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10년 만에 음반 판매 감소
올해 ‘초동 100만장’ 4개 불과
지난 12일 중국 하이난 워터밤 행사에서 공연 중인 걸그룹 블랙스완. 최근 중국에서 케이(K)팝 가수들의 공연이 조금씩 열리고 있어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디알뮤직 제공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이대로 가면 대형 기획사 몇곳만 남고 중소 기획사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엄살이 아니다.”

최근 한겨레와 만난 한 중견 케이(K)팝 기획사 관계자의 말이다. 그는 지난해 말부터 업계에서 나오기 시작한 ‘케이팝 위기론’이 “올해 들어 현실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케이팝의 위기는 이미 지난해 10년 만에 처음 하락세로 돌아선 음반 판매량 감소로 입증되고 있다. 2023년 사상 최초로 1억장 판매를 돌파했던 케이팝 음반 판매량은 지난해 9300만장으로 약 19% 감소했다. 음반 판매는 기획사 전체 매출의 30~50%를 차지하는 절대적 지표다.

올해 상황은 지난해보다 더욱 심각하다. 지난 21일 한터차트 기준 초동(발매 뒤 일주일) 판매 100만장을 넘긴 음반은 4개에 불과하다. 200만장 넘긴 음반은 전무하다. 감소세를 보인 지난해에도 초동 판매 100만장 넘긴 음반 22개, 200만장 넘긴 음반 4개, 300만장 넘긴 음반 1개가 나왔다. 엄살이 아니라는 얘기가 괜히 나온 게 아니다.


‘빅 플레이어’의 부재가 첫번째 이유로 꼽힌다. 방탄소년단(BTS) 멤버들의 군복무로 인한 공백기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2022년에만 1천만장을 팔았던 그룹 세븐틴도 멤버의 입대와 함께 ‘군백기’에 접어들었다. 개별 멤버 활동에 치중하고 있는 블랙핑크도 당분간 새 앨범 소식이 없다.

임희윤 대중음악평론가는 “2020년 방탄소년단의 ‘다이너마이트’가 폭발적 인기를 끈 뒤 그 여파로 케이팝의 글로벌 인기가 지속되다 최근 들어 내리막길로 접어든 분위기가 감지된다”며 “이른바 빅 플레이어들의 부재를 메워줄 차세대 그룹들이 팬덤을 벗어난 대중적 확장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뉴진스 멤버들이 지난 3월7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어도어의 광고계약 체결금지 및 기획사 지위보전 가처분 사건 첫 심문기일에 참석한 뒤 법원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니, 민지, 혜인, 해린, 다니엘.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꼭 1년 전인 지난해 4월22일 민희진 당시 어도어 대표에 대한 감사 착수로 촉발된 하이브-민희진 갈등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법원의 가처분 인용 뒤 뉴진스의 활동 중단까지 이어지면서 상황은 더 안 좋아졌다. 임 평론가는 “큰 인기를 끌던 뉴진스의 활동 중단에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폭로된 ‘아이돌 내부 보고서 문건’까지 겹치며 케이팝 리딩 그룹인 하이브가 실적은 물론 이미지 타격까지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이런 부정적 영향이 하이브의 다른 그룹은 물론 산업 전반에까지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하이브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에 견줘 38% 감소하며, 2020년 상장 뒤 첫 연간 당기순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카카오에선 김범수 창업자를 포함한 주요 경영진이 에스엠(SM)엔터테인먼트 인수 관련 주가 조작 혐의로 현재 재판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에스엠, 스타쉽, 이담 등 케이팝 기획사를 많이 거느린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매각설까지 돌았다.

