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4∼25일께 관세 협상 열릴 듯
대화 나누는 최상목 부총리(왼쪽)와 안덕근 산자부 장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이주 열릴 한미 관세 협상이 양국 재무·통상장관들이 동시에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추진된다.
20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미 정부는 오는 24∼25일께 워싱턴DC에서 한미 재무·통상 장관이 동시에 참여하는 한미 고위급 협상을 추진 중이다.
안덕근 장관은 이날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한미 고위급 무역 협상이 '2+2' 형식으로 열릴 수 있느냐는 물음에 "몇시간 내 그런 것이 확정돼 발표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형식이 확정되면 미국 측에서는 최근 무역 협상 전면에 나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무역 정책 수립과 협상 책임자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한국 측에서는 경제 사령탑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통상 수장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여할 전망이다.
최 부총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하는 것을 계기로 미국 측 요청으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별도로 만나 통상 이슈를 포함한 양자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었다.
안 장관도 24일 전후로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미국의 대한국 관세 조정 협상에 나서는 일정을 조율 중이다.
당초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이 각각 별도로 미국 측과 협의를 진행하는 방안도 추진됐지만 미국 측의 요청으로 재무·통상 장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협의 방식이 마련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미국의 무역 정책에 관여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참여 가능성도 거론돼 러트닉 장관까지 참여하는 경우 '2(한)+3(미)' 형식 회담이 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무역 균형 추구와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 등을 함께 담은 '패키지'를 미국에 제안해 국가 맞춤형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 부담 최소화를 끌어내겠다는 방침으로 대미 협상을 준비 중이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