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부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FP=연합뉴스
부활절을 맞아 러시아가 ‘30시간 휴전’을 선언하자 우크라이나는 휴전연장을 역제안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과 면담 중 “러시아는 (모스크바 현지시간으로) 오늘 오후 6시부터 21일 0시까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 측도 우리의 본보기를 따를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동시에 우리 군은 휴전 위반이나 적의 도발, 어떤 형태의 공격적인 행동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푸틴의 휴전 명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경고’ 하루 만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문답 중 “두 당사국(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리는 ‘당신은 바보다. 우리는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기를 희망한다”며 “우리는 (전쟁의) 끝을 보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는 최근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휴전 이행을 꺼리던 러시아의 이날 휴전선언은 미국 측의 잇따른 경고성 발언에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러시아의 제안에 우크라이나는 회의적 반응을 내놓으면서 휴전을 더 연장하자고 응수했다.
볼로디미르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이 일방 선언한 이 날 오후 X를 통해 “완전한 휴전이 유지된다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서는 부족하다”면서 “30일이 평화를 시도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는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30일 휴전 제안에 39일째 호응하지 않고 있다. 미국이 이 제안을 했으며, 우크라이나는 긍정적으로 대답했지만, 러시아는 이를 무시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이제 와서 갑자기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휴전에 진정으로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고 한다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행동에 따라 그대로 행동할 것”이라며 “침묵에는 침묵으로, 공격에는 방어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양측은 이날 아랍에미리트(UAE) 중재로 전쟁포로 246명씩을 교환했다고 각각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