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총·연료탱크 2개씩 비행 중 낙하
"조종사, 실수 인정" 진술
낙하 장비 무게 300㎏… 민가 떨어졌다면 아찔한 사고
"조종사, 실수 인정" 진술
낙하 장비 무게 300㎏… 민가 떨어졌다면 아찔한 사고
KA-1 공중통제공격기. 공군본부 홈페이지 캡처
공군이 지난달 6일 '전투기 포천 오폭 사고' 이후 43일 만에 또다시 어이없는 사고를 냈다. 지난 18일 훈련 중이던 KA-1 공중통제공격기에 장착돼 있던 장비들이 분리돼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 이번에도 사고 주요 원인으로 조종사 과실이 지목돼, 군 기강 해이가 도를 넘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공군에 따르면 공군 원주기지 소속 KA-1은 18일 오후 7시 54분에 이륙해 야간 모의사격 훈련을 실시하던 중 8시 22분쯤 강원 평창군 인근 상공에서 기체 좌우 측 날개에 장착돼 있던 기총포드와 연료탱크 2개씩을 떨어뜨렸다. 기총포드는 기관총을 고정시키고 실탄을 적재하는 일종의 상자이며, 연료탱크는 빈 상태였다.
공군은 이날 사고 현장에서 낙하물 수색 작업을 진행했다. 각 기총포드에는 기관총과 12.7㎜ 실탄 250발이 적재돼 있었다. 현재 공군은 강원 영월 인근에서 낙하한 기총포드 2개를 찾았으나, 낙하 시 충격으로 포드가 파손되면서 튕겨져 나간 실탄 10여 발과 연료탱크는 여전히 수색 중이다. 기총포드의 개당 무게는 약 120㎏, 연료탱크는 약 35㎏으로, 이번엔 낙하물이 산간 지역에 떨어져 인명피해가 없었다. 하지만 낙하한 장비 무게만 300㎏이 넘어 자칫 민간 지역에 떨어졌다면 적잖은 피해가 발생했을 수 있다.
관심이 집중되는 건 사고 원인이다. 공군은 사고 당일 박기완 공군참모차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섰다. 사고 조종사는 조사 과정에서 "조작 버튼을 잘못 눌렀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사고 조종사는 위관급으로, 비행시간이 900시간에 육박하는 숙련된 조종사였다고 한다.
KA-1의 경우 조종석 앞 좌우에 다이얼 모양의 공조 장치가 있고, 그 근처에 장착물 비상 투하 버튼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종사가 공조 장치를 조작하려다 실수로 비상 투하 버튼을 눌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공군 관계자는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정비 문제 등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며 "20여 년 전에 기체 결함에 의해 장착물이 낙하된 사례는 있었지만 조종사 과실에 의한 전례는 없는 걸로 안다"고 전했다.
공군은 이번 사고에 따른 후속조치로 필수 전력을 제외한 모든 기종의 비행을 22일 오전까지 중단시켰다. △항공기의 기기 및 정비 안전 재확인 △사고사례 교육 △조종사·정비사 대상 '비행 안전 결의대회' 등이 계획돼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프리덤 플래그' 한미 연합 공중훈련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지난달 10일 오폭 사고 브리핑에 직접 나서 고개를 숙이면서 "뼈를 깎는 각오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번 사고로 재발 방지 각오는 무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