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진학, 학업, 자녀 교육 등을 목적으로 서울로 전입한 인구가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1990년부터 서울에서 인구 순유출 현상이 이어지고 있고, 학령 인구도 감소하고 있지만, 교육을 이유로 서울에 유입되는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122만138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는 126만6072명으로, 순유출 인구는 4만4692명에 달했다.
눈에 띄는 점은 교육을 목적으로 서울에 전입한 인구가 9만5209명에 이르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잠시 주춤했던 이 흐름은 다시 가속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교육을 목적으로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2013년 6만8000명에서 2017년 7만3000명, 2020년 8만8000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에는 7만6000명으로 줄었지만, 2022년 8만2000명, 2023년 9만1000명으로 다시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지난해에도 9만5000명까지 늘어나 2년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자치구별로 보면, ‘사교육 1번지’로 불리는 대치동이 있는 강남구로의 전입이 가장 많았다. 이어 관악구(7725명), 성북구(7632명), 동대문구(6980명), 노원구(6540명) 순으로 교육을 이유로 한 전입 인구가 많았다.
강남구의 교육 목적 전입 인구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000명~6000명대를 유지했지만, 2019년 7000명을 넘어섰다가 2022년에는 6000명대로 감소했다. 그러나 2023년 9000명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9191명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서울에 교육 목적 전입 인구가 늘어난 데에는 ‘사교육 열풍’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교생의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으로,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학령인구는 저출산 영향으로 전년 대비 8만 명 줄었지만, 사교육비는 오히려 2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역별로 살펴봐도, 서울의 사교육비 지출이 타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난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 학생 기준 67만3000원으로, 타 광역시(46만1000원), 중소도시(46만5000원), 읍·면 지역(33만2000원)에 비해 크게 앞섰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서울이 가장 높았다. 서울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86.1%로, 전국 평균인 80%를 크게 웃돌았다.
여기에 더해 고등학생들의 서울권 대학 선호현상도 교육 목적 전입 인구 증가의 요인으로 꼽힌다. 통계청 관계자는 “교육 목적 전입 인구는 20대가 많다”며 “관악구, 성북구, 동대문구, 노원구 등 대학이 밀집된 지역으로의 인구 유입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지방대 기피 현상까지 겹치면서 지방의 청년 인구가 교육목적으로 상경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서울권 대학은 정원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가운데, 과거 같으면 지방 대학에 진학했을 인원까지 흡수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연덕원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위원은 “2021년을 기점으로 대학 입학연령 인구(만18세)가 입학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했다”면서 “지방대, 전문대학은 수도권 대학 대비 입학 정원 감축률이 더 높지만, 충원률은 더 낮다”고 분석했다. 앞서 국회예산정책처도 “비수도권 인구 유출의 가장 큰 요인은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순이동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사교육의 서울 집중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한다. 강남 지역 집값 상승과 대출 증가로 이어질 뿐 아니라, 서울에 정착한 청년층이 결혼을 미루며 저출산 문제도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9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강남을 중심으로 한 교육열이 집값 상승과 대출 증가를 초래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키며, 지방 인구 감소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치열한 경쟁이 경제를 해치고 모두를 불행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도 “현재 초등학교 입학생이 40만 명대지만, 2027년에는 20만 명대로 줄어들 것”이라며 “지방에서는 학령 인구 감소로 사교육 시장이 위축될 수밖에 없어, 서울로의 사교육 집중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전체 20대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로 유입되는 20대 인구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문제”라며 “청년층의 서울 집중도가 더욱 높아지면, 주거 문제로 인해 저출산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그래픽=손민균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122만138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는 126만6072명으로, 순유출 인구는 4만4692명에 달했다.
눈에 띄는 점은 교육을 목적으로 서울에 전입한 인구가 9만5209명에 이르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잠시 주춤했던 이 흐름은 다시 가속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교육을 목적으로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2013년 6만8000명에서 2017년 7만3000명, 2020년 8만8000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에는 7만6000명으로 줄었지만, 2022년 8만2000명, 2023년 9만1000명으로 다시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지난해에도 9만5000명까지 늘어나 2년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자치구별로 보면, ‘사교육 1번지’로 불리는 대치동이 있는 강남구로의 전입이 가장 많았다. 이어 관악구(7725명), 성북구(7632명), 동대문구(6980명), 노원구(6540명) 순으로 교육을 이유로 한 전입 인구가 많았다.
강남구의 교육 목적 전입 인구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000명~6000명대를 유지했지만, 2019년 7000명을 넘어섰다가 2022년에는 6000명대로 감소했다. 그러나 2023년 9000명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9191명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서울에 교육 목적 전입 인구가 늘어난 데에는 ‘사교육 열풍’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교생의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으로,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학령인구는 저출산 영향으로 전년 대비 8만 명 줄었지만, 사교육비는 오히려 2조1000억원 증가했다.
그래픽=손민균
지역별로 살펴봐도, 서울의 사교육비 지출이 타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난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 학생 기준 67만3000원으로, 타 광역시(46만1000원), 중소도시(46만5000원), 읍·면 지역(33만2000원)에 비해 크게 앞섰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서울이 가장 높았다. 서울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86.1%로, 전국 평균인 80%를 크게 웃돌았다.
여기에 더해 고등학생들의 서울권 대학 선호현상도 교육 목적 전입 인구 증가의 요인으로 꼽힌다. 통계청 관계자는 “교육 목적 전입 인구는 20대가 많다”며 “관악구, 성북구, 동대문구, 노원구 등 대학이 밀집된 지역으로의 인구 유입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지방대 기피 현상까지 겹치면서 지방의 청년 인구가 교육목적으로 상경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서울권 대학은 정원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가운데, 과거 같으면 지방 대학에 진학했을 인원까지 흡수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연덕원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위원은 “2021년을 기점으로 대학 입학연령 인구(만18세)가 입학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했다”면서 “지방대, 전문대학은 수도권 대학 대비 입학 정원 감축률이 더 높지만, 충원률은 더 낮다”고 분석했다. 앞서 국회예산정책처도 “비수도권 인구 유출의 가장 큰 요인은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순이동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사교육의 서울 집중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한다. 강남 지역 집값 상승과 대출 증가로 이어질 뿐 아니라, 서울에 정착한 청년층이 결혼을 미루며 저출산 문제도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9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강남을 중심으로 한 교육열이 집값 상승과 대출 증가를 초래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키며, 지방 인구 감소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치열한 경쟁이 경제를 해치고 모두를 불행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도 “현재 초등학교 입학생이 40만 명대지만, 2027년에는 20만 명대로 줄어들 것”이라며 “지방에서는 학령 인구 감소로 사교육 시장이 위축될 수밖에 없어, 서울로의 사교육 집중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전체 20대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로 유입되는 20대 인구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문제”라며 “청년층의 서울 집중도가 더욱 높아지면, 주거 문제로 인해 저출산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