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린 가운데 워싱턴DC에서 시위대가 백악관을 향해 행진하고 있다. 이들은 성조기를 거꾸로 흔들며 추방된 이민자의 송환을 촉구했다. [AFP=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미국 전역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지난 4일 ‘핸즈 오프(Hands Off·손 떼)’라는 이름의 대규모 반(反)트럼프 시위가 열린 뒤 2주일 만의 전국 단위 항의 집회다.

19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국 독립전쟁 발발 250주년 기념일인 이날 수도 워싱턴DC를 비롯해 뉴욕, 시카고, 마이애미 등 미 전역에서 집회가 열렸다. 이날 개최된 700여 건의 집회·시위는 풀뿌리 저항 캠페인 ‘50501’ 운동의 일환이다. 50501 캠페인은 하루(1) 동안 미국 50개 주에서 50개의 반트럼프 시위를 조직하자는 의미다.

50501의 헌터 던 대변인은 “민주주의 수호, 헌법 수호, 행정권 남용 반대, 비폭력 풀뿌리 운동을 표방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에 말했다. 이 단체는 이날 시위를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이민 정책,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 연방정부 인력 감축에 대응하는 행동의 날’로 선포하고 사람들에게 저항할 것을 촉구했다.

워싱턴DC 상징물인 워싱턴 기념탑 주변에는 수천 명의 시위대가 모여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행정 실수로 엘살바도르 교도소로 보낸 킬마르 아브레고 가르시아의 귀환을 촉구했다. 이후 이들은 워싱턴 기념탑에서 1.6㎞ 떨어진 백악관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트럼프는 물러가라’ ‘왕은 없다(No King)’ 등이 적힌 현수막과 팻말을 든 시위대는 미국 국기인 성조기를 거꾸로 흔들고 “킬마르를 집으로 데려오라”는 구호를 외쳤다.

가두행진 도중 대규모 해고에 반발한 직원들의 피켓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앞을 지날 때는 시위대 구호가 더 커졌다. 이들은 “부패의 철자가 어떻게 되나” “E-L-O-N”이라고 함께 외치며 연방정부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두지휘 중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뉴욕에서는 수천 명의 시위대가 맨해튼 거리를 행진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강제 추방 정책을 규탄했다. 시위대는 “단결된 국민은 결코 패배하지 않을 것”이라고 외쳤다. 지나가던 2층 관광버스가 경적을 울리며 응원을 보냈다고 NYT는 전했다.

이 밖에 250년 전 미국 독립전쟁의 개막을 알린 매사추세츠주 콩코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와 잭슨빌, 일리노이주 시카고, 앨라배마주 버밍햄, 펜실베이니아주 에프라타 등 곳곳에서 연방정부 인력 감축, 불법이민자 강제 추방, 사회보장제도 축소, 성소수자 차별 정책 등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 국정 운영에 항의하는 집회가 열렸다.

콩코드에서 열린 집회에 ‘파시즘은 이제 그만’이라고 적힌 대형 포스터를 들고 참석한 코난 월터(65)는 “오늘은 영국 국왕의 권위주의 통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기념하는 날”이라며 “권위주의 통치가 오늘날 부활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출신 전직 대통령들도 연이어 나서 트럼프 행정부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보태고 있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이날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에서 168명의 희생자를 낸 폭탄테러 발생 30주년을 맞아 현지 교회에서 열린 추모 행사에서 “최근 몇 년간 나라가 더욱 양극화됐다”며 “가끔은 자기가 틀렸음을 인정하는 것이 자신에게 좋다”고도 했다. 독선적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말로 해석됐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27 이재명 첫 50%대 진입…김문수 12.2·한동훈 8.5·홍준표 7.5%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21
46626 이재명 50% 첫 돌파…김문수 12.2%, 한동훈 8.5%, 홍준표 7.5%[리얼미터](종합) 랭크뉴스 2025.04.21
46625 [속보]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3명 추락 추정" 랭크뉴스 2025.04.21
46624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서 화재로 3명 추락 추정…소방대응 1단계 랭크뉴스 2025.04.21
46623 세종시로 행정수도 이전 공약에 시멘트 관련주 프리마켓서 강세 랭크뉴스 2025.04.21
46622 푸틴, ‘부활절 휴전’ 연장 안 했다… 트럼프는 “양국, 금주 합의 희망” 랭크뉴스 2025.04.21
46621 영욕의 전 대통령 사저, 그 운명은?[대선후보 부동산③] 랭크뉴스 2025.04.21
46620 억만장자는 ‘증시 폭락’ 알았다···저커버그·다이먼, 폭락 전 회사주식 대량 매도 랭크뉴스 2025.04.21
46619 [속보] 이재명 50% 넘었다…김문수 12.2% 한동훈 8.5% 홍준표 7.5% 랭크뉴스 2025.04.21
46618 한국인 관광객, 필리핀에서 강도 총에 맞아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617 '윤 계엄' 두고 격돌‥"키높이 구두" 공격까지 랭크뉴스 2025.04.21
46616 필리핀 관광하다 날벼락…한국인, 오토바이 강도 총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615 [샷!] 마음 편히 10분을 앉아있지 못했다 랭크뉴스 2025.04.21
46614 선생님에게 '미운털' 박힌 우리 애… 부모가 따져야 할까[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랭크뉴스 2025.04.21
46613 “문과X들 다 해 먹는 나라, 탈조선해라”… 이국종, ‘과격 발언’ 국방부에 사과 랭크뉴스 2025.04.21
46612 尹 ‘내란 혐의’ 2차 공판 오늘 오전 10시 랭크뉴스 2025.04.21
46611 시간 더 달라 한 증권사, 엄살떨지 말라 한 당국… 결과는 잦은 거래 오류 랭크뉴스 2025.04.21
46610 링 앞에 선 한덕수 파괴력은?... '지지율 낮고 확장성 물음표', '통상 성과 내면 바람' 랭크뉴스 2025.04.21
46609 ‘또 필리핀’…한국인 관광객, 강도 총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608 트럼프 “관세에 진지… 진정한 상호주의 구축해야”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