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달러·엔 142엔대… 작년 8월 ‘블랙먼데이’ 수준 하회
글로벌 弱달러 심화… 대체 안전자산인 엔화 급부상
BOJ 금리인상·관세 불확실성, 엔화 강세 자극할 듯
“엔캐리 청산 가능성은 낮지만… 자금흐름 유의해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투자자금이 엔화로 쏠리고 있다. 안전자산인 달러의 지위가 흔들리면서 대체 투자자산인 엔화가 부상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달러·엔 142엔대로 ‘뚝’… 작년 9월 이후 최저
21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지난 18일 달러·엔 환율은 142엔대를 기록하며 작년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은행이 깜짝 금리 인상을 단행해 전 세계적으로 위험선호 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던 작년 8월 초(146엔대)보다 낮은 수치다.

그래픽=손민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변덕스러운 관세정책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인 영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최소 10%, 최대 34%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부과했는데, 단 하루 만에 중국을 제외한 57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했다. 이후 일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도 유예하는 등 정책을 가파르게 선회하고 있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이날 오후 3시 2분 기준 99.40을 기록하면서 지난 11일부터 6거래일째 99선을 유지하고 있다. 달러지수가 100을 밑돈 것은 지난 2022년 4월 이후 3년여 만이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달러를 대체할 안전자산인 엔화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엔화 투기적 순포지션은 지난 12일 기준 12만1800계약 순매수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엔화 강세에 달러 등 기타통화 자산을 팔고 엔화를 매수한 투자자들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일본은행의 정책 변화도 글로벌 투자자금 끌어모으고 있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최근 “현재 실질금리가 매우 낮다”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재차 시사했다. 시장은 일본은행이 오는 6~7월 중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인상은 통화가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엔화 강세를 더욱 자극한다.

“연초부터 엔화 매수세 지속… 블랙먼데이 재현 가능성 작아"
다만 당장의 시장 충격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작년 8월에 불거졌던 예기치 못한 급락 사태, 이른바 ‘엔캐리 청산발(發) 블랙먼데이’가 재현될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당시 엔화 강세를 예상하지 못했던 투자자들이 엔화를 급격히 매수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였지만, 이번에는 시장이 적극적으로 엔화를 매수해 왔다는 점에서다.

지난 7일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환전소에 엔화 거래 시세가 표시돼있다. /연합뉴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7~8월에는 일본의 예상치 못한 금리 인상과 미국의 경제 침체 우려로 엔화가 급격히 강세를 보였는데, 지금은 연초부터 시작된 엔화 강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라면서 “달러 등 고금리 통화에 투자하는 일본계 자금이 이전보다 청산되긴 했지만, 그 속도가 빠르지 않아 시장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라고 했다.

박수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엔화가 세지면서 엔화 선물 순매수가 많이 늘었지만, 이를 포함한 전체 엔 캐리 트레이드 규모가 크게 작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해외에 투자하는 일본계 자금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됐다면 시장에서 대규모 자본이 유출되는 움직임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출렁임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안심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본의 금리 인상 기조가 본격화되면 글로벌 은행의 엔화 대출 규모가 줄어들고, 일본 투자자들의 해외증권 투자금이 본국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서다. 실제로 글로벌 투자자금이 일본으로 쏠릴 경우, 신흥국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이탈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작년 8월 한국은행 국제국이 발표한 ‘엔캐리 트레이드 수익률 변화와 청산 가능 규모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전체 엔캐리 자금 잔액은 506조6000억엔(3조4000억달러·4708조원)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이 중 6.5%인 32조7000억엔(약 304조원)을 청산 가능 규모로 분석했었다. 만약 이 금액이 대거 청산된다면 신흥국 통화나 증시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당장은 엔 캐리 트레이드가 급격하게 청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시장의 시각”이라고 했다. 다만 그는 “일본의 금리정책이나 해외 자산의 투자 수익률 등에 따라 엔 캐리 트레이드가 움직일 것”이라면서 “앞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유의해서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13 “문과X들 다 해 먹는 나라, 탈조선해라”… 이국종, ‘과격 발언’ 국방부에 사과 랭크뉴스 2025.04.21
46612 尹 ‘내란 혐의’ 2차 공판 오늘 오전 10시 랭크뉴스 2025.04.21
46611 시간 더 달라 한 증권사, 엄살떨지 말라 한 당국… 결과는 잦은 거래 오류 랭크뉴스 2025.04.21
46610 링 앞에 선 한덕수 파괴력은?... '지지율 낮고 확장성 물음표', '통상 성과 내면 바람' 랭크뉴스 2025.04.21
46609 ‘또 필리핀’…한국인 관광객, 강도 총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608 트럼프 “관세에 진지… 진정한 상호주의 구축해야” 랭크뉴스 2025.04.21
46607 안먹어본 사람 없다더니…전세계 '피스타치오' 씨 말린 이것 [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4.21
46606 “중국 유학생은 100% 잠재적 간첩”···‘허위·혐오’ 현수막 방치, 이대로 괜찮나 랭크뉴스 2025.04.21
46605 [아프리카는] (36)6·25전쟁 참전한 에티오피아와 남아공 랭크뉴스 2025.04.21
46604 [김호기 칼럼] 2025년 대선의 시대정신 랭크뉴스 2025.04.21
46603 “문과 X들 다 해 먹는 나라, 탈조선해라” 발언 이국종, 국방부에 사과 랭크뉴스 2025.04.21
46602 이재명 50% 첫 돌파…김문수 12.2%, 한동훈 8.5%, 홍준표 7.5%[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21
46601 운동회 100m 압도적 1위 학부모…알고 보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600 “실제 상황 입니다”…설산 구조 훈련 중 빙하 와르르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599 이재명, 네거티브엔 무대응·공개일정 최소화…‘스텔스 전략’ 왜? 랭크뉴스 2025.04.21
46598 ‘강·서·송·용’ 다 있네…대선후보가 보유한 아파트 시세는 얼마?[대선후보 부동산②] 랭크뉴스 2025.04.21
46597 [단독] 건진법사, '尹핵관' 윤한홍과 60번 통화... "내가 이 정도도 안 되나" 항의 랭크뉴스 2025.04.21
46596 [현장] “불탄 나무들 휘떡휘떡 넘어져…비 오면 산사태 겁나” 랭크뉴스 2025.04.21
46595 이랜드리테일, 뉴코아 인천논현점 6월 폐점 검토... “아웃렛도 양극화” 랭크뉴스 2025.04.21
46594 [단독] 사람과 자연 공존하는 땅 전국 ‘1만2337㎢’…공존지역 태양광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치 넘는다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