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 시각)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는 (관세에) 진지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 선포 이후 많은 세계 지도자와 기업 경영자들이 관세 완화를 요청하러 나를 찾아왔다. 우리가 진지하다는 점을 세계가 알고 있는 건 좋은 일”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수십 년간의 (미국에 대한) 부당 행위를 바로잡아야 한다. 그러나 그들에게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위대한 우리나라의 부를 재건하고 진정한 상호주의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상대국에게 미국에 투자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가장 쉬운 길을 원하는 이들에게 할 말은 ‘미국으로 오라, 그리고 미국에 (생산시설을) 건설하라’이다”라고 했다.
또 무역 상대국이 그동안 미국을 상대로 취한 8개의 ‘비관세 부정행위’ 세부 사항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선 통화 조작(환율조작을 의미)을 들었고, 관세와 수출 보조금 역할을 하는 부가가치세, 원가보다 낮은 덤핑, 수출 보조금 및 정부 보조금 등을 적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 선포 이후 많은 세계 지도자와 기업 경영자들이 관세 완화를 요청하러 나를 찾아왔다. 우리가 진지하다는 점을 세계가 알고 있는 건 좋은 일”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수십 년간의 (미국에 대한) 부당 행위를 바로잡아야 한다. 그러나 그들에게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위대한 우리나라의 부를 재건하고 진정한 상호주의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상대국에게 미국에 투자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가장 쉬운 길을 원하는 이들에게 할 말은 ‘미국으로 오라, 그리고 미국에 (생산시설을) 건설하라’이다”라고 했다.
또 무역 상대국이 그동안 미국을 상대로 취한 8개의 ‘비관세 부정행위’ 세부 사항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선 통화 조작(환율조작을 의미)을 들었고, 관세와 수출 보조금 역할을 하는 부가가치세, 원가보다 낮은 덤핑, 수출 보조금 및 정부 보조금 등을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