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고발 등 강경 방침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대표가 21일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에서 제62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시위를 벌이던 중 시위를 제지하던 서울교통공사 관계자와 충돌해 넘어져 있다. 연합뉴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1년을 기다렸지만 권리 보장에 진척이 없다”며 21일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했다. 서울시는 형사고발, 손해배상 청구 등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전장연은 21일 오전 8시부터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를 벌였다. 혜화역 승강장에는 ‘진짜 민주주의는 62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등이 적힌 현수막이 걸렸다. 전장연 활동가·시민 등 200여명이 승강장에 모였다. 서울교통공사 직원들은 방패를 들고 이들을 막아섰다. 오전 8시45분쯤 참가자 중 일부가 탑승을 시도하면서 경찰·공사 직원들과 몸싸움이 벌어졌다. 휠체어를 타고 있던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열차 입구 쪽에서 넘어졌다.
시위로 4호선 하행선 열차가 오전 9시2분부터 9시24분까지 무정차 통과했다. 4호선 오남역과 선바위역에서도 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가 열려 열차가 지연됐다. 이후 전장연과 공사 측이 질서 있게 지하철에 타기로 협의하면서 열차 운행은 재개됐다.
전장연은 “지난 1년간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에 진척이 없었기 때문에 출근길 시위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1년을 기다리며 장애인 권리를 보호하는 제도를 만들어달라고 국회에 얘기했지만 관련 법안을 한 건도 통과시키지 않았다”며 “우리는 다시 출근길에 지하철을 타겠다”고 말했다.
전장연이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에 나선 것은 지난해 4월8일 이후 1년여 만이다. 지난 1년간 전장연은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멈추고 승강장에 누워 장애인 권리 입법을 국회에 촉구하는 다이인(die-in) 시위를 했다.
SNS에서는 시위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왜 출근길에 바쁜 걸 알면서 일부러 방해하는 거냐”는 비판과 “휠체어 타고도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게 이동권을 보장하면 될 일”이라는 응원이 올라왔다.
서울시는 형사고발 및 손해배상 청구 등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서울시는 “금일 불법시위로 열차 지연 손실 약 2100만원뿐만 아니라 시위 대응 과정에서 직원 부상도 발생했다”며 “민원도 245건이나 접수됐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전장연의 지하철 탑승 시위와 관련해 교통방해 및 업무방해 등 혐의로 진행한 고소·고발은 총 11건이며 손해배상 청구 소송 등 민사소송은 5건 제기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