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철수 “탈당해야” 공개적 요구
홍준표 “시체에 난도질해서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1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나와 서울 서초동 자택으로 향하기 전 손을 흔들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 안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에 영향을 미치려는 윤석열 전 대통령 쪽의 움직임이 노골화하고 있어서다. 안철수 후보는 국민의힘 경선 주자 가운데 처음으로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안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탄핵당한 전직 대통령에게 탈당은 국민과 당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이라며 “스스로 당을 떠나는 것이 우리 당 쇄신의 첫걸음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제는 탈당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이어 “윤 전 대통령은 본인이 당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직시해야 한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해야만 정권 심판이 아닌 시대교체로 프레임을 전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정복 후보도 이날 와이티엔(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필요하다면 탈당도 한 방법이고, 그렇지 않다면 (당의) 출당 조치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경선 후보들도 ‘탄핵 찬반’ 여부와 무관하게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 필요성을 언급했다. 안 후보와 함께 대표적인 당내 ‘탄핵찬성론자’로 꼽히는 한동훈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을 과거로 놓아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탄핵 반대 집회 참석을 주도했던 나경원 후보 역시 “대선 경선에 윤 전 대통령을 자꾸 끌어드리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안철수 후보를 제외한 다른 경선 후보들이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에 대해선 말을 아끼는 홍준표 후보는 탈당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명확히 했다. 홍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선거사무소에서 연 비전발표회 뒤 기자들과 만나 “3년 동안 정치를 잘못돼 탄핵당했지만, 시체에 또 난도질하는 건 도리가 아니”라며 “(탈당을 요구한) 안 후보는 당을 하도 많이 옮겨 봤으니까 별 게 아니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난 당을 30년 지켜온 사람”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를 지낸 뒤 탈당해 국민의힘을 창당하고 이후 바른정당을 거쳐 국민의힘에 합류한 안 후보의 ‘잦은 당적 변경 이력’을 꼬집은 것이다.

17일 언론공지를 통해 윤석열 신당 추진 의사를 밝힌 김계리 변호사가 지난 2월13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 대통령 윤석열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가 공개적으로 표출된 건 전날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변호인단 일부가 ‘윤 어게인 신당’ 창당을 예고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전날 김계리 변호사 등 정치지망생 5명이 신당 창당 기자회견을 예고하자 국민의힘 지도부엔 비상이 걸렸다.

당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대선이 치러지는 상황에서 신당 창당이 말이 되는 소리냐”고 했다. 결국 김 변호사 등은 창당 기자회견을 예고한 지 4시간 만에 “국민의힘으로부터 압박이 오늘 하루 빗발쳤다”며 기자회견을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은 언론 공지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뒤 자신들이 윤 전 대통령을 3차례 만난 사실을 언급하며 “(신당 창당은) 윤 전 대통령의 의중”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의중은 ‘청년들의 자발적인 윤 어게인 운동이 정치참여로 나타나야 하며, 청년들의 순수한 정치운동에는 아버지처럼 함께하겠다’는 말씀이었다”고 했다.

국민의힘 안에선 파면당한 윤 전 대통령이 대선 정국에서 공개적으로 정치적 메시지를 내는 것을 극도로 우려하고 있다. 한 영남권 초선의원은 “같이 망하자는 얘기다. 국민의힘 승리, 보수재건을 위한다면 윤 전 대통령은 침묵하고 자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욱 의원도 한겨레에 “신당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해당 행위다. 윤 전 대통령을 징계·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46 국힘, 오늘 첫 경선토론회… 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청년미래’ 주제로 토론 랭크뉴스 2025.04.19
45845 6년 임기 마친 문형배·이미선…기본권 신장 앞서고 ‘소수의견’도 여럿 랭크뉴스 2025.04.19
45844 공군기 연료탱크·기관총 낙하‥"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9
45843 '신안산선 붕괴사고'로 숨진 50대 근로자 발인 엄수 랭크뉴스 2025.04.19
45842 중국 수출통제에…산업계, 탈중국 희토류 확보 ‘발등 불’ 랭크뉴스 2025.04.19
45841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져요"... '귀여움'에 열광하는 어른들 랭크뉴스 2025.04.19
45840 "주꾸미 하루에 3kg 밖에 안 잡혀"…비명 터진 서해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9
45839 실적 꺾이는 곳 나오기 시작... 화장품株 ‘옥석 가리기’ 나선 운용사들 랭크뉴스 2025.04.19
45838 전국에 돌풍·천둥·번개 동반한 비…낮 기온 15∼28도 랭크뉴스 2025.04.19
45837 6년 임기 마친 문형배·이미선 “시민으로 돌아가 헌재 응원할 것” 랭크뉴스 2025.04.19
45836 19일 토요일 전국 대체로 흐리고 비, 돌풍과 천둥·번개도 랭크뉴스 2025.04.19
45835 대치동 강사가 된 '성추행 파면' 교사 랭크뉴스 2025.04.19
45834 사부작사부작 변할 수밖에 [하영춘 칼럼] 랭크뉴스 2025.04.19
45833 [우리 곁의 저작권] ① 부장님 카톡도 '지브리 프사'…AI 이미지 저작권 쟁점은 랭크뉴스 2025.04.19
45832 [실손 대백과] “남 도와주다 골절상 입혔어요”… 일상 속 사고 보상 ‘일배책’ 활용법은 랭크뉴스 2025.04.19
45831 “러-우크라 중재 접을 수도…휴전 합의 원해” 랭크뉴스 2025.04.19
45830 [샷!] "무소유 하러 갔다가 풀소유로 돌아왔어요" 랭크뉴스 2025.04.19
45829 봄바람에 실려오는 제주 향기…우도 소라, 남원읍 고사리 축제 랭크뉴스 2025.04.19
45828 "작업중단! 대피하라!"…지하터널 붕괴 직전 다급했던 무전 랭크뉴스 2025.04.19
45827 6년 임기 마치고 퇴임…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헌재에 남긴 것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