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재 외교' 고집하며 종전 압박했으나
푸틴 시간 끌기에 종전 논의 지지부진
美 국무장관 "진전 없으면 손 뗄 것" 압박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2017년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함부르크=AP 연합뉴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중재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당사국 간 계속된 이견 충돌로 협상에 진전이 없으면 더 이상 개입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만 해도 "24시간 내 종전"을 자신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자 뒤늦게 발을 빼는 무책임한 처사라는 비판이 나온다.

美 "협상 타결 없으면 철수" 경고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메멧 오즈 공공의료보험서비스센터장 취임 선서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두 당사국(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 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리는 '바보다, 어리석다'고 말할 것"이라며 "우리는 그냥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기를 희망한다"면서 "전쟁의 끝을 보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협상 당사자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에게 빠른 종전을 압박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 동안 대통령에 취임하면 24시간 이내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공언했다. 지난 1월 20일 취임 직후에는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배제한 채 러시아와 '톱 다운' 협상에 나서면서 해결사 역할을 자처하기도 했다. 그러나 휴전 협상은 러시아의 시간 끌기로 별다른 결실을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25일에는 가까스로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부분 휴전이 성사됐으나 이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채 기한이 종료됐다.

러우 전쟁 중재자로 야심차게 등판했던 트럼프 정부로선 인내심이 바닥난 것으로 보인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양측(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이 진심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돕고 싶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다른길을 가야 한다"며 "미국은 다른 우선순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 이상의 진전이 없을 경우 미국이 중재 역할에서 손을 떼겠다고 경고한 것이다. 미 정치전문매체 액시오스는 유럽 외교관 2명을 인용해 "루비오는 트럼프가 인내심을 잃고 있으며 협상이 곧 타결되지 않으면 철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왼쪽)가 17일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열린 프랑스, 우크라이나, 독일, 영국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말을 듣고 있다. 파리=AP 연합뉴스


트럼프 정부, 외교 전문성 밑바닥 드러내



전쟁의 복잡한 셈법 앞에서 트럼프 정부가 속수무책 상황에 빠졌다고 외신들은 평가했다. 종전 협상에 있어선 특히 전문적인 외교 전략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전쟁 당사국들에게 협박만 일삼다가 초라한 성적만 내자 무책임하게 발을 빼려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트럼프 정부가 세부적이고 복잡한 문제가 얽혀있는 종전 협상을 지나치게 쉽게 접근하려다 능력 부족을 드러낸 것"이라고 짚었다.

트럼프 정부가 지나치게 안이한 태도로 협상을 중재해왔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트럼프 정부가 과거 보스니아 내전을 마무리한 '데이턴 협정', 이스라엘과 이집트 간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처럼 합의를 끌어내기 위한 전문적인 외교 노력은 거의 없이 통화와 만남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안이한 태도를 취해온 셈이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여러 차례 통화하고 만났으나 국면 전환에 실패했다. 미하일로 사무스 우크라이나 신지정학연구소 소장은 미 뉴욕타임스에 "미국이 종전 협상에서 손을 떼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력함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48 나경원 캠프 간 ‘호랑나비’ 김흥국···자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4.19
46047 전광훈 "자유통일당 후보로 대선 출마‥윤 전 대통령 모셔올 것" 랭크뉴스 2025.04.19
46046 '尹파면 보름' 곳곳 빗속 집회…"윤 어게인" vs "내란종식"(종합) 랭크뉴스 2025.04.19
46045 "작업중단, 대피하라!"…지하터널 붕괴 직전 다급했던 무전 랭크뉴스 2025.04.19
46044 '尹지지' 김흥국, 나경원 캠프 합류…조직총괄본부장에 정양석 랭크뉴스 2025.04.19
46043 이재명, 민주 첫 경선 88.15% 압승…김동연 7.54%, 김경수 4.31% 랭크뉴스 2025.04.19
46042 "계속 마렵고 못 참겠다"…자다가 일어나 화장실 간다면, '이 암' 의심하세요 랭크뉴스 2025.04.19
46041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어떻게…“시행하되 신중하게”, “물 들어왔을때 고기 잡아야” 랭크뉴스 2025.04.19
46040 '어대명' 반전은 없었다…충청권서 이재명 88.15% 압도적 승리 랭크뉴스 2025.04.19
46039 3년 만 복귀한 유희열, 라디오서 밝힌 심경 "무거운 마음으로… " 랭크뉴스 2025.04.19
46038 군복무 중 손목 절단됐지만…“국가유공자 인정해달라” 소송 패소 랭크뉴스 2025.04.19
46037 26년 만에 칸 초청 ‘0편’…세계 영화제에서 지워지는 K무비 [김희경의 컬처 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4.19
46036 민가 오폭 한달만에 기관총·연료통 낙하사고…또 "조종사 실수" 랭크뉴스 2025.04.19
46035 국민의힘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이재명'·'계엄 옹호' 두고 설전 랭크뉴스 2025.04.19
46034 국민의힘 첫 경선 토론…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결 랭크뉴스 2025.04.19
46033 안철수 “AI 잘 모르시죠?” 김문수 “매일 씁니다”…토론서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19
46032 “수사권 폐지” “공소청 격하”…대선 앞두고 檢개혁 논의 재점화 [서초동 야단법석] 랭크뉴스 2025.04.19
46031 “작업 중단, 대피하라” 무전에 담긴 신안산선 붕괴 직전 상황 랭크뉴스 2025.04.19
46030 "퇴직금 주세요" 노동청 찾은 이주노동자 불법체류 체포 랭크뉴스 2025.04.19
46029 한동훈 캠프, 대외협력위원장에 송석준…친한계 의원 17명 합류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