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9일 미국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이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모습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가운데)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지켜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상호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한 배경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트럼프의 결심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적극적인 설득이 있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두 장관이 트럼프의 ‘관세 책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트럼프 곁에 없는 틈을 타 벌인 일이다.

WSJ에 따르면 베센트·러트닉 장관은 9일 0시부터 발효된 상호 관세로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매우 놀랐다. 관세 시행 유예를 발표하자고 트럼프를 설득할 생각이었지만 나바로 고문이 문제였다. 나바로 고문이 지난 2일부터 백악관 집무실 근처에 상주하다시피 하면서 트럼프 주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2일은 트럼프가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하며 전 세계에 10%의 보편관세를 시행하고,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날이다. 이날 이후 나바로 고문은 관세 정책을 완화해야 한다는 행정부와 미국 기업들의 의견에도 정책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트럼프를 독려해왔다.

이에 베센트와 러트닉 장관은 나바로가 트럼프와 떨어져 있는 시기를 노렸다. 마침 9일 오전 나바로 고문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의 회의 때문에 백악관 내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두 장관은 급히 백악관 집무실로 달려가 예정에도 없던 트럼프와의 면담을 진행했다.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선 관세 유예를 해야 하며 이 결정은 즉시 발표하는 것이 좋다고 설득했다. 트럼프에게 그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바로 발표하자고 제안하면서 그가 해당 사실을 트루스소셜에 올릴 때까지 곁에 머물렀다. 나바로 고문이 돌아오면 트럼프가 관세 유예 결정을 번복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2월 미국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는 모습을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이 지켜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결국 트럼프는 상호 관세 시행 약 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한다. 나바로 고문은 자신이 자리를 비운 사이 트럼프가 트루스소셜로 관세 유예를 발표하자 매우 놀랐다고 한다. 경제학자 출신인 나바로 고문은 트럼프가 내세우는 고율 관세를 통한 보호무역과 대중국 무역전쟁을 기획한 인물이다. 하지만 강경한 입장으로 인해 트럼프 행정부 내 인사들과 의견충돌을 빚어왔다. 최근엔 정부효율부(DOGE) 수장 일론 머스크가 나바로 고문을 “멍청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트럼프 금융자산 60% 채권” 재산 지키려 관세 유예?
트럼프의 관세 유예가 자신의 자산을 지키기 위한 행동이란 의혹도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트럼프의 재산에서 채권투자액이 1억2500만 달러(약 1780억원)에서 4억4300만 달러(약 6310억원) 수준으로 전체 금융자산의 60% 정도”라며 “트럼프의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이 우연의 일치일 수 있지만,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꿈쩍하지 않던 트럼프가 채권시장이 패닉에 빠지자 (관세 유예로) 움직인 게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으로 트럼프가 자기 자산을 백지 위임하지 않아 대통령의 개인 이익과 정치적 이익이 뒤얽힌 윤리적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고 짚었다.

한편 지난 16일 열린 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상에서 트럼프가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에게 “대(對)일 무역적자를 제로(0)로 하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다고 NHK 등 현지 언론이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19일 보도했다. 트럼프는 “미국은 일본을 지키는데 일본은 아무것도 부담하지 않는다”고 안보 관련 불만도 제기했다. 뒤이어 열린 장관급 회담에서 미국 측은 “미국 자동차 안전기준이 일본과 동등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쌀 수입이나 유통 구조 투명성이 없다” 등의 불만을 제기했다. 육류나 어패류, 감자 등 농산물의 수입 확대도 요구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07 이스라엘군 '구호요원 15명 사살' 부사령관 해임 랭크뉴스 2025.04.21
46506 "엄마 요즘 왜 그래"…1년 이내 치매 전조증상 있다 [Health&] 랭크뉴스 2025.04.21
46505 "고인돌 사이로 날아다니는 골프공?"‥불법 파크골프장 난립 랭크뉴스 2025.04.21
46504 ‘윤 어게인’에 전광훈까지… 국힘에 날아온 ‘극우 청구서’ 랭크뉴스 2025.04.21
46503 [사설] 경제 살리기 추경 조속 편성하되 선거용 현금 지원은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4.21
46502 하루 한 알로 7.3㎏ 감량… 먹는 비만약시대 열린다 랭크뉴스 2025.04.21
46501 김상욱 “당원 아닌 한덕수 후보로 미는 국힘…원칙 어디갔나” 랭크뉴스 2025.04.21
46500 ‘찔끔’ 추경으로 경기 살리겠나…힘 받는 대선 후 ‘2차 추경론’ 랭크뉴스 2025.04.20
46499 李 캠프, 외곽 싱크탱크와 ‘실무 협의체’ 구성 랭크뉴스 2025.04.20
46498 게임장 협박·갈취 44명 검거…대전서 1.5m 땅꺼짐 랭크뉴스 2025.04.20
46497 “이동권부터 보장하라”…전장연 1박2일 집회 랭크뉴스 2025.04.20
46496 막히고 빠지고…휠체어 타고 대피시설 가봤더니 [현장K] 랭크뉴스 2025.04.20
46495 새 학기 시작됐는데 번복된 의대 정원… 입시생들 ‘한숨’ 랭크뉴스 2025.04.20
46494 한 대행, 대선 출마 질문에 “노코멘트…아직 결정 안해” 랭크뉴스 2025.04.20
46493 [대선팩트체크] 국민의힘 경선 후보, 윤석열·박근혜는 잘못 없다? 랭크뉴스 2025.04.20
46492 英, 나토 영공 접근 러 항공기 전투기로 차단 랭크뉴스 2025.04.20
46491 아파트값·거래량 진정세, 풍선 효과도 미미… 전세대란은 우려 랭크뉴스 2025.04.20
46490 배우 윤여정 ‘아들 커밍아웃’ 고백에 예일대 정신과 교수가 한 말 랭크뉴스 2025.04.20
46489 "신분당선 타는 여성들 조심"…경찰, 바지 지퍼 내린 군복남 추적 중 랭크뉴스 2025.04.20
46488 "현대차서 23년 일했는데 헌신짝처럼 버려져" 고용승계 투쟁 나선 이수기업 노동자들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