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병원 외부에서 급성 심근경색으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에게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배성아·김용철 교수, 연세대 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를 국제학술지 ‘BMC 메디신’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6~2021년 국내에서 발생한 18만여건의 ‘병원 밖 심정지’ 사례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의식불명 환자 292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저체온 치료는 주로 심정지, 뇌졸중 등이 발생한 환자의 체온을 32~36도로 빠르게 낮춘 뒤 일정 기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회복에 따라 점차 정상 체온으로 되돌리는 치료법이다. 심장이 멈춰 뇌에 혈액을 공급할 수 없게 되면 뇌신경세포가 빠르게 손상되기 시작하므로 ‘골든타임’이 지날 경우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면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줄이고 주변의 신경세포 역시 최대한 많이 살릴 수 있다. 체온을 떨어뜨리면 뇌의 활동을 억제하고 뇌세포 파괴를 가속하는 면역계 활동을 낮춰 뇌손상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확인돼 미국심장협회도 심정지 환자의 심장 기능 회복 후 저체온 치료를 필수적으로 권장하는 지침을 내놓은 바 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저체온 치료를 받은 집단의 사망률(35.1%)은 받지 않은 집단(43.3%)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보정한 뒤 저체온 치료군의 상대적 사망률을 분석해보니 비치료군보다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률과 뇌 손상 발생률은 병원 도착 후 저체온 치료를 받기까지 걸린 시간이 짧을수록 낮아졌다. 3시간 이내에 시작해 비교적 일찍 치료를 받은 환자는 상대적인 사망 위험이 60%, 뇌 손상 발생률이 37% 감소했다.

이는 심근경색으로 인한 병원 밖 심정지라는 극도로 위험한 상황에서 저체온 치료의 효과를 명확히 규명한 첫 번째 대규모 연구다. 연구진은 국가 단위의 실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여서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밝혔다. 이오현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저체온 치료의 시기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라며 “이는 의료진의 신속한 치료 결정과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05 "고인돌 사이로 날아다니는 골프공?"‥불법 파크골프장 난립 new 랭크뉴스 2025.04.21
46504 ‘윤 어게인’에 전광훈까지… 국힘에 날아온 ‘극우 청구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503 [사설] 경제 살리기 추경 조속 편성하되 선거용 현금 지원은 안 된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502 하루 한 알로 7.3㎏ 감량… 먹는 비만약시대 열린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501 김상욱 “당원 아닌 한덕수 후보로 미는 국힘…원칙 어디갔나” new 랭크뉴스 2025.04.21
46500 ‘찔끔’ 추경으로 경기 살리겠나…힘 받는 대선 후 ‘2차 추경론’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9 李 캠프, 외곽 싱크탱크와 ‘실무 협의체’ 구성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8 게임장 협박·갈취 44명 검거…대전서 1.5m 땅꺼짐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7 “이동권부터 보장하라”…전장연 1박2일 집회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6 막히고 빠지고…휠체어 타고 대피시설 가봤더니 [현장K]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5 새 학기 시작됐는데 번복된 의대 정원… 입시생들 ‘한숨’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4 한 대행, 대선 출마 질문에 “노코멘트…아직 결정 안해”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3 [대선팩트체크] 국민의힘 경선 후보, 윤석열·박근혜는 잘못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2 英, 나토 영공 접근 러 항공기 전투기로 차단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1 아파트값·거래량 진정세, 풍선 효과도 미미… 전세대란은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90 배우 윤여정 ‘아들 커밍아웃’ 고백에 예일대 정신과 교수가 한 말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89 "신분당선 타는 여성들 조심"…경찰, 바지 지퍼 내린 군복남 추적 중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88 "현대차서 23년 일했는데 헌신짝처럼 버려져" 고용승계 투쟁 나선 이수기업 노동자들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87 한덕수, 대선 출마 묻자 “노코멘트…결정 안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4.20
46486 의사·전공의·의대생 “의료농단 멈춰라”…정부에 공세 new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