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경선이 끝나기 전에 尹 대통령 제명 있어야”
“희망 사라지면 거취 고민할 것”
국민의힘 내 대표적인 ‘탄핵 찬성파’ 인사인 김상욱 의원이 21일 당 지도부를 향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즉각적인 제명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선 긋기를 약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요청을 거부할 경우 “거취를 고민할 것”이라며 국민의힘 탈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은 보수정당이기에 원칙을 지켜가는 데 있어 모범이 돼야 하고 철저해야 한다. 12·3 사태에 책임 있는 정당이기에 더욱 그래야만 한다. 하지만 대통령 파면 후 조기 대선 국면에서 당이 보인 모습은 이러한 원칙 준수와 거리가 멀었다”며 “그러나 지금의 모습은 지지자들에게 실망과 좌절을 안겨주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에 ▲윤 전 대통령 즉시 제명 ▲12·3 사태에 대한 진정한 대국민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경선에 참가하지 않은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추후 야합 없음에 대한 약속 ▲12·3 사태로 촉발된 시급한 민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추경의 조속한 합의 및 대책 제시 등을 요청했다.
김 의원은 “이번 대선을 임하는 우리 당의 시작은 대통령에 대한 제명이어야 한다. 또한 진심과 행동이 함께하는 당의 진정한 대국민 사과여야 한다”며 “대통령 제명과 진정어린 행동과 함께하는 대국민 사과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우리 당이 대선에서 어떠한 성과도 거둘 수 없다”고 짚었다.
한 대행에 대해서도 “한 대행이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 입당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국회의원들이 한 대행 총리의 대통령 선거 출마를 독려하고 우리 당에서 경선을 통과한 후보와 단일화하는 것을 전재해 둔 채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야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 대행의 출마는 본인의 자유”라며 “나온다면 무소속으로 끝까지 가야지,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한다면 우리 당의 경선 과정이 무슨 의미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김 후보는 “당내 경선이 끝나기 전에 (윤 전) 대통령 제명과 대국민 사과가 있어야만 우리 당 후보가 대선에서 선거를 치를 수 있다”며 당 지도부에 대선 경선이 끝나는 내달 3일 전까지 4가지 사안에 대한 답변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당이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탈당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조기 대선은 당이 건강한 보수 정치를 할 수 있을지, 아니면 이대로 극우적인 모습에 갇혀 족벌 정치 또는 무리의 정치 모습에 갇혀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을 찾지 못하게 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점”이라며 “당이 건강하게 돌아가는 희망이 사라지만 거취를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희망 사라지면 거취 고민할 것”
국민의힘 내 대표적인 ‘탄핵 찬성파’ 인사인 김상욱 의원이 21일 당 지도부를 향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즉각적인 제명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선 긋기를 약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요청을 거부할 경우 “거취를 고민할 것”이라며 국민의힘 탈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제424회국회(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산불 관련 현안질의를 하고 있다. /뉴스1
김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은 보수정당이기에 원칙을 지켜가는 데 있어 모범이 돼야 하고 철저해야 한다. 12·3 사태에 책임 있는 정당이기에 더욱 그래야만 한다. 하지만 대통령 파면 후 조기 대선 국면에서 당이 보인 모습은 이러한 원칙 준수와 거리가 멀었다”며 “그러나 지금의 모습은 지지자들에게 실망과 좌절을 안겨주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에 ▲윤 전 대통령 즉시 제명 ▲12·3 사태에 대한 진정한 대국민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경선에 참가하지 않은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추후 야합 없음에 대한 약속 ▲12·3 사태로 촉발된 시급한 민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추경의 조속한 합의 및 대책 제시 등을 요청했다.
김 의원은 “이번 대선을 임하는 우리 당의 시작은 대통령에 대한 제명이어야 한다. 또한 진심과 행동이 함께하는 당의 진정한 대국민 사과여야 한다”며 “대통령 제명과 진정어린 행동과 함께하는 대국민 사과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우리 당이 대선에서 어떠한 성과도 거둘 수 없다”고 짚었다.
한 대행에 대해서도 “한 대행이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 입당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국회의원들이 한 대행 총리의 대통령 선거 출마를 독려하고 우리 당에서 경선을 통과한 후보와 단일화하는 것을 전재해 둔 채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야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 대행의 출마는 본인의 자유”라며 “나온다면 무소속으로 끝까지 가야지,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한다면 우리 당의 경선 과정이 무슨 의미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김 후보는 “당내 경선이 끝나기 전에 (윤 전) 대통령 제명과 대국민 사과가 있어야만 우리 당 후보가 대선에서 선거를 치를 수 있다”며 당 지도부에 대선 경선이 끝나는 내달 3일 전까지 4가지 사안에 대한 답변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당이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탈당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조기 대선은 당이 건강한 보수 정치를 할 수 있을지, 아니면 이대로 극우적인 모습에 갇혀 족벌 정치 또는 무리의 정치 모습에 갇혀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을 찾지 못하게 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점”이라며 “당이 건강하게 돌아가는 희망이 사라지만 거취를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