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 측 “위증하면 처벌”…수방사 1경비단장 “왜 그런 지시했나”
김형기 특전사 대대장, 윤 앞에서 “사람·조직에 충성 않는다”
윤석열, 재판 종료 전 “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 아냐” 6분 궤변
‘피고인’ 윤석열, 2차 공판서 첫 공개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417호 형사대법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두 번째 형사재판에 출석해 피고인석에 앉아 눈을 감은 채 재판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이날 ‘피고인 윤석열’의 모습이 언론을 통해 처음 공개됐다. 이준헌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불법계엄 사태 내란 우두머리 혐의 두 번째 재판에서 ‘국회에서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놓고 공방이 벌어졌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증인으로 나온 군 간부들의 증언에 대해 “가능한 지시인가”라고 반박하자 군 간부들은 “불가능한 작전인데 왜 지시했나”라고 맞받았다.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은 “저는 사람에도, 조직에도 충성하지 않는다. 국가와 국민에 충성하는 게 제 임무”라고 말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1차 공판에 이어 21일 2차 공판에서도 조성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1경비단장과 김 대대장 증인 신문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증언의 신빙성을 문제 삼았다. 조 단장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에게서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직접적·명시적으로 받았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그 지시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고 수차례 물었고, 조 단장은 “불가능한 작전인 줄 잘 알고 계시는데, 그런 지시를 왜 내렸는지 반문하고 싶다”며 반박했다.

윤 전 대통령 측 송진호 변호사는 “검찰 진술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의 증언, 이 법정의 진술이 모두 다르다. 진술을 번복한 것으로 보인다”며 “위증하면 처벌받는다”고 압박했다. 조 단장은 “이 전 사령관으로부터 지시를 받았다고 수차례 동일한 취지로 답변하는데, 변호인이 맥락에 따라 다르게 단어를 해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에도 송 변호사가 비슷한 질문을 이어가자 재판부는 “같은 질문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단장은 계엄 당일 상황에 대해 ‘이례적’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군에서 명령은 굉장히 중요하고 목숨을 바쳐 지켜야 할 중요한 가치다. 그러나 그 명령은 정당하고 합법적이어야 한다”며 “(의원 끌어내라는) 지시가 그랬나”라고 반문했다.

김 대대장은 검찰이 “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으로부터 ‘대통령님이 문 부숴서라도 끄집어내오래’라는 지시를 받았을 때 ‘이 지시가 대통령님의 지시구나’ 생각했나”라고 묻자 김 대대장은 “그렇다”고 답했다. 김 대대장은 “군 생활을 23년 하면서 과거나 지금이나 바뀌지 않은 게 있다.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라며 “저는 사람에도, 조직에도 충성하지 않는다. 국가와 국민에 충성하는 게 제 임무”라고 말했다. 과거 윤 전 대통령이 검사 시절 했던 말에 빗댄 것이다.

눈을 감고 듣기만 하던 윤 전 대통령은 재판이 끝나기 전 발언 기회를 얻어 “계엄령은 대통령에게 권한이 있는 법적 수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령이라는 건 어떻게 보면 칼과 같다. 요리도 할 수 있고 아픈 사람을 수술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협박이나 상해 등 범죄를 저지를 수도 있다”며 “칼을 썼다고 해서 무조건 살인이라는 식으로 보면 안 된다”고 했다. 첫 공판에서 12·3 불법계엄이 야당 등에게 경고하기 위한 ‘메시지 계엄’이었다고 주장한 것과 같은 취지다.

재판부는 윤 전 대통령 사건 공판기일을 오는 12월까지 모두 지정했다. 매달 3~4회가량 열 계획이다. 3차 공판은 내달 12일 열린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08 [속보]트럼프의 파월 해임 위협에 美증시 급락…다우존스 2.48%↓ 랭크뉴스 2025.04.22
47007 對美수출 14.3% 급감…관세쇼크 들여다보니[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22
47006 새 교황 뽑는 콘클라베…베드로 성당에 흰연기 피어나면 "선출" [교황 선종] 랭크뉴스 2025.04.22
47005 교황 사인은 뇌졸중 따른 심부전…바티칸 공식발표 랭크뉴스 2025.04.22
47004 일부만 명물, 대부분 애물…지자체 시티투어버스 어쩌나 랭크뉴스 2025.04.22
47003 헌 구두에 낡은 가방 들고…미사엔 위안부 할머니 초대 랭크뉴스 2025.04.22
47002 달러 가치 3년만에 최저…'파월 때리기'에 글로벌자금 美 탈출 랭크뉴스 2025.04.22
47001 "나 오늘 빵 들어가도 상관 없어"…만취로 난동 부린 60대 남성,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2
47000 [속보] 교황, 로마 성당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묻어달라 유언 랭크뉴스 2025.04.22
46999 수원 아파트서 모녀 추정 성인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2
46998 美 '실수추방' 정쟁 격화…野 추방국 항의방문에 백악관 맹비난 랭크뉴스 2025.04.22
46997 미 국방장관, 가족 채팅방에까지…후티 공습 기밀 정보 올렸다 랭크뉴스 2025.04.22
46996 선종 하루 전 “전쟁 끝내라”…방탄차도 마다한 빈자의 교황 랭크뉴스 2025.04.22
46995 강남·서초·송파·용산 재개발 입주권도 토허제 대상 랭크뉴스 2025.04.22
46994 ‘국힘 4강’ 나경원? 안철수?… 반탄·찬탄 경선판세 달렸다 랭크뉴스 2025.04.22
46993 "백악관, '기밀 부적절 공유' 국방장관 후임 물색"< 美매체 > 랭크뉴스 2025.04.22
46992 백악관 "편히 쉬시라"...노트르담 성당 88세 기려 88번 종 울렸다 랭크뉴스 2025.04.22
46991 트럼프 "파월은 '실패자'…금리 안 내리면 경기둔화" 또 압박 랭크뉴스 2025.04.22
46990 "발 빠짐 주의"…다치는 사고 가장 많은 서울 지하철 노선은 '여기' 랭크뉴스 2025.04.22
46989 현실이 된 관세폭탄…4월 대미 수출 14.3% 줄었다 랭크뉴스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