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열린 국민의힘 1차 경선 후보자 비전대회에 참석한 후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정복, 홍준표, 김문수, 안철수, 양향자, 나경원, 이철우, 한동훈 후보.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8명이 18일 후보자 비전대회에 참석해 ‘대한민국의 도약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정책과 공약 등을 발표했다. 준비가 부족한 탓인지 이날 발표한 정책들은 규제 혁파와 법인세 감세, 인공지능(AI)을 비롯한 과학기술 발전 등 원론적 수준에 그쳐 실망스러웠다. 대부분 후보들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때리기’에 주력하는 바람에 경제 살리기 정책은 뒷전으로 밀렸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전과자의 나라를 만들지 않기 위해 빅텐트를 만들자”며 이 전 대표를 겨냥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부패한 정치인이 나라를 망친다”고 쏘아붙였다. 한동훈 전 대표도 “괴물 정권 탄생을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철수 의원은 “5개 재판을 받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 것 자체가 국가적 수치”라고 했고, 나경원 의원은 “반시장적 경제 정책을 쓰면 대한민국은 쫄딱 망한다”고 주장했다.
‘반(反)이재명’ 구호에만 매달려온 국민의힘이 뒤늦게나마 정책 선거에 뛰어든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네거티브 전략만으로는 중도층을 비롯한 다수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어렵다. 이날 김 전 장관의 ‘기업하기 좋은 나라’, 홍 전 시장의 ‘선진 대국 시대’, 한 전 대표의 ‘5대 메가폴리스’ 등의 비전 제시는 ‘이재명 심판론’에 묻혀 주목받지 못했다. 국민의힘이 계엄·탄핵 정국의 늪에 갇혀 있을 때부터 대선을 미리 준비한 이 전 대표는 ‘3·4·5 성장 전략’ ‘행정·과학 수도 충청 이전’ 등의 공약들을 선제적으로 내놓고 있다.
국민의힘이 국민 신뢰를 회복하려면 경기 침체와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민생을 살리기 위한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 실패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지속 가능한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 주자들은 노동·연금·교육 등의 구조 개혁과 규제 사슬 혁파, 초격차 기술 개발과 인재 육성을 위한 전방위 지원 등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이재명 심판론’과 ‘윤심(尹心) 바라기’를 넘어 경제 정책 능력과 실천 의지를 보여줘야 정권 재창출을 시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