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재판부 “올해 안 종료 목표…공범 심리도 빠르게”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형사 첫 정식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4일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법정 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이 처음 대중에게 공개된다. 재판부는 “국민적 관심도와 국민의 알 권리, 피고인 등 관계인의 법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공개허용 이유를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형사재판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1심 결론이 언제 나올지를 놓고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오는 21일 오전 10시부터 417호 형사대법정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공판을 연다. 재판부가 지난 17일 취재진의 법정 촬영을 허가하면서 이날 피고인석에 앉은 윤 전 대통령의 모습이 사진과 영상으로 공개된다. 다만 촬영은 사전에 협의된 사람만 지정된 장소에서, 재판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전까지만 할 수 있어 일반 시민들이 재판 진행을 실시간으로 볼 수는 없다.

또 서울법원종합청사를 관리하는 서울고법이 청사 방호 등의 이유로 지하 주차장을 통한 출입을 재차 허용해 윤 전 대통령이 법정에 들어서는 모습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전망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번처럼 법원에서 도보 10분 거리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사저에서 경호차량을 타고 출발해 청사에 도착한 뒤 지하를 통해 법정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2차 공판에선 지난 14일 1차 공판에 이어 조성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에 대한 증인 신문이 이뤄진다. 지난 기일엔 검찰과 윤 전 대통령 측의 모두진술에 이어 조 단장과 김 대대장에 대해 검찰이 주신문을 진행했다. 조 단장은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냐’는 검찰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정식 형사재판을 하루 앞둔 지난 13일 서울법원종합청사의 모습. 법원은 지난 11일 오후 8시부터 오는 14일 밤 12시까지 공용차량 등 필수업무 차량을 제외한 일반 차량의 청사 출입을 전면 금지했다. 문재원 기자


재판부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사건 공판은 ‘2주에 3회’ 정도 진행될 전망이다. 과거 형사재판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주 3~4회, 이명박 전 대통령이 주 1~2회 집중 심리를 받은 것과 비교해보면 다소 느린 편이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구속 기소 상태에서 재판을 받은 두 전직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구속이 취소돼 풀려난 만큼 이것도 빠른 편이라고 본다.

재판부는 올해 안에 재판을 종료하겠다는 목표를 재차 밝히고 속도를 내고 있다. 내란 사건 관련 재판을 전담하고 있는 형사합의25부는 윤 전 대통령 외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전직 군 고위직, 조지호 경찰청장 등 전현직 경찰 관계자에 대한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재판까지 세갈래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재판부는 “사건을 분리해 심리하는 건 재판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며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공판 증언을 나중에 내란 우두머리 혐의 공판에서도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검찰이 윤 전 대통령과 관련해 7만여쪽 분량의 서증을 낸 데다 핵심 증인으로만 38명을 신청했고, 이후 추가로 증인 신청을 할 가능성도 커 재판이 언제 끝날지는 장담하기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증인 신문은 통상 주신문, 반대신문, 재주신문, 재반대신문 순서로 이뤄지는데, 지난 공판은 8시간 넘게 진행됐는데도 증인 신문을 절반도 진행하지 못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계속 절차 문제를 제기하며 시간을 끈다는 점도 재판 장기화의 주요 변수다. 대리인단은 지난 공판에도 검찰의 증인 채택과 신문 순서, 증거 출처 등을 문제 삼고, 조 단장과 김 대대장에 대한 증인 신문을 거부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36 '어대명' 90% 뚫었다... 이재명, 부울경 민주당 경선서 90.81%로 1위 랭크뉴스 2025.04.20
46435 네이버, 외식업 솔루션 야놀자에프앤비 인수··· 일본 진출 초읽기 랭크뉴스 2025.04.20
46434 [속보]이재명, 2차 경선서도 압승…영남권서 90.81% 득표 랭크뉴스 2025.04.20
46433 “있는 거 다 주세요”…K편의점 찾은 외국인, 싹쓸이 품목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4.20
46432 尹, '신당 보류' 변호사들과 식사…민주 "일말의 죄책감도 없어" 랭크뉴스 2025.04.20
46431 홍준표 “키높이 구두 왜 신었냐” 한동훈 “유치하시네요” 랭크뉴스 2025.04.20
46430 ‘증원 0명’에도 강의실 대신 장외로… 꿈쩍 않는 의대생들 랭크뉴스 2025.04.20
46429 [단독] 한전 ‘깜깜이 해외 대출’… 부실 관리로 1300억 물렸다 랭크뉴스 2025.04.20
46428 대선 정국 속 추경 ‘주도권 싸움’... “15조로 늘려야”vs. “李 대선용 증액" 랭크뉴스 2025.04.20
46427 김문수 "고령층에 무상버스" 주장하자, 이준석 "빈곤한 정치 철학" 랭크뉴스 2025.04.20
46426 안철수 "난 트럼프·머스크와 동문, 학맥으로 관세협상 해결" 랭크뉴스 2025.04.20
46425 쌍계사 템플스테이서 24명 중 9쌍 커플 매칭… 역대 최고 매칭률 랭크뉴스 2025.04.20
46424 洪∙韓∙羅∙李, 죽음의조 난타전…"키높이 왜 신나"까지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20
46423 [단독] 건진법사 "대기업 중 나 모르는 사람 없어" 재계 인맥 과시 랭크뉴스 2025.04.20
46422 배우 윤여정 “아들 동성결혼식 열어줬다…사위가 자식보다 더 좋아” 랭크뉴스 2025.04.20
46421 산불 겪고 “돈 안 되는 산” 이철우 망언…259조 가치 알고는 있나 랭크뉴스 2025.04.20
46420 한덕수 “대선 출마 아직 결정 안 해”…민주 “도 넘은 자기 장사” 랭크뉴스 2025.04.20
46419 이재명, 민주당 영남 경선서 90.81% 득표…‘대세론’ 굳히기 랭크뉴스 2025.04.20
46418 한덕수 아니었다…트럼프 관세유예로 마음 돌린 건 ‘베·러 동맹’ 랭크뉴스 2025.04.20
46417 李, 김동연·김경수 고향서도 90%… 경선장 분위기도 장악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