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잉 항공기 인도 말라" 정부 명령에
현지서 인도 기다리던 항공기 미국행
"미중 상호 관세에 보잉이 희생됐다"
19일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킹카운티 국제공항에 중국에서 돌아온 보잉 737 MAX 항공기가 착륙해 있다. 중국 샤먼항공의 도장을 입고 있다. 시애틀=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에서 항공사의 인도만을 기다리던 미국 보잉사의 항공기가 미국 본토로 되돌아온 것으로 20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보복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들에 '보잉사 항공기 인도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린 데 따른 결과다. 보잉이 미중 관세 전쟁의 첫 번째 희생양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항공사 도장 작업까지 마쳤는데...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샤먼항공이 인수할 예정이던 보잉 737 맥스 항공기가 전날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보잉 생산기지로 돌아왔다. 이 항공기는 중국 저장성 저우산에 위치한 보잉의 완성센터에서 인도 대기 중이던 항공기 중 1대였다. 샤먼항공의 도장까지 입힌 상태였으나, 항공사 품에 안기지 못하고 약 8,000㎞를 날아 시애틀로 되돌아왔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지난 12일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올린 직후 항공사들에 '미국산 항공기 인도 중단'을 명했다고 보도했다. 항공기뿐 아니라 관련 장비나 부품을 구매하는 것도 사실상 금지시켰다.

보잉이 중국 항공사들에 인도하기로 한 항공기는 이달 초 기준 10대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10대 중 일부는 시애틀에, 다른 일부는 저우산에 주기돼 있었다고 한다. 당초 관련 업계에서는 저우산에 있는 항공기들의 경우 인도 마무리 단계인 만큼 예외적으로 인도가 허용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1대가 결국 미국으로 되돌아오면서 10대 모두 인도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중국 지샹항공도 수 주 내 넘겨받을 예정이었던 1억2,000만 달러(약 1,700억 원)짜리 보잉 787-9 드림라이너 인수를 보류한 바 있다. 로이터는 "미중 간 상호 보복 관세 조치로 (보잉의 항공기가) 희생됐다"고 평했다.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의 로고. AFP 연합뉴스


"보잉 갈등, 미중 공멸시킬 수도"



이날 보잉 항공기의 미국 귀환은 중국 정부의 인도 중단 지시가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그와 같은 명령을 하지 않았더라도 "관세 부담만으로 미국산 항공기와 부품 가격이 2배 이상 오르며 중국 항공사들이 보잉 항공기를 인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졌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중국 시장을 잃는 것은 보잉에 치명적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발발한 미중 무역 갈등 이전까지만 해도 보잉이 생산하는 전체 항공기의 25%가 중국에 납품됐다. 중국 항공사들은 향후 20년간 전 세계 항공기 수요의 약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보잉과의 절연은 중국에도 만만찮은 타격이 될 것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이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외국 항공기 제조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 기업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코맥)에 수백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지원하고 있는데, 코맥이 만드는 항공기 부품 대부분이 미국 등 외국산이다. 중국 전문가인 스콧 케네디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 고문은 2020년 보고서에서 코맥의 대표 항공기 C919의 경우 핵심 부품 공급업체가 82곳인데 그중 중국 업체는 14곳뿐이라고 짚었다. WSJ는 "C919는 미국 기업들의 기술이 없으면 상용 운항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항공산업을 둘러싼 미중 무역 분쟁은 양국 모두 공멸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결과적으로 세계 항공기 시장에서 보잉과 양대산맥을 이루는 유럽의 에어버스만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66 2025년판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습니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65 ‘탄핵 요정’ 콜드플레이, 나경원을 대통령으로 추천했다고? 랭크뉴스 2025.04.21
46864 “너무 예뻐서 그만”… 인순이, 김종민 아내 얼굴 유출 사과 랭크뉴스 2025.04.21
46863 윗집과 층간소음 갈등 겪던 60대, 이사 후 다섯 달 만에 돌아와 불 질렀다 랭크뉴스 2025.04.21
46862 "태풍에도 멀쩡했는데" 화순 풍력발전기 전도…주민들 '공포' 랭크뉴스 2025.04.21
46861 [교황 선종] 유흥식 추기경도 차기 교황 후보군…한국, 47년만에 투표권 랭크뉴스 2025.04.21
46860 '흰 연기' 피어 오를 때까지... 차기 교황 뽑는 '콘클라베'는 어떻게? 랭크뉴스 2025.04.21
46859 특전대대장, 윤 전 대통령 앞에서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21
46858 국민의힘, 경선 희화화 비판에 전략 수정... ‘주먹이 운다’ 뺀다 랭크뉴스 2025.04.21
46857 겸손과 청빈 추구했던 '파더 호르헤'…부활절 다음날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1
46856 검찰, 김성훈 ‘국회 위증’ 혐의 고발 건 경찰에 이첩 거부 랭크뉴스 2025.04.21
46855 윤 전 대통령 “칼은 범죄도 요리도 가능”…“계엄은 가치중립” 정당성 강변 랭크뉴스 2025.04.21
46854 검찰, 김성훈 경호차장 위증 혐의 사건 경찰에 이첩 거부 랭크뉴스 2025.04.21
46853 '가난한자의 벗'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전쟁 끝내라' 남기고 떠났다(종합) 랭크뉴스 2025.04.21
46852 "전쟁 끝내라" 이 말 남기고 떠난 프란치스코 교황 랭크뉴스 2025.04.21
46851 교황의 마지막 메시지 “전쟁 끝내고 굶주린 이들 돕자”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50 "가임기 여성, 애 안 낳으면 감옥 가야"... 여고 교사 막말에 '발칵' 랭크뉴스 2025.04.21
46849 윤석열 “계엄령은 칼과 같아…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 아냐” 궤변 랭크뉴스 2025.04.21
46848 42살 어린 김다현 향해 수십차례 악플 쓴 50대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21
46847 [교황 선종] 교황의 '마지막 손님' 밴스 "어제 그를 만나 행복"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