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안덕근, 美 베선트·그리어와 만나
미국 제안에 동시 협의… 의제 조율 중
무역수지 불균형, 비관세 장벽 등 논의
미국 제안에 동시 협의… 의제 조율 중
무역수지 불균형, 비관세 장벽 등 논의
최상목(오른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열린 반도체 현안 점검회의에 앞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밝힌 상호관세 관련 협상이 이주 중 양국 재무·통상장관이 함께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이뤄진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21~26일(현지시간) 열릴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회의 기간 중 워싱턴에서 미국 측과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를 가질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한국에선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측에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다. 본디 경제, 통상수장이 각각 만나 별도 협상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측 제안으로 한자리에서 논의하게 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무역 적자 해소 명분을 앞세워 이달 2일 57개국에 10~1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보다 25% 뛴 557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미국 무역적자국 순위에선 8위에 해당한다. 이에 한국엔 25%의 고율 상호관세가 책정됐는데, 현실화할 경우 수출 타격에 올해 성장률이 1%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양측은 구체적인 일정과 의제 등을 최종 조율 중이다. 정부는 무역수지 불균형,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미국 측에 제시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관세는 물론 반도체 등 전략물자와 공급망 안정 협력, 한국 기업이 엮여 있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과학법(칩스법) 보조금·세액공제 등 현안도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자리에서 단번에 협상을 타결하기보다는 짚어야 할 부분은 상호 호의 아래 풀 수 있도록 협의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