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문제를 연계해 논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경제와 안보는 별개라는 입장이던 정부가 방위비 문제와 연계할 수 있다는 여지를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영국 파이낸설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주한미군 주둔 관련 협정을 다시 논의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고 총리실이 20일 밝혔다. 한 권한대행 인터뷰는 이날 공개됐다.

FT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관세·통상 문제와 주한미군 방위비·주둔 등 안보 문제를 연계해 협상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언과 관련해 현재는 안보 문제를 논의할 “명확한 틀(clear framework)”은 없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그러면서 “사안의 성격에 따라(depending on the issues)”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 시절 체결된 2만8500명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협정을 재개할 수 있다고 했다. FT는 이에 관련해 한 권한대행이 “의지를 시사했다(signalled a willingness)”고 표현했다.

한국 정부가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와 연계해 논의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한 권한대행과 통화한 직후 “원스톱 쇼핑”이라며 방위비 문제까지 포함한 ‘패키지 딜’을 거론해왔지만 정부는 선을 그어왔다.

정부는 경제와 안보는 별개라며 조선·액화천연가스(LNG)·무역균형 등 3개 분야 위주로 연계해 협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머니 머신(현금인출기)”이라며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인상을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안보 문제와 연계한 협상은 한국에 불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방위비 연계를 거듭 시사해온 상황에서 정부가 이에 맞는 협상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돼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6일(현지시간) 일본과의 첫 관세 협상에서 일본의 방위비 부담 확대를 거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번 주 진행될 한·미 첫 관세 협상에서도 방위비 문제가 다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정부는 한 권한대행의 ‘방위비 논의 의지’ 내용이 FT의 해석이라며 거리를 뒀다. 총리실은 이날 FT 인터뷰 관련해 배포한 참고자료에서 “우리 정부는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 여건 보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다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을 충실히 이행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총리실은 그러면서 “현재로서는 방위비 분담 관련 어떠한 협상 제안도 없으며 어떤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을 상대로 한 협상력을 약화하지 않으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국에 ‘참고 자료’ 될 미·일 관세 협상의 관전포인트는대미 흑자 규모와 산업 구조, 지정학적 여건이 한국과 유사한 일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간 대화는 다음주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미가 예정된 한국에는 중요한 참고자료다. 전문가들은 미·일 간 협상에서 ‘타결까지의 속도’, 미국의 구체적 요구 내용, 품목관세의 인하·면제 여부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17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트...https://www.khan.co.kr/article/202504172105005

트럼프, 또 ‘관세·방위비’ 연계…‘패키지 협상’ 현실적 전략 필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과 주둔 문제를 패키지로 다룰 수 있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두 사안이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것을 경계하는 한국 정부의 부담이 커졌다.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만큼 미국 측 진의를 신중하게 파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제·안보 이슈 분리가 어려운 현실을 직시하고...https://www.khan.co.kr/article/202504101836001

총리실, 미 관세·방위비 ‘패키지’ 협상 선 긋기···“관세율 조정 최우선”국무총리실 고위관계자가 9일 향후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를 ‘패키지’로 제시할 가능성에 대해 “방위비 문제만 떼서 하는 딜(협상)은 아니다”라며 사실상 선을 그었다. 대미 협상과 관련해 다른 국가들과 경제·통상 문제를 협력해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관세와 방위...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91114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65 이재명, 영남에서도 90% 넘기며 압승…‘대세론’ 굳히기 랭크뉴스 2025.04.20
46464 "평화 가능하다는 희망 갖기를"… 부활절 교황 메시지 랭크뉴스 2025.04.20
46463 "뭐 사러 왔더라" 자주 깜빡한다면…치매 경고 신호 [Health&] 랭크뉴스 2025.04.20
46462 윤여정, 신작 영화 인터뷰에서 “큰아들은 동성애자” 랭크뉴스 2025.04.20
46461 이재명, 영남서 90.8%…민주 경선 전반전 ‘압도적 우세’ 랭크뉴스 2025.04.20
46460 ‘장애인의 날’ 장애인 단체, 1박 2일 집회…내일 지하철 탑승시위 랭크뉴스 2025.04.20
46459 ‘저 똥물들 또 왔네’ 업주가 남긴 분노의 장부···성인 게임장 돌며 돈 뜯은 44명 송치 랭크뉴스 2025.04.20
46458 “성능개선 됐다더니 환각률 무려 48%”… 챗GPT 새모델 어쩌나 랭크뉴스 2025.04.20
46457 중 희토류 수출통제로 글로벌 차 생산 중단 우려…의료 부문도 타격 랭크뉴스 2025.04.20
46456 "계엄 옹호" "후보 왜 나왔나" 난타전‥키높이 구두 비방도 랭크뉴스 2025.04.20
46455 이재명 “봄의 물결도, ‘진짜 대한민국’ 열망도 영남에서 시작” 랭크뉴스 2025.04.20
46454 한덕수, 한미 통상 협의 앞두고 “맞서지 않겠다” 저자세 랭크뉴스 2025.04.20
46453 "구대명" 신조어까지 등장…李, 민주당 영남 경선서 90.81% 압승 랭크뉴스 2025.04.20
46452 증원 철회에도…의협 "우리가 뭘 잘못했나" 2.5만명 세 과시 집회 랭크뉴스 2025.04.20
46451 '조작 버튼 잘못 눌러'… 공군, '전투기 오폭' 43일 만에 또 조종사 실수로 사고 랭크뉴스 2025.04.20
46450 “내란몰이 탄핵 선동으로 이 지경”…‘반탄파’ 3인, 한동훈 집중포화 랭크뉴스 2025.04.20
46449 '문과X들·탈조선' 발언 이국종, 軍에 사과…"향후 발언 유의" 랭크뉴스 2025.04.20
46448 집 지어도 안팔려…문닫은 주택건설업체 '역대 최대'[집슐랭] 랭크뉴스 2025.04.20
46447 李, 김동연·김경수 고향서도 90%… 경선장 분위기도 ‘압도’ 랭크뉴스 2025.04.20
46446 한덕수 대행, 대권주자 필수 코스 명성교회서 부활절 예배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