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관세청 4월 1~20일 수출입 현황
전체 수출액도 339억弗 5.2% 뚝
반도체 外 10대품목 모두 감소세
2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이 전년 대비 5% 넘게 감소했다. 이달부터 본격화한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전 세계 교역량이 급감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미국은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철강·알루미늄 등에 대해 25%의 품목관세를 물리고 있으며 반도체를 제외한 사실상 전 품목에는 10%의 기본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은 339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감소했다. 수입액 역시 340억 달러로 11.8% 줄었다.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0대 주요 수출 품목 중 아직 관세를 적용받지 않고 있는 반도체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들의 수출액이 모두 쪼그라들었다.

국가별로는 우리나라의 양대 수출 시장인 중국과 미국의 수출이 동반 감소했다. 이 기간 대중 수출은 3.4% 축소됐고 대미 수출은 14.3%나 줄었다. 미국이 쌓아올린 관세장벽이 대중 중간재 수출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4월 대미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기저 효과도 일정 수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보면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가 10.7%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주요 품목들의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가전제품(-29.9%)과 컴퓨터 주변 기기(-23.3%), 석유 제품(-22%), 선박(-9.1%), 철강 제품(-8.7%), 승용차(-6.5%) 등의 수출이 줄었다.

일평균 수출액은 21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 축소됐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하고 보더라도 수출 물량 자체가 감소 추세에 접어들었다는 뜻이다. 올해 우리나라 수출은 2~3월 반짝 상승세를 보였으나 주요 국가들이 관세 부과 전 사재기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반도체까지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감소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1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올들어 對中도 줄곧 하향 곡선 그려…양대 시장 동반추락



4월 들어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이 14% 넘게 감소하면서 미국발 경제 충격이 예상보다 커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JP모건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0%대까지 끌어내린 적은 있지만 실제 수치로 나타나는 ‘하드 데이터’에서 주요 지표가 꺾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대미 수출액은 6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3% 감소했다. 대미 수입액은 40억 달러로 10.1% 줄었다. 이 기간 대미 무역수지는 22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 정부는 그간 전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인 미국을 놓칠 수 없다며 수출은 유지하되 수입을 늘려 무역수지 흑자 폭을 줄여나가겠다는 입장이었다. 현실은 정반대다. 올 들어 매달 대미 수출이 감소하고 있지만 대미 무역수지 누적 흑자 규모는 지난해와 엇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중국 수출도 내리막을 타고 있다. 이달 1~20일 대중 수출은 66억 달러로 전년 대비 3.4% 줄었다. 월별 대중 수출 역시 올해 1~3월 석달째 감소세다. 우리나라의 양대 수출시장이 모두 위축되고 있는 셈이다. 그나마 유럽연합(13.8%)과 대만(22%), 인도(4.5%), 싱가포르(4.2%) 등에 대한 수출이 선전했지만 관세 부과를 앞두고 ‘사재기’성 수출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품목별 수출 실적에서도 관세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도체의 경우 아직 관세가 부과되지 않은 이달 들어 65억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면서 1년 전보다 10.7%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 고공 행진 역시 관세 부과 이전 재고를 쌓아두려는 수요가 폭발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관세 직격탄을 맞은 나머지 품목들은 일제히 수출이 줄었다. 25%의 품목관세가 적용되고 있는 승용차(-6.5%)와 철강(-8.7%)의 수출 실적이 급감했다. 석유제품(-22%)과 컴퓨터 주변 기기(-23.3%), 가전제품(-29.9%)도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다. 수출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때 대중국 봉쇄 작전에 따른 반사 이익을 기대하는 낙관론도 있었던 게 사실이나 이제는 그런 이야기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랫목(중국)에 냉기가 돌면 윗목(한국)은 몸살에 걸리게 된다는 의미다.

