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푸틴 일방적·갑작스런 휴전 속셈은…
잃을 것 없이 트럼프 환심 사려하나
우크라, 수용하면서도 “교전 계속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참모총장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30시간 ‘부활절 휴전’을 갑작스럽게 제안했다. 지지부진한 평화 협상 중재에 손 뗄 수 있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를 달래기 위해 ‘평화를 원한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우크라이나는 평화 협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휴전이라면 앞서 미국이 중재한 30일 휴전부터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P·AFP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참모총장과 면담 중 “러시아는 오늘 오후 6시부터 21일 0시까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크라이나 측도 우리의 본보기를 따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동시에 우리 군은 휴전 위반이나, 적의 도발 등 어떤 형태의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휴전 선언은 트럼프 정부의 경고가 이어진 지 하루 만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두 당사국(러시아·우크라이나) 중 한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리는 ‘당신은 바보다. 우리는 (더이상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달 미국 중재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부분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했으나, 러시아가 다수 전제조건을 요구하며 사실상 휴전을 거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도 같은 날 프랑스 파리에서 유럽, 우크라이나와 회동한 뒤 며칠 안에 충분한 진전이 없다면 평화 협상에서 손을 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제 이것(평화 협상)이 가능한지 결정하고 판단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압박하는 발언을 이어갔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푸틴 대통령의 일방적이고 갑작스러운 휴전 제안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 호의를 얻어내 미국이 발 빼는 것을 막으려는 전략에 가깝다는 평가가 다수다. 평화 협상에 대한 미온적 태도를 바꿨다고 보긴 어렵다는 것이다. 파리에 본부를 둔 카네기 러시아·유라시아센터의 타티아나 스타노바야 선임연구원은 월스트리트저널에 “매우 짧은 기간 휴전이라면 (푸틴에겐) 잃은 게 아무것도 없고, 자신이 진정으로 평화를 원하는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데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일방적 휴전 제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기도 하다. 러시아는 2023년 1월 러시아정교회 크리스마스 기간 약 36시간 휴전을 제안했었는데 교전은 중단되지 않았다. 당시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들은 공세에 밀린 러시아가 전황을 타개하기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휴전을 제안했다고 일축했다. 이번 휴전 제안 역시 교전 중단보다는 양측이 서로를 ‘신뢰하기 어려운 상대’로 강조하기 위해 휴전 위반 등 상황을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CNN은 “이번 휴전 제안이 때때로 친러시아 태도를 보여온 트럼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줄 수도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으로선 협상 타결이라는 성과를 바라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적절한 구실을 제공해 손쉬운 외교적 승리를 얻어낼 ‘꽃놀이 패’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전날 트럼프 정부가 평화 협상을 밀어붙이기 위해 크름반도에 대한 러시아 영유권을 인정해주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타결을 얼마나 원하는지 보여주는 신호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기자회견 중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휴전 제안에 대해 SNS 엑스에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을 위한 조치로는 부족하다”며 “30일이면 평화를 시도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휴전 연장을 역제안하면서 미국이 중재한 30일 휴전안 이행을 재차 촉구한 것이다. 또 “침묵에는 침묵으로, 공격에는 방어 타격으로 대응하겠다”고 했다. 러시아의 휴전 제안을 걷어차면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함께 더 곤란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대응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풀이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전쟁을 끝내길 원치 않는 러시아를 신뢰할 수 없다는 취지의 주장도 이어갔다. 그는 20일 자정쯤 올린 글에선 “일부 지역에선 상황이 조용해졌지만 다른 지역에선 러시아의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며 “가장 중요한 건 전쟁의 진정한 원인이 러시아에 있다는 게 분명해졌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30일의 완전하고 조건 없는 휴전 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러시아의 답변을 요구했다.

한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이날 아랍에미리트(UAE) 중재로 전쟁포로 246명씩 교환했다고 각각 발표했다. 우크라이나는 응급치료가 필요한 포로 31명도 추가로 돌려받아 총 277명이 귀환했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뒤 단일 교환으로는 최대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55 윤 전 대통령 “칼은 범죄도 요리도 가능”…“계엄은 가치중립” 정당성 강변 랭크뉴스 2025.04.21
46854 검찰, 김성훈 경호차장 위증 혐의 사건 경찰에 이첩 거부 랭크뉴스 2025.04.21
46853 '가난한자의 벗'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전쟁 끝내라' 남기고 떠났다(종합) 랭크뉴스 2025.04.21
46852 "전쟁 끝내라" 이 말 남기고 떠난 프란치스코 교황 랭크뉴스 2025.04.21
46851 교황의 마지막 메시지 “전쟁 끝내고 굶주린 이들 돕자”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50 "가임기 여성, 애 안 낳으면 감옥 가야"... 여고 교사 막말에 '발칵' 랭크뉴스 2025.04.21
46849 윤석열 “계엄령은 칼과 같아…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 아냐” 궤변 랭크뉴스 2025.04.21
46848 42살 어린 김다현 향해 수십차례 악플 쓴 50대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21
46847 [교황 선종] 교황의 '마지막 손님' 밴스 "어제 그를 만나 행복" 랭크뉴스 2025.04.21
46846 윤석열 전 대통령 앞에서 ‘이 말’ 하자, 방청석에서 웃음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45 지귀연 부장판사 “국민 알 권리…법정 촬영 허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44 다이소가 키운 ‘초저가 화장품’ 시장… 너도나도 뛰어든다 랭크뉴스 2025.04.21
46843 ‘청빈과 개혁의 상징’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랭크뉴스 2025.04.21
46842 尹, 2차 공판서 “내란죄가 되는지 초점 맞춰야...檢 증인신문 불필요” 랭크뉴스 2025.04.21
46841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 2차 공판…법정 모습 공개 랭크뉴스 2025.04.21
46840 [김희원 칼럼] 국민의힘 자해 경선 쇼 랭크뉴스 2025.04.21
46839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아"‥'피고인 尹' 면전에서 직격 랭크뉴스 2025.04.21
46838 민주 "홍준표 캠프, 2022년 대구시장 경선 때 불법 여론조사 의혹" 랭크뉴스 2025.04.21
46837 피고인 尹 앞에서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 던진 특전대대장 랭크뉴스 2025.04.21
46836 김형기 특전대대장, 윤석열 앞에서 “나는 사람 아닌 국가·국민에 충성···차라리 항명죄로 처벌하라”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