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中,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개최

“잘 뛴다, 힘내라!”

19일 오전 7시 30분(현지시각), 중국 베이징 남부 이좡에 있는 경제기술개발구. 마라톤 대회 시작을 알리는 소리가 울리자 키 180㎝에 몸무게 52㎏의 휴머노이드 로봇 ‘톈궁(天工)’이 힘차게 뛰기 시작했다.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은 목소리를 높여 응원했다. 왼쪽 어깨에 이름이 쓰인 주황색 민소매 셔츠를 입고, 검은색 전용 운동화까지 신은 톈궁은 엔지니어 세명과 함께 안정적으로 뛰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 로봇은 평균 시속 10㎞, 최고 시속 12㎞까지 뛸 수 있다. 이날 톈궁은 21.0974㎞ 하프 코스 결승점을 2시간 40분 42초만에 통과, 휴머노이드 로봇 중 1등을 차지했다.


중국이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를 열었다. 크기와 성능 모두 제각각인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엔지니어들과 팀을 이뤄 뛰는 모습에 수많은 외신 취재진은 물론 옆 주로에서 함께 뛰는 마라토너들도 기록을 잊고 환호했다. 기술적 결함으로 중도 탈락한 로봇들도 있었지만, 중국의 기술력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입증하는 자리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21개 로봇 참가… “로봇 현재·미래 보여주는 이정표”
이날 대회에는 총 21개 팀이 참여했다. 베이징 휴머노이드로봇 혁신센터가 개발한 톈궁을 비롯해 유니트리의 G1 등, 베이징과학기술대의 ‘작은 거인(小巨人)’ 등이 참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G1의 경우 올해 관영 중국중앙TV(CCTV)의 춘제(春節·음력설) 갈라쇼에 등장해 인간 무용수들과 함께 어려운 전통무용 동작을 소화해 박수갈채를 받았던 모델이다.

지난해 같은 대회에도 톈궁이 등장했지만, 이때는 하프 코스를 직접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결승점 근처에서 마라토너의 페이스메이커 역할 정도에 그쳤다. 로봇들의 정식 마라톤을 위해 주최 측은 다양한 안전 규정을 마련했다. 먼저 로봇들은 인간 마라톤처럼 한꺼번에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1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발했다. 2분 이상 출발 간격이 늘어질 경우 시간 페널티를 받게 된다. 배터리를 교체할 경우 함께 뛰는 심판에게 사전 고지해야 한다. 로봇 자체를 교체해 계주 형식으로 달리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역시 시간 페널티를 받게 된다. 최종 기록은 이러한 페널티를 모두 적용해 산출한다.

19일 중국 베이징 이좡에서 열린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에서 한 로봇이 엔지니어들과 함께 달리고 있다./이윤정 기자

이날 대회는 로봇들의 신체적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코스로 구성됐다. 평지와 경사로, 좌회전, 우회전 도로를 섞은 것이다. 제한 시간도 3시간 30분으로 정해졌다. 로봇들은 다양한 모습으로 대회에 참석했다. 이날 흐린 날씨를 감안해 노란색 바람막이 자켓을 입은 로봇이 있는가 하면, 은색 우주복을 입은 로봇도 있었다. 운동화를 신거나 자체 발로 뛰는 모델 등으로 나뉘기도 했다.

첫 대회인 만큼 사실상 유의미한 기록을 낸 로봇은 많지 않았다. 유니트리 G1의 경우 출발과 함께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직선으로 달려야 하는 구간임에도 옆길로 계속 빠진 것이다. 속도가 느린 덕에 펜스에 부딪히지 않고 엔지니어가 방향을 고치는 데 겨우 성공했다. 한 로봇은 엔지니어가 뒤에서 밧줄로 방향을 조정하는 방식이었는데, 출발한 지 1분도 되지 않아 방향 통제 능력을 잃어 아예 부서지기도 했다. 성인 여성의 얼굴과 헤어스타일을 장착한 한 로봇 역시 출발선 근처에서 그대로 주저앉았다.


그럼에도 이번 대회는 중국 로봇 기술력이 상당히 발전했고,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는 점을 체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 이달 초 발표된 ‘2025년 휴머노이드 로봇 및 체현 지능 산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82억3900만위안으로, 전 세계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 대회에 대해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중국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07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 나 밖에 없어…윤석열 모셔올 것" 랭크뉴스 2025.04.19
46006 ‘충청 압승’ 이재명 “새로운 나라 만들라는 열망 잘 받들겠다” 랭크뉴스 2025.04.19
46005 [2보] 이재명, 민주 첫 순회경선서 압승…충청서 88% 득표 랭크뉴스 2025.04.19
46004 대선 후보 현장 라이브 04.19 랭크뉴스 2025.04.19
46003 국힘 후보 MBTI, 4명 중 3명이 'ENTJ'…"제대로 한 것 맞나" 랭크뉴스 2025.04.19
46002 [속보] 이재명, 민주 충청 경선서 88%로 압승…2위 김동연 랭크뉴스 2025.04.19
46001 '어대명' 현실화...이재명, 충청권 경선서 88.15% 압승 랭크뉴스 2025.04.19
46000 [속보] 민주당 충청 순회경선서 이재명 압도적 1위…득표율 88.15% 랭크뉴스 2025.04.19
45999 [속보] '민주당 충청 경선' 이재명 1위 88.15%‥김동연 7.54% 김경수 4.31% 랭크뉴스 2025.04.19
45998 “더불어민주당 ‘진보’ 아냐”…이재명 발언에 ‘깜짝’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5997 의협, 20일 대규모 장외집회…“의대생 6000명 참여” 랭크뉴스 2025.04.19
45996 안철수 "尹탄핵 후 사과했나" 묻자…김문수 "계엄, 민주당 책임" 랭크뉴스 2025.04.19
45995 이재명 “미래산업 중심지” 김경수 “지방정부 개헌” 김동연 “대기업도시”… 충청 표심 겨냥 랭크뉴스 2025.04.19
45994 이재명 "충청서 경선 시작, 각별해…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 탄생" 랭크뉴스 2025.04.19
45993 "AI 잘 모르시죠?"... '반탄'과 '과학 전문성' 고리로 김문수 집중 공략한 안철수 랭크뉴스 2025.04.19
45992 민주 경선후보들, 충청표심 구애…"충청 사위""낳고 길러준 곳" 랭크뉴스 2025.04.19
45991 도로 중앙선 걷던 치매 노인 사망사고… 30대 운전자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4.19
45990 너도나도 '통솔자' '해결사', '똑닮' MBTI에 "혹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9
45989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국힘 8명 절대 당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4.19
45988 도심 곳곳서 '윤 어게인' 외친 尹 지지자들…전광훈 "대선 출마"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