멤버들의 군복무가 시작된 그룹 세븐틴.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제공

대외적 요인으로는, 일본과 중국 판매 감소가 거론된다. 케이팝 앨범의 상당수가 공식 수출이 아닌 직구, 대리구매, 팬클럽 단체 구입 같은 형식으로 국외로 건너가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던 일본과 중국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한 기획사 관계자는 “일본에서 케이팝을 표방한 자국 아이돌이 속속 나오며 인기를 얻고 있고, 중국은 불경기에 한한령까지 겹쳐 음반 판매가 풀릴 기미가 안 보인다”며 “기획사들이 미국 시장에만 목맬 수밖에 없는 구조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 본토에서 8년 만에 한국 3인조 랩 그룹 ‘호미들’이 공연하는 등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커지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지금의 위기에 잘 대처해 케이팝이 지속가능한 모델로 정착하도록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김윤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음반 판매 감소는) 오히려 그동안 밀어내기 의혹까지 받으며 세계적으로 유독 높았던 케이팝 음반 판매의 거품이 빠지고 정상화되고 있는 과정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며 “공연과 아이피(IP) 매출 등을 끌어올려 균형을 맞춰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멤버들이 솔로 활동 중인 블랙핑크. 와이지(YG)엔터테인먼트 제공

장기적으로 음악적 콘셉트 변화를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임 평론가는 “비현실적인 비주얼을 앞세워 팬덤 위주로 성장했던 케이팝 산업이 이제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계가 명확해지고 있다”며 “방탄소년단 정국의 솔로 사례처럼 어떻게 하면 팝의 본고장인 영미권에서 인기를 얻을 수 있을지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27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주심에 박영재 대법관 랭크뉴스 2025.04.22
47126 등굣길 日초등생 흉기로 찔렀다…中 뒤집은 살인범 사형 집행 랭크뉴스 2025.04.22
47125 2년만에 SKT서도 대규모 해킹 사고…북한 소행 가능성도 제기 랭크뉴스 2025.04.22
47124 “교회, 극우·극좌 비성경적 정치 행위 멀리해야” 랭크뉴스 2025.04.22
47123 [교황 선종] '마지막' 직감한 듯…의사 경고에도 끝까지 대중 곁에 랭크뉴스 2025.04.22
47122 경기 남부서 ‘심야 드리프트’·…외국인들 낀 폭주단 검거 랭크뉴스 2025.04.22
47121 인천서 헤어진 여성 살해하고 달아난 50대 5시간 만에 검거 랭크뉴스 2025.04.22
47120 보수 오른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1천30만명 평균 20만원 토해낸다 랭크뉴스 2025.04.22
47119 트럼프 ‘파월 압박’에 뉴욕증시 출렁…기술주 줄줄이 하락 랭크뉴스 2025.04.22
47118 ‘미인증 바비큐 그릴 사용’ 더본코리아 협력업체 행정처분 랭크뉴스 2025.04.22
47117 안철수 "파면된 尹과의 지난 대선 단일화, 깊이 반성하고 사죄" 랭크뉴스 2025.04.22
47116 민주당, 정부 12조 추경안 “언 발에 오줌 누기…대폭 증액 추진” 랭크뉴스 2025.04.22
47115 [속보]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배당…주심 박영재 대법관 랭크뉴스 2025.04.22
47114 [속보]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상고심, 주심 박영재 대법관에 배당 랭크뉴스 2025.04.22
47113 첫 아시아 출신 교황 선출될까... '깜짝 후보' 유흥식 추기경 콘클라베 참가 랭크뉴스 2025.04.22
47112 [속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배당…주심 박영재 대법관 랭크뉴스 2025.04.22
47111 "제작진 교체하고 출연자 하차시켜"…방송 거물된 백종원, 이번엔 '갑질 의혹' 터졌다 랭크뉴스 2025.04.22
47110 "아이 안 낳는 여자 감옥 보내야"…여고 수업 중 남자 선생님 녹음 파일 들어보니 랭크뉴스 2025.04.22
47109 이재명 테마주로 코스피 5000?…포바이포 거래 재개되자 상한가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22
47108 [단독] 새마을금고, 앵커 출자 가능해져… 사모펀드에 ‘단비’ 랭크뉴스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