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문제를 연계해 논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경제와 안보는 별개라는 입장이던 정부가 방위비 문제와 연계할 수 있다는 여지를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영국 파이낸설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주한미군 주둔 관련 협정을 다시 논의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고 총리실이 20일 밝혔다. 한 권한대행 인터뷰는 이날 공개됐다.

FT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관세·통상 문제와 주한미군 방위비·주둔 등 안보 문제를 연계해 협상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언과 관련해 현재는 안보 문제를 논의할 “명확한 틀(clear framework)”은 없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그러면서 “사안의 성격에 따라(depending on the issues)”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 시절 체결된 2만8500명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협정을 재개할 수 있다고 했다. FT는 이에 관련해 한 권한대행이 “의지를 시사했다(signalled a willingness)”고 표현했다.

한국 정부가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와 연계해 논의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한 권한대행과 통화한 직후 “원스톱 쇼핑”이라며 방위비 문제까지 포함한 ‘패키지 딜’을 거론해왔지만 정부는 선을 그어왔다.

정부는 경제와 안보는 별개라며 조선·액화천연가스(LNG)·무역균형 등 3개 분야 위주로 연계해 협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머니 머신(현금인출기)”이라며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인상을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안보 문제와 연계한 협상은 한국에 불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방위비 연계를 거듭 시사해온 상황에서 정부가 이에 맞는 협상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돼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6일(현지시간) 일본과의 첫 관세 협상에서 일본의 방위비 부담 확대를 거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번 주 진행될 한·미 첫 관세 협상에서도 방위비 문제가 다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정부는 한 권한대행의 ‘방위비 논의 의지’ 내용이 FT의 해석이라며 거리를 뒀다. 총리실은 이날 FT 인터뷰 관련해 배포한 참고자료에서 “우리 정부는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 여건 보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다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을 충실히 이행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총리실은 그러면서 “현재로서는 방위비 분담 관련 어떠한 협상 제안도 없으며 어떤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을 상대로 한 협상력을 약화하지 않으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국에 ‘참고 자료’ 될 미·일 관세 협상의 관전포인트는대미 흑자 규모와 산업 구조, 지정학적 여건이 한국과 유사한 일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간 대화는 다음주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미가 예정된 한국에는 중요한 참고자료다. 전문가들은 미·일 간 협상에서 ‘타결까지의 속도’, 미국의 구체적 요구 내용, 품목관세의 인하·면제 여부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17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트...https://www.khan.co.kr/article/202504172105005

트럼프, 또 ‘관세·방위비’ 연계…‘패키지 협상’ 현실적 전략 필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과 주둔 문제를 패키지로 다룰 수 있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두 사안이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것을 경계하는 한국 정부의 부담이 커졌다.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만큼 미국 측 진의를 신중하게 파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제·안보 이슈 분리가 어려운 현실을 직시하고...https://www.khan.co.kr/article/202504101836001

총리실, 미 관세·방위비 ‘패키지’ 협상 선 긋기···“관세율 조정 최우선”국무총리실 고위관계자가 9일 향후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를 ‘패키지’로 제시할 가능성에 대해 “방위비 문제만 떼서 하는 딜(협상)은 아니다”라며 사실상 선을 그었다. 대미 협상과 관련해 다른 국가들과 경제·통상 문제를 협력해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관세와 방위...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91114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98 게임장 협박·갈취 44명 검거…대전서 1.5m 땅꺼짐 랭크뉴스 2025.04.20
46497 “이동권부터 보장하라”…전장연 1박2일 집회 랭크뉴스 2025.04.20
46496 막히고 빠지고…휠체어 타고 대피시설 가봤더니 [현장K] 랭크뉴스 2025.04.20
46495 새 학기 시작됐는데 번복된 의대 정원… 입시생들 ‘한숨’ 랭크뉴스 2025.04.20
46494 한 대행, 대선 출마 질문에 “노코멘트…아직 결정 안해” 랭크뉴스 2025.04.20
46493 [대선팩트체크] 국민의힘 경선 후보, 윤석열·박근혜는 잘못 없다? 랭크뉴스 2025.04.20
46492 英, 나토 영공 접근 러 항공기 전투기로 차단 랭크뉴스 2025.04.20
46491 아파트값·거래량 진정세, 풍선 효과도 미미… 전세대란은 우려 랭크뉴스 2025.04.20
46490 배우 윤여정 ‘아들 커밍아웃’ 고백에 예일대 정신과 교수가 한 말 랭크뉴스 2025.04.20
46489 "신분당선 타는 여성들 조심"…경찰, 바지 지퍼 내린 군복남 추적 중 랭크뉴스 2025.04.20
46488 "현대차서 23년 일했는데 헌신짝처럼 버려져" 고용승계 투쟁 나선 이수기업 노동자들 랭크뉴스 2025.04.20
46487 한덕수, 대선 출마 묻자 “노코멘트…결정 안 했다” 랭크뉴스 2025.04.20
46486 의사·전공의·의대생 “의료농단 멈춰라”…정부에 공세 랭크뉴스 2025.04.20
46485 "퇴근 후 도저히 운동 못하겠다"…주말에 몰아서 했더니 놀라운 결과 랭크뉴스 2025.04.20
46484 "단돈 만원 빼돌렸는데"…29년치 퇴직금 1억 넘게 날린 버스기사,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0
46483 "'양치 333법칙'만 믿고 따랐는데 이럴수가"…밥 먹고 양치질 '이때' 해야 랭크뉴스 2025.04.20
46482 교황 “가자 상황 개탄…즉시 전쟁 중단” 랭크뉴스 2025.04.20
46481 [현장36.5] "불기둥 속으로‥" 산불 진화 헬기 기장들의 사투 랭크뉴스 2025.04.20
46480 한덕수 대선주자 행보? '필수 코스' 대형교회 찾아 부활절 예배 랭크뉴스 2025.04.20
46479 다친 동료 부축하며 심금 울린 한국전쟁 캐나다 용사, 부산에 잠든다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