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주식 10% 트럼프 의심…백지위임 않은 자산 이해충돌
측근들은 주식 내부거래 의혹…백악관 "사익 위해 행동 안한다" 항변
측근들은 주식 내부거래 의혹…백악관 "사익 위해 행동 안한다" 항변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국제사회를 상대로 무차별적인 관세 폭탄을 쏟아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돌연 90일간 유예로 입장을 바꾼 것은 국채 금리 급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이 채권에 집중돼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세계 경제가 휘청이는데도 눈 하나 깜짝 않다가 자신의 재산 가치가 위태해지자 행동에 나선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8일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투자액이 1억2천500만달러(약 1천780억원)에서 4억4천300만달러(약 6천310억원) 수준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금융 자산이 2억600만달러(약 2천934억원)에서 6억2천만달러(약 8천831억원) 상당인 점을 고려하면 가장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해도 채권 비율이 약 60%에 달하는 셈이다.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에 불과했다.
NYT는 채권의 최소가치와 주식의 최대가치를 비교하는 보수적인 추정치를 사용하더라도 트럼프 미디어를 제외하고는 주식보다 2배 많은 채권을 보유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같은 회사채 1천800만달러(약 256억원)에서 7천500만달러(약 1천68억원), 미국 국채는 900만달러(약 128억원)에서 4천200만달러(약 598억원)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방채는 전체 채권 보유액의 80%가량에 달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그가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꿈쩍하지 않다가 채권시장이 패닉에 빠지자 움직였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라거나"(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해 국채금리가 주된 원인이었음을 시사한 바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관세 유예 발표 후 미국 국채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다소 안정세를 보였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미국 내 다른 채권들의 기준금리 같은 역할을 한다. 국채 수익률이 등락할 때 다른 채권들의 수익률도 그에 비례해 등락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발표 이후 채권 시장의 투매가 멈추고 채권 가격이 다시 올라가자 "지금 채권시장은 아름답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 재정 때문에 관세유예를 결정했다는 정황은 없고 포트폴리오 구성이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고 해설했다.
이 매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이익과 정치적 이익이 뒤얽혀있다는 점, 즉 자기 재산을 통제할 수 없는 곳에 백지위임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가 부각된다고 지적했다.
다른 한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도 내부거래 의혹에 휘말린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당일 "지금은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때"라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것을 두고도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글을 올린 뒤 3시간 만에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측근들이 관세 유예 전 주식을 매입해 시세차익을 누리도록 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다만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지난해 공개 이후 다소 변동됐을 가능성은 있다고 설명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수십억달러 규모의 비즈니스 제국에서 물러났고 엄청난 희생을 치렀다"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