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플랫폼 외교'로 외교 채널 다변화해야
"美 방위비와 관세 문제 분리 대응할 것"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21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캠프 사무실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6·3 대선에 출마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21일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전환하고 윤석열 정부에서 폐기된 9·19 남북군사합의를 복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존의 남북 흡수통일전략이나 북한의 붕괴론을 대체할 평화공존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취지다. 북미관계를 두고 ‘한국 패싱’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내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강력한 주도권을 가지고 외교 관계를 재조정하는 상황에서 우리도 현실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는 취지다.

김 전 지사는 서울 영등포구 선거사무실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대선 출마 이유에 대해 "저는 '모두가 이기는 경선'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후보가 누가 되든 '민주당이 다음 정부를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겠구나'라는 확신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며 "여기에 역할이 주어진다면 마다하지 않는 것이 정치인의 도리이고 당원의 도리"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경선을 통해 제 비전과 정책을 알리고 지지를 호소하는 과정 자체로도 제게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 제기하는 '착한 2등' 전략과는 선을 그었다.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를 이길 자신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경선은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내가 1위가 되려면 또는 대통령이 되려면 어떻게 하겠습니다'를 가지고 국민들을 설득하는 과정"이라고 답했다. 2등을 전제로 경쟁에 임하지 않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외교안보 비전을 제시했다. 북미관계와 관련 "남한 패싱 얘기를 많이 하는데 그건 각자의 역할론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남북미 역할론'을 꺼냈다. 그는 "미국과는 늘 충분히 협의하되, 남한이 빠졌으니까 하지 마라 하면 안 된다"며 "북미 대화도 어느 단계에서는 반드시 한국의 역할이 필요한데, 한국은 그때 참여하면 된다"고 밝혔다.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한반도 운전자론'을 내세웠던 문재인 정부가 주도권을 잃어 '패싱' 지적을 받은 것에 대한 반박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 역대 최악으로 치달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신뢰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통일은 헌법적 명령에 의한 중장기적 과제로 두고 평화공존의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전환해 그 역할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양상에는 "'무조건 중국하고 다시 관계를 풀어야 돼' '미국으로 붙어야 돼' 이런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미국도 그렇게 하지 않고 사안별로 대응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외교의 프레임을 미중에 가두지 말고, 국민들에게 그 프레임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21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캠프 사무실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하면서 미소를 보이고 있다. 홍인기 기자


대신 외교 채널을 다변화하는 '플랫폼 외교'를 비전으로 내세웠다. 그는 "다양한 나라들과의 외교를 통해 우리의 레버리지를 확보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일본, 중국은 자본으로 개발도상국들을 지원한다면, 한국은 우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알려줄 수 있다"면서 "다른 강국들에 비해 지원금은 적지만 실질적으로 그 나라들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도와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한국이 일종의 '선진국으로 가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면서 우호국을 늘려 국제무대에서 힘을 키우자는 구상이다.

차기 정부의 당면한 과제인 방위비분담금 협상에 대해서는 "무역은 무역대로, 안보는 안보대로 분리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전 지사는 "트럼프 정부는 의외로 그런 점에 있어서는 합리적인 정부"라며 "합리적인 근거를 들이대면 협상 과정에서 그걸 무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거래하는 사람이 무조건 윽박을 지르지는 않지 않나"라면서 "얼마나 준비하고 협상을 해나가는가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71 "부자 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비트코인 '100만 달러' 외친 부자아빠 기요사키 랭크뉴스 2025.04.22
47070 수원 아파트서 '또' 모녀 추정 2명 숨진 채 발견…19일 만 랭크뉴스 2025.04.22
47069 “비문엔 이름만, 무덤은 단순하게”…교황 유언 공개 랭크뉴스 2025.04.22
47068 기후테크 창업한 70대 물리학 석학…“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내년 공개” 랭크뉴스 2025.04.22
47067 [속보]이재명 "2040년까지 석탄발전 폐쇄…전기차 보급 확대" 랭크뉴스 2025.04.22
47066 '층간 소음' 폭행 시비 전력‥자택서 유서 발견 랭크뉴스 2025.04.22
47065 [르포]“이재명밖에 없제” “국힘은 또 못 뽑지”…광주 표심 랭크뉴스 2025.04.22
47064 [고현곤 칼럼] 윤석열 실패에서 짚어볼 것들 랭크뉴스 2025.04.22
47063 ‘K팝 위기론’ 현실로…BTS∙세븐틴∙블랙핑크 복귀가 답? 랭크뉴스 2025.04.22
47062 이번엔 진짜…‘준(準)4군 체계’ 해병대사령관 4성 장군 자리 되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22
47061 김상욱 "국힘, 대선 전에 윤석열 제명해야... 안 되면 거취 고민" 랭크뉴스 2025.04.22
47060 미 증시 급락하자 비트코인 다시 급부상… 이달 들어 최고치 돌파 랭크뉴스 2025.04.22
47059 넷플릭스 예능 '대환장 기안장', 정확한 독도 표기로 화제 랭크뉴스 2025.04.22
47058 건강보험 적용되는데도 내 돈 썼다…뒤늦은 환불액 5년새 최대 랭크뉴스 2025.04.22
47057 정부, GPU 1만장 확보로 AI 뒷북 투자… 전문가 “활용 인력 못 키우면 무용지물” 랭크뉴스 2025.04.22
47056 조갑제 "실정에도 박수만 쳤던 보수 주류… 윤석열 실패의 공범"[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22
47055 교황과 ‘물과 기름 관계’였던 트럼프, 장례식엔 “참석하겠다” 랭크뉴스 2025.04.22
47054 나경원이면 한동훈 고립, 안철수면 2:2 구도···오늘 발표될 4등에 달려 랭크뉴스 2025.04.22
47053 車·鐵 1등기업 '원팀' 꾸리고 美관세·캐즘 파고 뛰어넘는다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2
47052 “장식 없이 단순하게, 로마 성당 지하에 묻어달라” 교황 유언 공개 랭크뉴스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