특히 한국의 경우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내수 시장이 미미한 데다 가계와 기업의 소비·투자심리도 잔뜩 얼어붙어 있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의 충격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1~3월)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역성장할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車·철강·가전 줄타격…"이대로면 기술적 침체 진입"



전 세계 주요 연구기관들도 경기 침체를 일제히 경고하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가 파이낸셜타임스(FT)와 공동으로 발표한 ‘세계경제 회복 추적지수(타이거지수)’는 4월 5.950을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연구진은 “세계적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고 보기는 시기상조”라면서도 “세계 무역의 붕괴와 정책 불확실성 증가는 분명히 성장을 억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2일(현지 시간) 세계 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성장률 전망치가 상당히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무역기구(WTO)도 올해 전 세계 상품 무역이 지난해보다 0.2%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10월 3.0% 증가를 전망했다가 미국의 관세정책 등을 반영해 반년 만에 대폭 수정한 것이다. 실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열흘 단위의 수출 속보치를 내놓고 있는 한국은 올해 110일간 누적 수출액이 1937억 달러로 1년 전보다 2.7% 감소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후폭풍이 본격적으로 몰아닥치는 2분기(4~6월) 한국 경제가 내수와 수출 동반 부진으로 기술적 경기 침체 국면에 해당하는 2개 분기 연속 역성장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온다. 곽노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글로벌 교역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경제 활력까지 떨어지면서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체가 쪼그라들 수도 있다”며 “당연히 경제성장률도 상당히 낮추게 되는 요인”이라고 부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58 건강보험 적용되는데도 내 돈 썼다…뒤늦은 환불액 5년새 최대 랭크뉴스 2025.04.22
47057 정부, GPU 1만장 확보로 AI 뒷북 투자… 전문가 “활용 인력 못 키우면 무용지물” 랭크뉴스 2025.04.22
47056 조갑제 "실정에도 박수만 쳤던 보수 주류… 윤석열 실패의 공범"[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22
47055 교황과 ‘물과 기름 관계’였던 트럼프, 장례식엔 “참석하겠다” 랭크뉴스 2025.04.22
47054 나경원이면 한동훈 고립, 안철수면 2:2 구도···오늘 발표될 4등에 달려 랭크뉴스 2025.04.22
47053 車·鐵 1등기업 '원팀' 꾸리고 美관세·캐즘 파고 뛰어넘는다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2
47052 “장식 없이 단순하게, 로마 성당 지하에 묻어달라” 교황 유언 공개 랭크뉴스 2025.04.22
47051 "장식없는 무덤, 묘비엔 이름만"…빈자의 성자, 유언도 검박했다 [교황 선종] 랭크뉴스 2025.04.22
47050 “소화기 값 물어내”…불 꺼준 시민에게 연락한 식당 사장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22
47049 한덕수 ‘저자세 외교’에 마늘협상 재현?…정부 안팎 한숨 랭크뉴스 2025.04.22
47048 장벽 높이는 유럽 방산… 한화에어로, 현지 생산에 속도 랭크뉴스 2025.04.22
47047 [사이테크+] 침팬지도 술파티?…"알코올 든 발효 과일 나눠 먹는 장편 포착" 랭크뉴스 2025.04.22
47046 ‘테슬라 5.8%,엔비디아 4.5%↓’ 뉴욕증시, 트럼프 ‘파월 때리기’ 급락 랭크뉴스 2025.04.22
47045 육아 위해 하루 쉬어보니…“숨통 트이고 살아가는 것 같아” 랭크뉴스 2025.04.22
47044 “뭘 뿌리는 거지?”…한밤중 구청 찾아온 남성의 정체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22
47043 아내와 '폭격 계획' 공유‥파문 확산 랭크뉴스 2025.04.22
47042 검찰, 김행 소환조사…'김진태 공천' 김여사 개입 의혹 수사 랭크뉴스 2025.04.22
47041 교황 88세로 선종‥"대성당 밖에 묻어달라" 랭크뉴스 2025.04.22
47040 [애니멀리포트] 침팬지 ‘술 파티’ 첫 포착…자연 발효 과일 나눠 먹어 랭크뉴스 2025.04.22
47039 "장식없는 무덤, 묘비엔 이름만"…빈자의 성자, 유언도 검박했다 랭크뉴스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