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재부 “지난해 국회에서 예비비 너무 많이 깎여”
“통상 대응 위해 일반 예비비 증액”
‘쌈짓돈’을 재난·재해 명분 내세워 일부 원위치시켜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지난 15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기획재정부가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재해·재난 대응 관련 항목을 추가하면서 ‘쌈짓돈’처럼 꺼내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4000억원을 슬그머니 끼워넣은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재난·재해 추경에선 일반 예비비를 증액한 전례가 없다. 기재부는 ‘통상 현안 대응’을 위해 일반 예비비 증액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지난해 야당이 예비비를 대거 삭감하자 이를 일부 원위치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경향신문이 20일 추경안을 분석한 결과, 정부가 발표한 재해·재낸 대응 관련 예비비(1조4000억원)에는 재해·재난 등으로 쓰임새가 한정된 ‘목적 예비비’ 1조원뿐 아니라 정부가 아무데나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4000억원이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기재부는 지난 17일 추경 사전 브리핑에서 재난재해 예비비 총액만 밝혔다.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은 “산불 추가 복구 소요와 여름철 태풍·집중호우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 예비비를 1조4000억원 담았다”고 말했다.

과거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재해·재난 추경안을 보면, 정부가 재해·재난 대응을 위한 추경에 ‘목적 예비비’가 아닌 ‘일반 예비비’ 증액을 끼워 넣은 전례가 없었다.

이제까지 정부가 재해·재난 추경을 편성한 경우는 세 번이었다. 2002년 태풍 루사 추경에서는 총 4조1000억원 중 3조6000억원을, 2003년 태풍 매미 추경에서는 추경 3조원 전액을 ‘재해대책 목적 예비비’로 편성했다. 2006년 태풍 에위니아 추경에선 총 2조2000억 중 3000억원을 재해대책을 위한 ‘목적 예비비’로 꾸렸다. 이 중 일반 예비비 증액안은 한 번도 없었다.

목적 예비비는 재해·재난 등 사용처가 정해진 것과는 달리, 일반 예비비는 사용처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일반 예비비를 증액하면 기재부가 쌈짓돈처럼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예산안에서 기재부의 예비비가 많이 삭감돼 이를 재난·재해 명분을 앞세워 복원시킨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예산안에서 예비비 4조8000억원 중 2조4000억원을 일방 삭감했다. 당시 민주당은 정부가 국가의 비상금인 예비비를 대통령 해외순방비용, 대통령실 용산 이전 비용 등으로 끌어다 쓴 것을 문제 삼으면서 예비비를 특수활동비와 함께 대폭 삭감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경제안보 시대라 정상외교는 필수”라며 예비비 증액이 필요하다고 말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기재부는 재해·재난뿐 아니라 통상 현안 대응 용도라고 뒤늦게 설명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지난해 국회에서 일반 예비비가 너무 많이 깎여 예비비 여력이 없다”며 “올해 통상 이슈에 대응해야 하는데 목적 예비비를 통상 대응 용도로 쓸 수 없어서 일반 예비비를 증액했다”고 말했다.

류덕현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재부가 일반 예비비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으면 대놓고 ‘이러이러한 이유로 예비비를 올려 편성하겠다’고 알렸어야 한다”며 “재난이 아닌 곳에 돌려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증액안을 재난·재해 대책 추경 항목에 슬그머니 끼워넣은 것은 당당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기획재정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보도자료. 재해·재난 대응 항목에 예비비 1조4000억원이 집계돼 있다. 예비비 1조4000억원에는 목적예비비 1조원과 일반 예비비 4000억원이 포함된다. 기재부 제공.


