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재부 “지난해 국회에서 예비비 너무 많이 깎여”
“통상 대응 위해 일반 예비비 증액”
‘쌈짓돈’을 재난·재해 명분 내세워 일부 원위치시켜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지난 15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기획재정부가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재해·재난 대응 관련 항목을 추가하면서 ‘쌈짓돈’처럼 꺼내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4000억원을 슬그머니 끼워넣은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재난·재해 추경에선 일반 예비비를 증액한 전례가 없다. 기재부는 ‘통상 현안 대응’을 위해 일반 예비비 증액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지난해 야당이 예비비를 대거 삭감하자 이를 일부 원위치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경향신문이 20일 추경안을 분석한 결과, 정부가 발표한 재해·재낸 대응 관련 예비비(1조4000억원)에는 재해·재난 등으로 쓰임새가 한정된 ‘목적 예비비’ 1조원뿐 아니라 정부가 아무데나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4000억원이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기재부는 지난 17일 추경 사전 브리핑에서 재난재해 예비비 총액만 밝혔다.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은 “산불 추가 복구 소요와 여름철 태풍·집중호우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 예비비를 1조4000억원 담았다”고 말했다.

과거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재해·재난 추경안을 보면, 정부가 재해·재난 대응을 위한 추경에 ‘목적 예비비’가 아닌 ‘일반 예비비’ 증액을 끼워 넣은 전례가 없었다.

이제까지 정부가 재해·재난 추경을 편성한 경우는 세 번이었다. 2002년 태풍 루사 추경에서는 총 4조1000억원 중 3조6000억원을, 2003년 태풍 매미 추경에서는 추경 3조원 전액을 ‘재해대책 목적 예비비’로 편성했다. 2006년 태풍 에위니아 추경에선 총 2조2000억 중 3000억원을 재해대책을 위한 ‘목적 예비비’로 꾸렸다. 이 중 일반 예비비 증액안은 한 번도 없었다.

목적 예비비는 재해·재난 등 사용처가 정해진 것과는 달리, 일반 예비비는 사용처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일반 예비비를 증액하면 기재부가 쌈짓돈처럼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예산안에서 기재부의 예비비가 많이 삭감돼 이를 재난·재해 명분을 앞세워 복원시킨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예산안에서 예비비 4조8000억원 중 2조4000억원을 일방 삭감했다. 당시 민주당은 정부가 국가의 비상금인 예비비를 대통령 해외순방비용, 대통령실 용산 이전 비용 등으로 끌어다 쓴 것을 문제 삼으면서 예비비를 특수활동비와 함께 대폭 삭감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경제안보 시대라 정상외교는 필수”라며 예비비 증액이 필요하다고 말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기재부는 재해·재난뿐 아니라 통상 현안 대응 용도라고 뒤늦게 설명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지난해 국회에서 일반 예비비가 너무 많이 깎여 예비비 여력이 없다”며 “올해 통상 이슈에 대응해야 하는데 목적 예비비를 통상 대응 용도로 쓸 수 없어서 일반 예비비를 증액했다”고 말했다.

류덕현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재부가 일반 예비비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으면 대놓고 ‘이러이러한 이유로 예비비를 올려 편성하겠다’고 알렸어야 한다”며 “재난이 아닌 곳에 돌려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증액안을 재난·재해 대책 추경 항목에 슬그머니 끼워넣은 것은 당당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기획재정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보도자료. 재해·재난 대응 항목에 예비비 1조4000억원이 집계돼 있다. 예비비 1조4000억원에는 목적예비비 1조원과 일반 예비비 4000억원이 포함된다. 기재부 제공.


[단독]기재부 “대통령 집무실 이전 예비비 내역 공개 곤란”···감시 사각지대 놓인 국가예산 360억정부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쓰일 예비비 360억원의 세부 내역을 공개할 수 없다고 밝힌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헌법과 국가재정법 규정에 따라 내년에 국회에 제출한다는 입장으로, 정부가 법 조항을 임의로 해석해 내역 공개를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하는 핵심 사업에 대한 예산 감시가 사각지대에 놓인 셈이다. 이...https://www.khan.co.kr/article/202204141640001

세수 56조 펑크 났는데···대통령실 순방비·용산 이전비 예비비로 끌어다 썼다국회가 다음 주부터 2023년도 결산 심사에 돌입한다. 지난해 56조원 넘는 역대급 세수결손에 대한 정부의 ‘땜질식’ 대응 논란이 도마 위에 오를 예정이다. 정부가 비상시에 제한적으로 써야 할 예비비를 쌈짓돈처럼 활용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국회 예산안 심사를 우회해 대통령 해외순방비 등 정상외교 비용, 대통령실 용산 이전 관련 비용, 특...https://www.khan.co.kr/article/202408211100001

예비비 6000억 증액 묻자···최상목 “경제안보 시대라 정상외교 필수”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내년도 예산안에서 예비비를 올해보다 6000억원 증액한 이유에 대해 “경제 안보의 시대이기 때문에 정상외교가 필수적인 요소가 됐다”고 밝혔다. 예비비를 대통령 정상외교에 활용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정부가 세수결손을 이유로 지방교부세를 삭감하는 등 ‘허리띠 졸라매기’를 강요해놓고 예비비만 증액한다는 우...https://www.khan.co.kr/article/202411061636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80 日 쌀값 폭등에… 한국 35년 만에 쌀 최대 수출 랭크뉴스 2025.04.21
46679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랭크뉴스 2025.04.21
46678 [속보]농약살포기 방화 용의자 60대 남성, 현장서 사망한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1
46677 [속보] 韓대행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 개최” 랭크뉴스 2025.04.21
46676 [속보] 서울 봉천동 아파트 불, 1명 사망…“농약 살포기 방화 추정” 랭크뉴스 2025.04.21
46675 [속보] 농약살포기 방화 용의자 60대 남성, 현장에서 사망한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1
46674 [속보] 이재명 “韓 증시, 가치 없는 종목 너무 많아… 솎아내야" 랭크뉴스 2025.04.21
46673 [단독] 이창용 한은 총재 굿즈 나온다…"총재 넥타이 5월 판매 예정" 랭크뉴스 2025.04.21
46672 [속보] 한덕수 "24일 저녁 9시 한미 2+2 통상협의 개최" 랭크뉴스 2025.04.21
46671 [속보] 경찰,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관련 3명 입건 랭크뉴스 2025.04.21
46670 [속보]尹, 피고인석 앉은 모습 공개…플래시 세례에 담담한 표정 랭크뉴스 2025.04.21
46669 압구정·목동 재건축, 매물 품귀에 전셋값 뛰었다 랭크뉴스 2025.04.21
46668 봉천동 화재, 화염방사 방화 추정…1명 사망·11명 부상(종합) 랭크뉴스 2025.04.21
46667 서울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 화재 1명 사망·6명 부상‥농약살포기로 방화 추정 랭크뉴스 2025.04.21
46666 [속보] 한덕수 대행 “산업장관, 오늘 국회 예방해 대미 협상 계획 설명” 랭크뉴스 2025.04.21
46665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로 1명 사망·2명 추락… 농약살포기로 방화 추정 랭크뉴스 2025.04.21
46664 李 “코리아 디스카운트 없애 코스피 5000시대 열 것” 랭크뉴스 2025.04.21
46663 [속보] 韓대행 "24일 밤 9시 한미 2+2 통상협의 개최" 랭크뉴스 2025.04.21
46662 [속보]서울 봉천동 아파트서 농약살포기 추정 방화···2명 추락·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661 [속보] 경찰 "봉천동 아파트 방화 도구 농약살포기 추정"… 1명 사망, 6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