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재판부 “올해 안 종료 목표…공범 심리도 빠르게”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형사 첫 정식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4일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법정 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이 처음 대중에게 공개된다. 재판부는 “국민적 관심도와 국민의 알 권리, 피고인 등 관계인의 법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공개허용 이유를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형사재판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1심 결론이 언제 나올지를 놓고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오는 21일 오전 10시부터 417호 형사대법정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공판을 연다. 재판부가 지난 17일 취재진의 법정 촬영을 허가하면서 이날 피고인석에 앉은 윤 전 대통령의 모습이 사진과 영상으로 공개된다. 다만 촬영은 사전에 협의된 사람만 지정된 장소에서, 재판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전까지만 할 수 있어 일반 시민들이 재판 진행을 실시간으로 볼 수는 없다.

또 서울법원종합청사를 관리하는 서울고법이 청사 방호 등의 이유로 지하 주차장을 통한 출입을 재차 허용해 윤 전 대통령이 법정에 들어서는 모습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전망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번처럼 법원에서 도보 10분 거리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사저에서 경호차량을 타고 출발해 청사에 도착한 뒤 지하를 통해 법정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2차 공판에선 지난 14일 1차 공판에 이어 조성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에 대한 증인 신문이 이뤄진다. 지난 기일엔 검찰과 윤 전 대통령 측의 모두진술에 이어 조 단장과 김 대대장에 대해 검찰이 주신문을 진행했다. 조 단장은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냐’는 검찰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정식 형사재판을 하루 앞둔 지난 13일 서울법원종합청사의 모습. 법원은 지난 11일 오후 8시부터 오는 14일 밤 12시까지 공용차량 등 필수업무 차량을 제외한 일반 차량의 청사 출입을 전면 금지했다. 문재원 기자


재판부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사건 공판은 ‘2주에 3회’ 정도 진행될 전망이다. 과거 형사재판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주 3~4회, 이명박 전 대통령이 주 1~2회 집중 심리를 받은 것과 비교해보면 다소 느린 편이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구속 기소 상태에서 재판을 받은 두 전직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구속이 취소돼 풀려난 만큼 이것도 빠른 편이라고 본다.

재판부는 올해 안에 재판을 종료하겠다는 목표를 재차 밝히고 속도를 내고 있다. 내란 사건 관련 재판을 전담하고 있는 형사합의25부는 윤 전 대통령 외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전직 군 고위직, 조지호 경찰청장 등 전현직 경찰 관계자에 대한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재판까지 세갈래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재판부는 “사건을 분리해 심리하는 건 재판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며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공판 증언을 나중에 내란 우두머리 혐의 공판에서도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검찰이 윤 전 대통령과 관련해 7만여쪽 분량의 서증을 낸 데다 핵심 증인으로만 38명을 신청했고, 이후 추가로 증인 신청을 할 가능성도 커 재판이 언제 끝날지는 장담하기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증인 신문은 통상 주신문, 반대신문, 재주신문, 재반대신문 순서로 이뤄지는데, 지난 공판은 8시간 넘게 진행됐는데도 증인 신문을 절반도 진행하지 못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계속 절차 문제를 제기하며 시간을 끈다는 점도 재판 장기화의 주요 변수다. 대리인단은 지난 공판에도 검찰의 증인 채택과 신문 순서, 증거 출처 등을 문제 삼고, 조 단장과 김 대대장에 대한 증인 신문을 거부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71 "여기선 한 끼 1000원"…가성비 대신 '극가성비' PB제품 쏟아진다 랭크뉴스 2025.04.20
46370 한동훈 "비상계엄은 불법"에‥나경원 "탄핵 선동", 이철우 "그런 말 할 자격 없어" 랭크뉴스 2025.04.20
46369 조국 "민주당 후보를 혁신당 후보라고 생각하고 응원해달라" 옥중서신 랭크뉴스 2025.04.20
46368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아직 결정 안 해” 랭크뉴스 2025.04.20
46367 '영남 큰아들' 자처한 이재명 "尹정권, 영남이 쌓아 올린 역사적 성과 배신" 랭크뉴스 2025.04.20
46366 민주당 2차 경선 “영남의 아들”···지역 발전 공약 앞세워 표심잡기 랭크뉴스 2025.04.20
46365 초밥 90인분 예약 후 "유통업체 이용 음식 보내라"…사기로 진화하는 '노쇼' 랭크뉴스 2025.04.20
46364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토론회, 계엄·탄핵 입장차... 韓 “불법” vs. 洪 “해프닝” 羅 “내란 선동” 랭크뉴스 2025.04.20
46363 서울 도심에 모인 의사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수습책 제시해야” 랭크뉴스 2025.04.20
46362 대선 44일 앞인데 韓 여전히 '거취미정'…민주 "선거관리자가 대권욕" 랭크뉴스 2025.04.20
46361 홍준표, 한동훈 면전에 “키높이 구두 왜 신냐” 인신공격 랭크뉴스 2025.04.20
46360 [단독] 이재명 캠프, 외곽 정책조직과 결합 시동…"힘 모으자" 랭크뉴스 2025.04.20
46359 1000원 이하 제품들 '불티'…가격 역주행 PB제품 쏟아진다 랭크뉴스 2025.04.20
46358 ‘메이드 인 차이나’ 공습 거세지나...韓 기업 ‘초비상’ 랭크뉴스 2025.04.20
46357 워싱턴서 열리는 한·미 재무·통상장관 회의… “‘협상’ 아니고 ‘협의’” 랭크뉴스 2025.04.20
46356 민주 경선주자들, 영남표심 경쟁…"영남의 아들" "노무현 계승" 랭크뉴스 2025.04.20
46355 가성비 대신 ‘극가성비’…가격 역주행 PB제품 쏟아진다 랭크뉴스 2025.04.20
46354 사막에서 상금 4억 원 프롬프트 챔피언 한판 승부 [지금 중동은] 랭크뉴스 2025.04.20
46353 그들은 나바로 없을 때 노렸다…트럼프 '관세유예' 막전막후 랭크뉴스 2025.04.20
46352 내일 ‘내란죄 피고인’ 윤석열 모습 처음 공개된다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