[단독]기재부 “대통령 집무실 이전 예비비 내역 공개 곤란”···감시 사각지대 놓인 국가예산 360억정부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쓰일 예비비 360억원의 세부 내역을 공개할 수 없다고 밝힌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헌법과 국가재정법 규정에 따라 내년에 국회에 제출한다는 입장으로, 정부가 법 조항을 임의로 해석해 내역 공개를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하는 핵심 사업에 대한 예산 감시가 사각지대에 놓인 셈이다. 이...https://www.khan.co.kr/article/202204141640001

세수 56조 펑크 났는데···대통령실 순방비·용산 이전비 예비비로 끌어다 썼다국회가 다음 주부터 2023년도 결산 심사에 돌입한다. 지난해 56조원 넘는 역대급 세수결손에 대한 정부의 ‘땜질식’ 대응 논란이 도마 위에 오를 예정이다. 정부가 비상시에 제한적으로 써야 할 예비비를 쌈짓돈처럼 활용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국회 예산안 심사를 우회해 대통령 해외순방비 등 정상외교 비용, 대통령실 용산 이전 관련 비용, 특...https://www.khan.co.kr/article/202408211100001

예비비 6000억 증액 묻자···최상목 “경제안보 시대라 정상외교 필수”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내년도 예산안에서 예비비를 올해보다 6000억원 증액한 이유에 대해 “경제 안보의 시대이기 때문에 정상외교가 필수적인 요소가 됐다”고 밝혔다. 예비비를 대통령 정상외교에 활용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정부가 세수결손을 이유로 지방교부세를 삭감하는 등 ‘허리띠 졸라매기’를 강요해놓고 예비비만 증액한다는 우...https://www.khan.co.kr/article/202411061636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07 안먹어본 사람 없다더니…전세계 '피스타치오' 씨 말린 이것 [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4.21
46606 “중국 유학생은 100% 잠재적 간첩”···‘허위·혐오’ 현수막 방치, 이대로 괜찮나 랭크뉴스 2025.04.21
46605 [아프리카는] (36)6·25전쟁 참전한 에티오피아와 남아공 랭크뉴스 2025.04.21
46604 [김호기 칼럼] 2025년 대선의 시대정신 랭크뉴스 2025.04.21
46603 “문과 X들 다 해 먹는 나라, 탈조선해라” 발언 이국종, 국방부에 사과 랭크뉴스 2025.04.21
46602 이재명 50% 첫 돌파…김문수 12.2%, 한동훈 8.5%, 홍준표 7.5%[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21
46601 운동회 100m 압도적 1위 학부모…알고 보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600 “실제 상황 입니다”…설산 구조 훈련 중 빙하 와르르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599 이재명, 네거티브엔 무대응·공개일정 최소화…‘스텔스 전략’ 왜? 랭크뉴스 2025.04.21
46598 ‘강·서·송·용’ 다 있네…대선후보가 보유한 아파트 시세는 얼마?[대선후보 부동산②] 랭크뉴스 2025.04.21
46597 [단독] 건진법사, '尹핵관' 윤한홍과 60번 통화... "내가 이 정도도 안 되나" 항의 랭크뉴스 2025.04.21
46596 [현장] “불탄 나무들 휘떡휘떡 넘어져…비 오면 산사태 겁나” 랭크뉴스 2025.04.21
46595 이랜드리테일, 뉴코아 인천논현점 6월 폐점 검토... “아웃렛도 양극화” 랭크뉴스 2025.04.21
46594 [단독] 사람과 자연 공존하는 땅 전국 ‘1만2337㎢’…공존지역 태양광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치 넘는다 랭크뉴스 2025.04.21
46593 “한 뙈기라도 더!”…최대 간척지 새만금 고지전, 실탄은 어디서? 랭크뉴스 2025.04.21
46592 애플 팀 쿡이 나이키 경영도 챙기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21
46591 후보가 "같이 나라 말아먹자"…초유의 딥페이크 대선 전쟁 랭크뉴스 2025.04.21
46590 "이래서 강남강남 하는구나"…강남구 씀씀이 3년뒤 2조↑[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4.21
46589 필리핀서 오토바이 강도에 한국인 관광객 피살 랭크뉴스 2025.04.21
46588 보릿고개에 트럼프 리스크 겹친 韓 배터리…국내외 투자 속도조절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