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2차 경선 4명 확정
安, 중도층 표심 확보하며 4강행
'尹결별' 손들어준 민심에 羅 꺾어
2차 경선서 韓과 표 분산 전망 속
"金·洪, 羅 지지층 흡수 1·2위 경합"
열기 식은 경선에 활기 불어넣을듯
安, 중도층 표심 확보하며 4강행
'尹결별' 손들어준 민심에 羅 꺾어
2차 경선서 韓과 표 분산 전망 속
"金·洪, 羅 지지층 흡수 1·2위 경합"
열기 식은 경선에 활기 불어넣을듯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민의힘이 22일 1차 경선을 통해 8명의 대선 주자를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가나다순) 예비후보 등 4명으로 압축했다. 정치권 안팎의 예상을 깨고 안 예비후보가 4강에 들며, 민심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에 힘을 실어준 모습이다. 다만 탄핵 찬성파(찬탄파)의 표가 분산되며 결국 당내 강성 지지층을 등에 업은 김·홍 예비후보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 방식으로 치러진 1차 경선 결과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등 4명의 예비후보가 2차 경선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나경원·양향자·유정복·이철우 예비후보는 탈락했다. 선관위는 경선 결과에 대한 지지율과 순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른바 ‘김한홍’ 3강이 1차 컷오프 문턱을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나 예비후보와 안 예비후보가 4위 자리를 놓고 막바지 쟁탈전을 벌였다. 정치권 내에서는 지지층·무당층의 응답만 반영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에 따라 당내 기반이 강한 나 예비후보의 ‘빅4’ 안착이 점쳐졌다. 그러나 안 예비후보가 1차 컷오프를 통과하는 예상 밖 선전을 거두며 향후 경선은 찬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반탄 주자들이 2명씩 있는 구도가 형성됐다.
이날 확정된 경선 대진표로 김·한·홍 ‘3강’ 후보들 사이 유불리는 명확하게 엇갈렸다. 대표적인 찬탄파인 한 예비후보로서는 자신과 함께 탄핵을 강하게 주장해온 안 예비후보와의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 두 후보의 핵심 지지층이 겹치는 상황에서 이들의 동반 ‘4강행’은 서로에게 악재라는 분석이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중도 확장성에 강점을 지닌 안 예비후보의 2차 경선 합류로 지지층이 겹치는 한 예비후보가 불리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김·홍 예비후보는 유리한 고지에 오르게 된다. 일관되게 ‘윤석열 사수’에 앞장섰던 나 예비후보가 중도 탈락하며 표 분산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또 반탄 3명 대 찬탄 1명이 맞붙어 한 예비후보의 존재감을 키워주기보다 동등한 대결로 가는 구도가 부담감이 덜하다. 특히 탄핵에 부정적인 당심을 50% 반영하는 2차 경선 룰도 반탄파에게 유리한 판세로 여겨진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여론조사상 김·홍·한 예비후보의 지지율이 백중세를 이루는데, 안 예비후보가 중도표를 가져가고, 나 예비후보의 강성표를 반탄 후보들이 흡수하면 김·홍 예비후보가 1~2등을 차지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도 “안 예비후보가 올라가면 보수세력이 위기감을 느끼고 결집해 김·홍 예비후보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찬탄파가 예상을 뛰어넘는 성적을 거둔 만큼 당원들도 본선 경쟁력을 감안해 전략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윤 전 대통령과의 결별’에 손을 들어준 민심에 따라 한 예비후보에게로 표심이 몰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여기에 보수 지지층 사이에 “현재 후보로는 이재명을 이길 수 없다”는 여론이 커지면서 이른바 ‘한덕수 차출론’도 더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창환 장안대 특임교수는 “반탄파 입장에서는 나 예비후보가 떨어져서 표 분산은 줄어들겠지만, 보수의 결집 축소로 위기감은 커질 것”이라며 “더 확장성 있는 후보로 가자는 분위기가 조성되면 경선 지형도가 급격히 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4강에 진출한 후보들은 앞다퉈 정책 공약을 쏟아내며 3차 경선 진출을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먼저 김 예비후보는 청년층 주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가 반값 월세존·1인형 아파트와 오피스텔 공급 확대·생활분리 세대공존형 주택 보급 등을 제시했다. 대학가 인근 원룸촌에 용적률·건폐율 기준을 완화해 월세를 반값으로 공급하고 공공주택의 10% 이상을 1인 가구 맞춤형으로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한 예비후보는 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에 5개의 서울을 만들겠다”며 ‘5대 메가폴리스’ 공약을 내놨다. 첨단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늘리고 교육 시설·교통 인프라 확대를 통해 정주 여건을 조성하는 메가폴리스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홍 예비후보는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를 찾아 김택우 의협 회장과 면담을 갖고 새 정부 출범 뒤 의정 갈등을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의협을 찾은 대선 주자는 홍 예비후보가 처음이다. 안 예비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의 공공의대 설립 공약을 직격하며 ‘이재명 대항마’를 자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