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당 '불모지' 공략 나선 이재명
①TK : 첨단산업 중심지로 육성
②PK : 글로벌 해양 수도 구축
"'경상도 민심' 확보해야 대선 승리"
넷플 '폭싹 속았수다' 보고 눈물 쏟아
"문화시장 규모 300조 시대 열겠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대구 북구 협동조합 소이랩에서 열린 K콘텐츠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민주당의 험지 중에 험지로 꼽히는 대구를 찾아 영남을 향한 '선물 보따리'
를 몽땅 쏟아냈다. 대구·경북(TK)은 AI·로봇 등 세계적인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부산·울산·경남(PK)은 해양 산업의 메카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경북 안동이 고향인 이 전 대표는 "대구 경북의 아들이 과거의 영광을 되찾아 드리겠다"며 TK 표심 공략
에 나섰다. 전날
'충청의 사위'를 부각하며 세종 수도 이전으로 '중원 구애'
에 나선 데 이어 연일 열세 지역 맞춤 행보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눈물
흘리며 봤다면서 'K문화 산업 시장'을 300조로 키우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대선 레이스 시작 이후 이 전 대표의 지역 방문은 전날 대전에 이어 대구가 두 번째다. 지난
대선 이 전 대표에게 패배를 안긴 불모지부터 먼저 찾아 공을 들이는 모습
이다. 실제 이 전 대표는 이날 TK와 PK 공약을 쌍끌이로 쏟아냈다.

먼저
대구 경북 지역에 대해선 새로운 첨단 산업 중심지로 육성
하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로봇과 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2차 전지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가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및 울릉공항 추진, 남부내륙철도·달빛철도 완공 등을 통한 교통 인프라 구축도 약속했다. 이 전 대표는 "
저는 안동에 태(탯줄)를 묻고 제 뼈와 살과 피를 만들어준 대구·경북의 아들"
이라며
"대구·경북의 명성이 과거의 영광으로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고 강조했다.

부산·울산·경남은 '글로벌 해양수도'로 조성
하기로 했다. '북극항로' 개척을 중심에 두고 대륙철도를 연결하고 조선업을 키우겠다는 게 핵심 전략이다. 경남권을 육·해·공 트라이포트(항만 공항 철도를 연결한 물류 시스템)의 전진기지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도 내걸었다. 경남은 우주·항공·방산 산업의 메카로 구축하고, 울산은 자동차·석유화학·조선 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기로 했다. 나아가 GTX급 광역교통망 건설로 부산·울산·경남을 30분대 생활권으로 만드는 구상도 공개했다. 이른바
'메가시티'를 만들어 지역 균형 발전을 이끌겠다
는 것이다.

경상도 전역을 훑는 대규모 지역 개발 공약을 조기에 발표한 배경에는 영남 민심을 잡아야 압도적 대선 승리를 이끌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난 대선에서 이 전 대표는 TK와 PK를 내주며 고배를 마셨다.
대구·경북 득표율은 20% 초반, 부산 역시 40%를 넘기지 못하는 등 영남의 벽
은 높았다. 이 같은 흐름은 압도적 대승을 안겨준 지난 총선에서도 이어졌다.
특히 부산의 경우 단 1석밖에 얻지 못하는 등 영남 민심은 호락호락하지 않은 상황
이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활동하는 한 민주당 관계자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보수 진영이 오히려 결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유력 대권 주자가 신산업 육성 구상을 구체적으로 밝힌 만큼 반향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재명 캠프 윤호중 선거대책위원장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이 취약 지역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
대선이 끝나면 알겠지만, 더 이상 민주당이 영남에서 약세 정당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자신했다.

"문화 시장 300조 시대 열겠다"

이재명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18일 대구 북구 협동조합 소이랩에서 열린 K콘텐츠 기업 간담회에 참석하기 전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이 전 대표는 이날 대구에서 웹툰 분야 등 문화계 관계자들과 만나 "2030년까지 문화산업 시장 규모를 300조 원, 문화 수출 50조 원 시대를 열겠다"며 문화 강국 육성 프로젝트도 공개했다. 이 전 대표는 간담회에서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감명 깊게
봤다면서 "하나(한 편)만 보고 말아야지 했는데 보다 보니 폭삭 빠져서 봤다. 눈물이 너무 많이 났다.
경상도 사람이라 아내에게 눈물 흘리는 거 들키면 안 돼 몰래 보느라 고생했다"
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문화 콘텐츠가 과거에는 그냥 흥미거리에 불과했다면 지금은 일자리와 관광자원, 그 나라 소프트파워를 결정하는 중요한 자원들인 것 같다"며 문화 관련 예산의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AI(인공지능), 방산업체에 이어 문화 콘텐츠를 대한민국의 차세대 주력 성장 먹거리로 키우겠다는 복안
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과 관련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문화 예술인이 창작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관련 조직을 설립해 콘텐츠 불법 유통을 차단하는 문제 해결에도 나서기로 했다.

대구=박준규 기자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17 "내란 종식" 한목소리‥'개헌·증세' 입장차 랭크뉴스 2025.04.19
45816 “은퇴하는 베이비붐 세대 잡아라”… 시니어 공략 속도 내는 은행 랭크뉴스 2025.04.19
45815 軍통수권자 대통령, 마음대로 軍 동원 못한다…헌재 “軍의 정치 중립 준수 의무”[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9
45814 "나도 유대인이오"…트럼프와 맞짱 뜬 하버드대 총장의 힘 랭크뉴스 2025.04.19
45813 美에 관세 폭탄 맞은 中… 덤핑으로 韓 시장 교란 우려 랭크뉴스 2025.04.19
45812 훈련중 공군 항공기서 연료탱크 떨어져…“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9
45811 "文 책장사 말라" "朴 당 떠나라"…독했던 내부 결별, 尹이 이렇다 랭크뉴스 2025.04.19
45810 "결혼은 했지만 아직 미혼이에요"…요즘 신혼부부, '혼인신고' 안 하는 이유가 랭크뉴스 2025.04.19
45809 ‘폐 이식’ 가수 유열 “삶과 죽음, 그 경계에서 깨달은 것” 랭크뉴스 2025.04.19
45808 [르포] “美 수출 올스톱, 마진 포기하고 버틴다”… 무역 전쟁에 앞날 캄캄한 中 공장들 랭크뉴스 2025.04.19
45807 키워드로 본 93분의 ‘셀프 변론’ [피고인 윤석열]① 랭크뉴스 2025.04.19
45806 아버지 후광 넘어 MLB 삼킨 이정후 [이달의 스포츠 핫 피플] 랭크뉴스 2025.04.19
45805 [세상만사] 당신은 지금 과로하고 있습니다 랭크뉴스 2025.04.19
45804 전자발찌 준수사항 위반 반복한 60대…선처했던 판사도 '분노' 랭크뉴스 2025.04.19
45803 "독도는 일본 땅, 3D로 체험"… 어린 세대 세뇌 작업도 업그레이드 랭크뉴스 2025.04.19
45802 프렐류드, 조성(調聲)을 탐색하는 미니어처의 집합 [休·味·樂(휴·미·락)] 랭크뉴스 2025.04.19
45801 국민 절반 배제한 국민 여론조사로 대선 민심 얻겠다니 [기자의 눈] 랭크뉴스 2025.04.19
45800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대회, 베이징에서 오늘 개최 랭크뉴스 2025.04.19
45799 [피고인 윤석열]① 키워드로 본 93분의 ‘셀프 변론’ 랭크뉴스 2025.04.19
45798 "하루빨리 상경해달라"…금융조합 중앙회 요직 제안받다 [김성칠의 해방일기(16)]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