다.
세 겹으로 된 삼중관을 썼던 과거 교황들과는 달리, 프란치스코 교황은 한 겹짜리 목관에 몸을 뉘었습니다.
장례 절차를 간소화하자는 생전 교황의 뜻에 따른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마지막 안식처도 성 베드로 성당이 아닌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을 선택했습니다.
바티칸 외부에 교황이 안장되는 건 100여 년 만입니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교황이 자주 방문하며 애정이 깊었던 곳으로, 일찌감치 안장지로 지목됐습니다.
[프란치스코/교황/2023년 12월 : "장소는 준비돼 있습니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에 묻히는 건 경건함이 많이 담긴 일이죠."]
교황은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한 무덤에 자신을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특히 무덤이 반드시 지하에 있어야 한다며 도표까지 첨부해 무덤의 위치를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묘비에는 이름만 써달라고 했습니다.
유언은 약 3년 전에 작성됐습니다.
교황은 유언에서 "나의 육신이 부활의 날을 기다리며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서 쉬게 되길 요청한다"고 썼는데, 그는 온 힘을 다해 부활절 축복을 전하고, 바로 다음 날 선종했습니다.
[앵커]
네, 안다영 특파원이 지금 바티칸 성베드로성당에 가 있습니다.
안다영 특파원! 아직 공식적으로 조문이 시작되지 않았는데도, 애도 인파가 많군요.
장례 일정도 나왔죠?
[리포트]
생전에 교황은 이곳 성베드로대성당 광장에서 매주 신자들을 만나고, 또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해 왔는데요.
교황의 그런 마지막 흔적을 찾으며 애도를 표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안젤로·다니엘라/이탈리아 여행객 : "(사랑을 많이 받으셨던 교황이었어요.) 요즘 시대에 적합한 분이셨어요."]
프란치스코 교황은 내일 이곳 성베드로 성당으로 운구됩니다.
이때부터 누구나 교황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할 수 있게 됩니다.
장례식은 이번 토요일로 정해졌습니다.
장례식엔 미국의 트럼프, 프랑스의 마크롱,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 등 세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교황이 남긴 유지, '평화와 화합의 뜻'을 기리게 됩니다.
차기 교황을 선출하는 절차도 함께 진행돼야 하는데, 앞으로 추기경단 회의에선 교황을 뽑는 비밀회의죠.
콘클라베 일정을 결정하고, 어떤 특징과 성향의 교황을 뽑을지 의견을 모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바티칸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촬영:김은정/영상편집:김대범 서삼현/그래픽:채상우/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