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못할 때 응원하는 사람이 진짜 팬"
롯데 자이언츠의 오랜 팬으로 유명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열린 퇴임식 중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남동균 인턴기자


"롯데 자이언츠가 (요즘 실력이) 왜 이러는지 모르겠네요. 안타까운 마음에 사직구장에 가서 응원할 생각이에요. 잘할 때 응원하는 거 누군들 못하겠어요. 못할 때 응원하는 그 사람이 바로 진정한 팬이죠."2012년 9월 문형배 당시 부산고법 부장판사, 엑스(X) 게시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맡아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주문을 낭독했던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된 이유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간결한 언어로 설명한 '선고 요지'는 사회 각계에서 '민주주의의 교과서' '한 편의 문학 작품' '감동을 준 명문' 등 극찬을 받았다. 이를 22분간 또박또박 읽어 내려간 문 전 재판관에 대한 여론의 관심도 뜨거워졌고, 18일 그의 퇴임을 계기로 과거 일화들 역시 다시 한번 조명받고 있다.

'독지가 김장하 선생의 장학생 출신' '평소 소탈한 성격' '독서광' 이외에 눈길을 끄는 대목은 또 있다. 프로야구팀 롯데 자이언츠의 열혈팬이라는 사실이다. 문 전 재판관은 2019년 4월 헌법재판관에 오르기 전까지, 롯데의 연고지인 부산·경남(PK) 지역에서만 법관 생활 27년을 보냈다. 이른바 '향판' 출신이다.

롯데 자이언츠 팬으로 알려진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글.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부진의 늪 빠져도... 남다른 '롯데 사랑'



문 전 재판관의 '롯데 사랑'은 남달랐다. 그는 2010년 3월 X 게시글을 통해 "부산에서 롯데 자이언츠 야구선수는 연예인과 다름없다. 늘 응원석을 채워 준다. 그러면 인간적으로 우승은 팬이 아니라 선수들이 해 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푸념했다. 그해 롯데는 정규리그 4위로 시즌을 마쳤는데, 포스트시즌에서 탈락해 우승에는 실패했다.

10년 뒤인 2020년 5월, 롯데가 시즌 개막 직후 4연승을 거두며 우승 기대감을 불러일으키자 문 전 재판관은 X에 "놀랍다"고 적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아예 X 계정 소개글에 '롯데 자이언츠 우승'이라고 적기도 했다. 하지만 그해에도 롯데의 정규 시즌 최종 성적표는 7위였다. '가을야구' 진출조차 하지 못했다.

이렇듯 문 전 재판관이 오랜 시간 부진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는 롯데를 응원해 왔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야구 팬들은 "평생 어려운 길을 걸어가고 계셨다"며 측은한 마음을 내비쳤다. 헌재 법정에서 그가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을 침착하게 심리하는 장면을 두고선 "정신력이 강한 롯데 팬답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왔다.

3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한화 이글스와 롯데자이언츠 경기 도중 롯데 투수 김원중이 마무리 투구를 하고 있다. 대전=뉴스1


"롯데 경기서 시구해 달라"



지난 4일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문 전 재판관의 주문 낭독을 계기로 그에 대한 야구팬들 관심은 더욱 끓어올랐다. 한 롯데 팬은 야구 커뮤니티에 "문 전 재판관이 롯데 경기에서 시구를 하면 좋겠다"고 적었다. 다른 팬은 "윤석열 파면을 외친 문형배를 위해 롯데는 가을야구 진출과 우승으로 보답해야 한다"며 구단의 분발을 요구하기도 했다. 롯데는 18일 기준 3위를 기록 중이다. 선전하고 있는 셈이다.

문 전 재판관은 18일 "견제와 균형에 바탕한 헌법의 길은 헌재 결정에 대한 존중으로 더욱 굳건해질 것"이라는 퇴임사와 함께 '자연인'으로 돌아갔다. 헌법재판관 임기 6년간 서울에 거주한 그는 원래 주거지인 부산으로 내려가 당분간 휴식을 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언젠가 사직구장 관중석에 앉아 롯데 응원가 '부산갈매기'를 목 놓아 부르는 '롯데팬 문형배'의 모습이 TV중계 카메라에 포착될지도 모를 일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84 민주, 영남권서 2차 경선…변수 없는 '어대명' 흐름 굳힐까 랭크뉴스 2025.04.20
46183 오늘도 전국 곳곳에 비‥서울 낮 최고 24도 랭크뉴스 2025.04.20
46182 ‘지지율 1위’ 이재명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선언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4.20
46181 국가 ‘적자성 채무’ 900조 육박… 국민 세금 충당될까 랭크뉴스 2025.04.20
46180 미국 경고 겁났나…러, 30시간 휴전 일방선언 랭크뉴스 2025.04.20
46179 8년 만에 공연 콜드플레이 “왜 한국 올 때마다 대통령이 없죠?” 랭크뉴스 2025.04.20
46178 [시승기] 680마력·제로백 2.9초… 마세라티 ‘MC20 첼로’ 랭크뉴스 2025.04.20
46177 국힘 첫 경선 토론‥이재명 견제·계엄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20
46176 국민의힘 첫 경선 토론…’계엄·탄핵’ ‘AI’ 설전 랭크뉴스 2025.04.20
46175 BTS 진, 콜드플레이 공연 깜짝 등장…'마이 유니버스' 등 한무대 랭크뉴스 2025.04.20
46174 치매 위험까지 키우는 노년기 청력 저하, 극복할 방법 있다 랭크뉴스 2025.04.20
46173 "광주 절반도 尹 지지? 눈속임 주장"... 극우추적단 '카운터스'의 4개월 랭크뉴스 2025.04.20
46172 롯데타워보다 높은곳에 다리가…'세계 최高' 다리 짓는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4.20
46171 "나를 위한 대통령 뽑을 수 있었으면"···발달장애인에겐 험난한 '한 표' 랭크뉴스 2025.04.20
46170 “서울 아파트, 씨가 말랐다”...청약 대기자들의 ‘한숨’ 랭크뉴스 2025.04.20
46169 ‘청년·신혼부부’ 혜택 통했나…내리막길 걷던 청약통장 가입자 ‘깜짝’ 반등 랭크뉴스 2025.04.20
46168 건강하던 사람도 갑자기 사망…"이 질환, 지금이 제일 위험" 랭크뉴스 2025.04.20
46167 [액시세대 활력 보고서] 시니어모델로 '인생 2막' 안양 홍명성씨 랭크뉴스 2025.04.20
46166 1분기 역성장 현실화되나 …막 오르는 韓美 관세 협상 [한동훈의 위클리전망대] 랭크뉴스 2025.04.20
46165 '한덕수 대망론' 흔들?…헌재 따라 들쑥날쑥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