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12 쿠데타와 5·18 민주화운동 당시 내란 및 내란 목적 살인, 뇌물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전두환(오른쪽)·노태우 전 대통령이 1996년 3월 11일 비자금사건 첫 공판에서 피고인석에 서 있다. 중앙포토

2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피고인석에 선 모습이 사진·영상으로 처음 공개된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부장 지귀연)가 윤 전 대통령의 내란우두머리 혐의 2차 공판에서 417호 법정 내 촬영을 허가한 데 따른 것이다.



전직 대통령 4명 모습 찍힌 역사적 법정 417호

윤 전 대통령은 피고인 신분으로 이 법정에 선 다섯 번째 전직 대통령이다. 1996년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2017년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8년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같은 법정에 섰다. 네 차례 모두 재판부가 1차 공판에서 국민의 알 권리를 고려해 재판 시작 전 촬영을 허용했다. ‘법정 방청 및 촬영 등에 관한 규칙’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경우 재판장이 법정 내 촬영을 허가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당시 내란 및 내란 목적 살인, 뇌물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전두환(오른쪽)·노태우 전 대통령이 1996년 8월 26일 서울지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선고공판에 출석한 모습. 연합뉴스

전직 대통령 5인의 법정이 같은 건 417호가 방청석이 150석 규모인 형사대법정이기 때문이다. 소법정(30~40석)과 중법정(100여석)에 비해 많은 방청객이 들어갈 수 있고 피고인석과 변호사석, 검사석도 가장 넓다. 3층 높이 천장에 샹들리에가 매달려 있고, 재판부가 앉는 법대(法臺) 너비는 10m에 달한다. 서울중앙지법 관계자는 “피고인 수가 많거나 관심도가 높아 더 넓은 방청석이 필요할 걸로 예상되는 사건은 재판부 신청에 따라 선착순으로 대법정을 이용한다”고 했다.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이 하늘색 수의와 흰 고무신 차림으로 나란히 법정에 서 있는 사진의 배경도 417호다. 12·12 쿠데타와 비자금 사건으로 구속기소돼 1996년 3월 열린 1차 공판에서 재판부는 약 1분 30초간 촬영을 허용했다. 재판장은 “심리에 들어가기 전에 국민 여러분을 위해 잠시 공판 외 절차를 갖겠다”며 “TV 카메라 기자 한 조, 사진기자 1명에게 잠시 피고인들의 뒷모습을 촬영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7년 5월 23일 오전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592억여원의 뇌물혐의 등에 대한 첫 번째 공판에 최순실씨와 함께 출석, 피고인석에 앉아 있다. 박 전 대통령은 징역 20년형을 확정받았으나 2021년 12월 31일 사면·복권됐다. 조문규 기자

가까이는 2017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사건 재판이 이곳에서 열렸다. 박 전 대통령은 1차 공판에서 구속 53일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재판부는 “국민의 알 권리를 고려해서 최소한의 법정 촬영을 허가했다”고 했다. 함께 기소된 최서원씨(개명 전 최순실)와 변호사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피고인석에 앉아 서로 정면만을 바라보는 모습이 영상으로 남았다. 2018년 5월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 자금 횡령 혐의로 같은 자리에 섰다. 수감 생활로 62일 만에 모습을 드러낸 그는 다소 수척해진 모습으로 입장문이 든 노란 봉투를 들고 자리에 앉았다. 두 사건은 선고기일도 생중계가 허용됐다.

전직 대통령뿐만 아니라 재계의 거물급 인사들도 417호에서 재판을 받았다. 이건희 전 삼성전자 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 명예회장, 최태원 SK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등이다. 2017년에는 국정농단 관련자들이 대거 기소되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김기춘 전 비서실장 등 관계자들이 이곳에서 재판을 받았다. 지금은 내란 혐의 사건 3개 외에도 SPC그룹 민주노총 탈퇴 강요 의혹,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건, 서해 피격 은폐 의혹 사건 등이 417호에서 진행 중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8년 5월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 417호 대법정에서 첫 공판에 앉아 있다. 이 전 대통령은 110억 원대 뇌물수수와 350억 원대 다스 자금 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2020년 대법원에서 17년형을 확정받았으나 2023년 신년 특사에서 사면·복권됐다. 사진공동취재단

법무부 호송차에서 내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던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고 있어 경호처 차량을 타고 법원에 출석한다. 1차 공판에서와 마찬가지로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약 200m 떨어진 사저에서 차량으로 출발해 지하주차장으로 법원에 들어올 전망이다. 법원 청사 관리를 담당하는 서울고등법원은 경호처 요청, 청사 방호 등을 고려해 “피고인 측이 지하주차장 진·출입을 요청할 시 이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공판에는 조성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이 1차 공판에 이어 증인으로 출석한다. 두 증인에 대해서는 지난 14일 1차 공판에서 검찰이 주신문을 진행했다. 조 단장은 “본청 내부에 진입해 의원들을 외부로 끌어내란 지시를 받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날 윤 전 대통령 측은 반박 취지로 증인을 신문하는 반대신문을 진행한다. 1차 공판에서 윤 전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은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이었다”며 반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92 애플 팀 쿡이 나이키 경영도 챙기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21
46591 후보가 "같이 나라 말아먹자"…초유의 딥페이크 대선 전쟁 랭크뉴스 2025.04.21
46590 "이래서 강남강남 하는구나"…강남구 씀씀이 3년뒤 2조↑[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4.21
46589 필리핀서 오토바이 강도에 한국인 관광객 피살 랭크뉴스 2025.04.21
46588 보릿고개에 트럼프 리스크 겹친 韓 배터리…국내외 투자 속도조절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1
46587 민주 이재명 '압도적'‥국힘 '한덕수 변수'에 표류 랭크뉴스 2025.04.21
46586 부활절 휴전, 30시간으로 끝…트럼프 “러·우, 금주 합의 희망” 랭크뉴스 2025.04.21
46585 “갑자기 월세 20만원 내라고요?” 누구를 위한 ‘전세의 월세화’일까?[올앳부동산] 랭크뉴스 2025.04.21
46584 한국인 관광객, 필리핀서 강도 총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583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CB 물량 폭탄 쏟아진다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21
46582 ‘피고인 尹’ 법정모습 공개… 직접 증인신문 나설까 랭크뉴스 2025.04.21
46581 '만년 2등'에 안주하다가 '유신 보수'까지 퇴행한 보수정당 [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21
46580 이재명, 영남서 90.8%‥충청 이어 대세론 랭크뉴스 2025.04.21
46579 홍콩 이어 스위스… 이복현 금감원장, 임기 막판 외유성 출장 논란 랭크뉴스 2025.04.21
46578 '피고인 윤' 오늘 첫 공개‥직접 신문 할까 랭크뉴스 2025.04.21
46577 한미, 이번주 관세 협상...24∼25일 유력 랭크뉴스 2025.04.21
46576 [단독]재난재해 추경에 일반 예비비 4000억원 슬쩍 끼워넣은 기재부 랭크뉴스 2025.04.21
46575 ‘피고인 윤석열’ 오늘 2차 공판…첫 법정 공개 랭크뉴스 2025.04.21
46574 “보잉 살게요”… ‘관세 협상’ 앞두고 트럼프 심기 살피는 각국 정상들 랭크뉴스 2025.04.21
46573 SK이노 유증 참여 임원들, 33% 평가손실에 우울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