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이동하며 지지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결별론이 점차 고개 들고 있다.

당 조직부총장인 김재섭 의원은 16일 페이스북에서 “불덩이를 움켜쥐고 뜨겁다고 하는데, 방법은 간단하다. 불덩이를 손에서 내려놓으면 된다”며 “조기 대선에서 이기는 방법도 간단하다. 파면당한 전임 대통령과 결별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대선 경선에 출마한 유정복 후보도 같은 날 “일각에서 ‘윤 어게인’이라고 자위하며 과거 속에 살고 있는데, 언제까지 자해행위를 할 것이냐”며 “윤 전 대통령을 집으로 보내드리고, 이재명을 정치권에서 퇴출시키자”고 했다.

일부 후보 캠프에서도 윤 전 대통령과 선 긋기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익명을 원한 캠프 인사는 “캠프 내부에 탄핵에 반대한 이들이 많지만, 이들 사이에서도 대선 선거 운동 때 윤 전 대통령과 거리 둬야 승산이 생긴다는 현실론이 강하다”고 말했다.

탄핵심판 선고 전만 해도 국민의힘 내에는 윤 전 대통령을 ‘손절’하는 것에 대해 신중론이 적잖았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파면 뒤 연일 강경 발언을 이어가자, 당내 기류도 서늘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11일 관저 퇴거 후 서울 서초동 사저로 복귀하면서 “다 이기고 돌아왔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고, 14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 1차 공판에서는 12·3 비상계엄에 대해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영남 지역 국민의힘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이 대선이 끝날 때까지는 민감한 발언을 자제해야 한다. 대선 시즌에 저런 발언은 득이 아니라 독”이라고 지적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 주요 후보 중 누가 최종 후보가 돼도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를 더 벌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6년 10월 9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뒤 의원들이 본회의장을 나서다. 중앙포토
과거 탄핵 혹은 정권 교체 국면에서 전직 대통령과 소속 정당 사이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껄끄러운 결별 과정이 있었다. 2016년 10월 9일 국회 본회의에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의원 128명 중 62명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보수 진영은 분열했고, 새누리당 탈당파는 바른정당 등 제3지대로 이탈했다. 2017년 대선 선거운동 때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는 “나는 박근혜 정부 2기가 아니다”라고 선을 분명하게 그었다. 대선 패배 뒤인 2017년 9월에는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위원장 류석춘)가 박 전 대통령 탈당 권유 카드를 내놓았고, 김태흠·이장우 의원 등 친박계가 “왜 당을 둘로 나누냐”고 반발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탄핵당하지 않았고, 퇴임 당시 지지율도 낮지 않았지만, 정권 교체 뒤 내부 비난 화살을 피하지 못했다. 2022년 대선 직후 진보 진영에서는 “(대선 패배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부동산 정책 실패”(김두관 당시 민주당 의원), “청와대와 민주당은 지난 5년간 내로남불, 독선, 편 가르기 등 나쁜 정치를 했다”(채이배 당시 민주당 비대위원)는 비판이 확산했다.

민주당 주류가 친문계에서 친명계로 바뀐 뒤엔 문 전 대통령을 향한 내부 비판이 더 강해졌다. 김남국 전 의원은 지난해 11월 문 전 대통령이 페이스북에 책을 추천하자 “책 장사 그만하고 촛불 선봉에서 국민의 방패가 되라”며 “윤석열 정권을 탄생시킨 원죄가 있는 문 전 대통령이 반성 없이 한가롭게 신선놀음하는 것은 당원과 국민을 분노케 한다”고 비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0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만들어졌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9 이재명 "일단 용산으로"‥김경수·김동연 "용산은 하루도 안 돼" 랭크뉴스 2025.04.19
46068 이재명 첫 경선 충청서 88% 득표‥'충청 아들' 앞세운 김동연 2위 랭크뉴스 2025.04.19
46067 콜드플레이 “우리 올 때마다 대통령이 없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66 "퇴직금 달라" 노동청 찾은 이주노동자, 불법체류 밝혀져 체포 랭크뉴스 2025.04.19
46065 죗값과 목숨의 무게, 어느게 더 중한가…장제원 부고를 듣고 랭크뉴스 2025.04.19
46064 [인터뷰] ‘인생을 닮은 한 잔’… 칵테일에 삶을 불어 넣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3 '연돈' 사장 "이상한 소문 많아져…백종원 대표 덕에 행복하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2 나경원 캠프에 '尹지지' 김흥국 합류…조직총괄본부장 정양석 랭크뉴스 2025.04.19
46061 트럼프 관세 폭탄에 줄줄이 짐 싸는 美 부유층…어디로 갔나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19
46060 “잠옷만 입은 채 쫓겨나”···‘미아리텍사스’ 강제 철거에 갈등 격화 랭크뉴스 2025.04.19
46059 기관총·연료통 낙하사고, 또 "조종사 실수"…민가 오폭 43일만 랭크뉴스 2025.04.19
46058 脫서울에도 교육 목적 서울 전입은 2년 연속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4.19
46057 “탄핵 후 사과했나?”…“민주당 책임인데 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56 대세론 굳힌 이재명... 민주당 첫 경선서 88% 득표 "과분한 지지에 감사" 랭크뉴스 2025.04.19
46055 관세 폭탄 퍼붓더니…트럼프, 돌연 '90일 유예' 마음 돌린 까닭 랭크뉴스 2025.04.19
46054 한동훈 캠프, 전략총괄위원장에 배현진…친한계 17명 합류 랭크뉴스 2025.04.19
46053 트럼프, 머스크 대신 재무장관에 손…국세청 수장 사흘만에 교체 랭크뉴스 2025.04.19
46052 안철수 "AI 모르죠?" 김문수 "챗GPT도 쓴다"…국힘 토론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19
46051 민주당 첫 경선서 이재명 88.15% 득표…압도적 1위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