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일 숭례문 인근에서 열린 ‘전국의사궐기대회’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전공의와 의대생은 결코 틀리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틀리지 않았습니다.”

20일 연단에 선 대한의사협회(의협)의 김택우 회장이 거리에 모인 의대생과 전공의, 의사 회원들 앞에서 이렇게 외쳤다. 김 회장은 “정부는 과오를 인정하고 책임 있는 사과와 수습책을 제시하라”면서 “의료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해야 한다. 의료를 파괴한 정권은 결자해지의 책임을 다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협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열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복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 정책의 중단,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해체 등을 요구하며 자신들의 세를 과시했다.

이날 의협은 1년 2개월을 넘긴 의정갈등을 끝내려면 정부 측 사과와 의료 정책 원점 재검토가 전제라는 주장을 고수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연단에 올라 “일방적으로 정책을 결정했던 건 정부다. 우리가 무엇을 그리 잘못했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왜 정책 실패와 예산 낭비를 인정하지 않느냐”며 “임기가 끝날 때까지 적극적으로 사태를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다른 참석자들의 발언도 어렵게 시동을 건 정부·국회와의 대화보다 ‘투쟁’이나 ‘문책’에 방점 찍혔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 이선우 비대위원장은 “의대 건물에 맞춰 (인원을) 증원하겠다는 것은 탁상에서만 노는 문과 관료들의 태만과 무능력을 절실히 보여준다”면서 “보건복지부 박민수 차관과 조규홍 장관은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단 위원장은 병원·학교를 떠난 전공의·의대생에게 “이 길의 끝이 어디일지 잘 모르겠다. 우리는 그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을 걷고 있다”며 “각자 자리에서 각자 방식으로 끝까지 최선을 다하면 좋겠다”고 했다. 이를 두고 한 집회 참석자는 “‘끝까지 가보자’ ‘계속 버티자’는 주문을 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날 집회는 정부가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되돌린 지 사흘 만에 열렸다. 애초 의협은 집회 참가 예상 인원을 1만 명으로 신고했지만, 김성근 대변인은 “최종 참여 인원은 2만5000명”이라고 말했다. 참가자 상당수가 대학별로 자리잡은 의대생들이었다. 주최 측은 “학교 명예를 걸고 소리 쳐달라”며 교명을 외치면서 함성을 유도했다. 한 지역의사회장은 “(정부가) 모집인원 동결이라지만 (법적) 정원은 여전히 5058명인 상태라 정부 발표를 ‘말장난’이라고 여기는 의대생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집회에도 많이 온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의료계 내부에선 이날 집회가 ‘보여주기’에 가깝다는 회의적 반응도 나왔다. 익명을 요청한 의료계 관계자는 “집회로 당장 해결될 게 없으니 사실상 한풀이에 가깝다. 의정갈등을 풀 대안이 없고, 대선 국면에서 뚜렷한 전략도 없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 사직 전공의는 “의대생에 동원령을 내려 집회에 많이 참석하도록 압박해 세 결집을 보여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경 노선에 치우치는 분위기에 대한 우려도 이어졌다. 다른 의료계 관계자는 “복귀를 원하는 전공의, 의대생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투쟁만을 외치고 있다. 소수가 다수를 묵살해 억압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한 의대 교수는 “필수의료를 돕겠다는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을 무조건 폐지하면 의료계도 공멸할 수밖에 없다”라면서 “윤석열 정부가 이미 끝난 판에 허공에 주먹질만 하니 답답하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03 “문과 X들 다 해 먹는 나라, 탈조선해라” 발언 이국종, 국방부에 사과 랭크뉴스 2025.04.21
46602 이재명 50% 첫 돌파…김문수 12.2%, 한동훈 8.5%, 홍준표 7.5%[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21
46601 운동회 100m 압도적 1위 학부모…알고 보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600 “실제 상황 입니다”…설산 구조 훈련 중 빙하 와르르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599 이재명, 네거티브엔 무대응·공개일정 최소화…‘스텔스 전략’ 왜? 랭크뉴스 2025.04.21
46598 ‘강·서·송·용’ 다 있네…대선후보가 보유한 아파트 시세는 얼마?[대선후보 부동산②] 랭크뉴스 2025.04.21
46597 [단독] 건진법사, '尹핵관' 윤한홍과 60번 통화... "내가 이 정도도 안 되나" 항의 랭크뉴스 2025.04.21
46596 [현장] “불탄 나무들 휘떡휘떡 넘어져…비 오면 산사태 겁나” 랭크뉴스 2025.04.21
46595 이랜드리테일, 뉴코아 인천논현점 6월 폐점 검토... “아웃렛도 양극화” 랭크뉴스 2025.04.21
46594 [단독] 사람과 자연 공존하는 땅 전국 ‘1만2337㎢’…공존지역 태양광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치 넘는다 랭크뉴스 2025.04.21
46593 “한 뙈기라도 더!”…최대 간척지 새만금 고지전, 실탄은 어디서? 랭크뉴스 2025.04.21
46592 애플 팀 쿡이 나이키 경영도 챙기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21
46591 후보가 "같이 나라 말아먹자"…초유의 딥페이크 대선 전쟁 랭크뉴스 2025.04.21
46590 "이래서 강남강남 하는구나"…강남구 씀씀이 3년뒤 2조↑[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4.21
46589 필리핀서 오토바이 강도에 한국인 관광객 피살 랭크뉴스 2025.04.21
46588 보릿고개에 트럼프 리스크 겹친 韓 배터리…국내외 투자 속도조절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1
46587 민주 이재명 '압도적'‥국힘 '한덕수 변수'에 표류 랭크뉴스 2025.04.21
46586 부활절 휴전, 30시간으로 끝…트럼프 “러·우, 금주 합의 희망” 랭크뉴스 2025.04.21
46585 “갑자기 월세 20만원 내라고요?” 누구를 위한 ‘전세의 월세화’일까?[올앳부동산] 랭크뉴스 2025.04.21
46584 한국인 관광객, 필리핀서 강도 총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