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확대 지정한 이후 해당 지역 아파트 가격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아파트의 거래량과 가격 상승률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서울시는 20일 토허제 재지정 효과를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19일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소재 전체 아파트를 토허제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지정한 바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1개월
강남·서초·송파·용산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 전후 아파트 가격 추이. [사진 서울시]
우선 토허제 지정 지역의 4월 둘째 주 가격 상승률은 전고점(3월 셋째 주) 대비 많이 축소했다. 해당 기간 0.83%였던 강남구는 0.16%로, 0.69%였던 서초구도 0.16%로, 0.79%였던 송파구는 0.08%로 각각 하락했다. 용산구 역시 0.34%에서 0.14%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했다.

토허제 인근 지역으로 투기 수요가 옮겨붙는 풍선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허제 지정 구역과 인접한 지역의 아파트 가격도 상승세가 주춤하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강동구(0.28%→0.09%), 마포구(0.29%→0.13%), 성동구(0.37%→0.23%) 모두 상승률이 둔화하는 추세다.

거래량도 감소했다. 18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실거래 공개자료에 따르면, 3월 1일~23일 1797건에 달했던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아파트 거래 건수는토허제 지정 발효 시점(3월 24일)부터 4월 18일까지 전체 거래량이 31건에 그쳤다.

거래량이 감소한 수준을 넘어 거래 자체가 거의 안 되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3월 24일~31일 서초구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0을 기록했다. 용산구도 같은 기간 거래 건수가 한 건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토허제 지정 효력 발생 이후 부동산 시장 과열 움직임이 진정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市 “시장 교란·투기수요 유입 원천 차단”
토지거래허가구역과 인접한 강동·성동·마포구의 아파트 가격 추이. [사진 서울시]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국토교통부, 서울시 민생사법경찰국, 자치구와 함께 합동점검반을 조직해 부동산 신고거래 전체 건에 대한 점검을 진행 중이다. 지난 3월부터 이달 18일까지 중개사무소 214곳에서 현장 점검을 실시해 의심 거래 59건을 발견했다. 서울시는 해당 거래 건에 대해서 거래자금 출처 등 정밀조사를 진행하고 불법행위가 확인될 경우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한 국토교통부·자치구와 합동으로 허가대상 아파트의 실거주 의무 위반 등 사후 이용실태 현장점검에 돌입한다. 위반자에 대해서는 실거래가의 최대 10%에 해당하는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는 등 강력히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투기수요 차단을 위해 일부 지역에선 기존 토허제 지정을 연장했다. 강남구 압구정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양천구 목동, 성동구 성수동 내 4개 주요 단지(4.58㎢)의 토허제 지정 기간을 2026년 4월 26일까지 1년 더 적용하기로 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안내판에 정부 관계부처가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이 붙어있다. [뉴스1]
아울러 국토교통부와 논의해 토허제 운영 가이드라인을 조만간 확정하기로 했다. 그간 혼선을 겪었던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입주권의 허가대상 여부나 유주택자의 기존 주택 처리방식, 취득 후 입주 시기 등 쟁점과 관련해 정부와 협의해 동일한 업무처리기준을 마련했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토허제 후속 조치가 실효성이 있도록 빈틈없이 조치하는 한편,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해 주택 실수요자가 안정적으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30 ‘증원 0명’에도 강의실 대신 장외로… 꿈쩍 않는 의대생들 랭크뉴스 2025.04.20
46429 [단독] 한전 ‘깜깜이 해외 대출’… 부실 관리로 1300억 물렸다 랭크뉴스 2025.04.20
46428 대선 정국 속 추경 ‘주도권 싸움’... “15조로 늘려야”vs. “李 대선용 증액" 랭크뉴스 2025.04.20
46427 김문수 "고령층에 무상버스" 주장하자, 이준석 "빈곤한 정치 철학" 랭크뉴스 2025.04.20
46426 안철수 "난 트럼프·머스크와 동문, 학맥으로 관세협상 해결" 랭크뉴스 2025.04.20
46425 쌍계사 템플스테이서 24명 중 9쌍 커플 매칭… 역대 최고 매칭률 랭크뉴스 2025.04.20
46424 洪∙韓∙羅∙李, 죽음의조 난타전…"키높이 왜 신나"까지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20
46423 [단독] 건진법사 "대기업 중 나 모르는 사람 없어" 재계 인맥 과시 랭크뉴스 2025.04.20
46422 배우 윤여정 “아들 동성결혼식 열어줬다…사위가 자식보다 더 좋아” 랭크뉴스 2025.04.20
46421 산불 겪고 “돈 안 되는 산” 이철우 망언…259조 가치 알고는 있나 랭크뉴스 2025.04.20
46420 한덕수 “대선 출마 아직 결정 안 해”…민주 “도 넘은 자기 장사” 랭크뉴스 2025.04.20
46419 이재명, 민주당 영남 경선서 90.81% 득표…‘대세론’ 굳히기 랭크뉴스 2025.04.20
46418 한덕수 아니었다…트럼프 관세유예로 마음 돌린 건 ‘베·러 동맹’ 랭크뉴스 2025.04.20
46417 李, 김동연·김경수 고향서도 90%… 경선장 분위기도 장악 랭크뉴스 2025.04.20
46416 “아이템 샀더니 돌연 폐쇄”… 온라인 게임 소비자피해 80% 급증 랭크뉴스 2025.04.20
46415 이재명, 영남 90.8% 압승…충청 이어 대세론 입증 랭크뉴스 2025.04.20
46414 韓대행, 대권주자 '필수 방문코스' 대형교회서 부활절 예배 랭크뉴스 2025.04.20
46413 이재명, 영남권 순회경선서 90.81% 득표로 압승 랭크뉴스 2025.04.20
46412 "1원이라도 더 싸게 팔자"…779원 삼겹살·900원 삼각김밥 뜬다 랭크뉴스 2025.04.20
46411 이변 없었던 李 독주… ‘어대명’ 경선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