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맞서 중국이 일부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면서 자동차 생산이 전 세계적으로 중단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20일 보도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정부 관계자와 희토류 무역업자, 자동차 기업 경영진 등 관련 업계 전문가를 인용해 희토류 재고가 3개월에서 6개월 치에 불과하다며 중국이 수출을 완전히 중단하면 자동차 생산이 멈출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에 맞서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동시에 자국산 중희토류와 희토류 자석 등 7종의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통제 대상에 포함된 7종은 코발트 자석에 쓰이는 사마륨, 조영제로 쓰이는 가돌리늄, 형광체 원료 테르븀, 모터나 전기차용 자석에 첨가되는 디스프로슘, 방사선 치료에 쓰이는 루테튬, 알루미늄 합금용으로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되는 스칸듐, 고체 레이저 제조용 이트륨 등입니다.
중국은 이들 품목이 민간용뿐 아니라 군수용으로도 쓰일 수 있는 '이중용도' 물품이라며 중국 밖으로 반출하는 경우 특별 수출 허가를 받도록 했는데, 이 과정은 최대 45일이 걸립니다.
문제는 수출 통제가 미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도 적용된다는 것.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3일, 중국이 통제 대상 희토류의 수출 허가 발급 시스템을 아직 구축하지 않아 수출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들 희토류는 중국 매장량이 많기도 하지만 중국이 가공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 희토류 자석 역시 중국산이 90%를 차지합니다.
문제는 중국이 앞으로 희토류에 대한 통제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은 자석에 더 많이 사용되는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 등 경희토류는 아직 통제하지도 않고 있습니다.
한편, 워싱턴포스트(WP)는 중국의 이번 수출 통제에 암 치료나 MIR 검사에 쓰는 희토류도 포함돼 있어 의료 부문에서 필요한 희토류 공급망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희토류 공급이 부족해지면 일부 국가에서 군사·안보 용도로 먼저 공급하면서 의료 부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파이낸셜타임스는 정부 관계자와 희토류 무역업자, 자동차 기업 경영진 등 관련 업계 전문가를 인용해 희토류 재고가 3개월에서 6개월 치에 불과하다며 중국이 수출을 완전히 중단하면 자동차 생산이 멈출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에 맞서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동시에 자국산 중희토류와 희토류 자석 등 7종의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통제 대상에 포함된 7종은 코발트 자석에 쓰이는 사마륨, 조영제로 쓰이는 가돌리늄, 형광체 원료 테르븀, 모터나 전기차용 자석에 첨가되는 디스프로슘, 방사선 치료에 쓰이는 루테튬, 알루미늄 합금용으로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되는 스칸듐, 고체 레이저 제조용 이트륨 등입니다.
중국은 이들 품목이 민간용뿐 아니라 군수용으로도 쓰일 수 있는 '이중용도' 물품이라며 중국 밖으로 반출하는 경우 특별 수출 허가를 받도록 했는데, 이 과정은 최대 45일이 걸립니다.
문제는 수출 통제가 미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도 적용된다는 것.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3일, 중국이 통제 대상 희토류의 수출 허가 발급 시스템을 아직 구축하지 않아 수출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들 희토류는 중국 매장량이 많기도 하지만 중국이 가공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 희토류 자석 역시 중국산이 90%를 차지합니다.
문제는 중국이 앞으로 희토류에 대한 통제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은 자석에 더 많이 사용되는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 등 경희토류는 아직 통제하지도 않고 있습니다.
한편, 워싱턴포스트(WP)는 중국의 이번 수출 통제에 암 치료나 MIR 검사에 쓰는 희토류도 포함돼 있어 의료 부문에서 필요한 희토류 공급망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희토류 공급이 부족해지면 일부 국가에서 군사·안보 용도로 먼저 공급하면서 의료 부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