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리원, 고된 업무 환경 개선 요구
‘건강권 침해다’···학생·학부모 우려
“생계·학생 다 걱정···학교와 대화”
타 학교도 불안···인력부족 ‘악순환’
대전둔산여고 복도에 석식 중단에 관한 한 학생과 조리원들의 입장문이 나란이 붙어 있다. 사진제공=학비노조

[서울경제]

“손가락이 휘고 팔과 다리, 무릎 모두 성한 곳이 없습니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서 투쟁을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덜 아프면서 일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학교가 바로 석식(저녁 급식)을 중단해 가슴이 턱 막혔습니다.”

2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석식이 중단됐다. 이 학교 조리원들과 학교 측은 급식실 근로 환경 개선을 놓고 대치하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석식 중단으로 학생 건강권과 학습권이 침해될 수 없다’며 빠른 상황 해결을 원하는 목소리가 많다. 조리원들은 학교와 대화에 나설 방침이다.

조리원들과 학교 측 갈등은 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양 측은 지방노동위원회에서 중재가 어려울 정도로 골이 깊다. 결국 조리원들은 교직원 배식대 운영을 거부하고 식기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쟁의 행위를 했다. 하지만 학교 측은 이 쟁의 행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양 측은 이견을 좁히지 못했고 석식 중단이란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조리원들의 입장은 13일 둔산여고 한 학생과 편지와 답신 형식으로 주고 받은 글에서 확인된다. 조리원들은 “석식 중단으로 인해 우리의 생계와 학생들의 저녁이 걱정된다”며 “다른 학교에서는 원만하게 개선되는 일(작업 환경)이 우리 학교만 안 되고 있다”고 답답해했다.

조리원들은 학교 측과 근본적 갈등 원인이 학생 수에 비해 너무 부족한 조리원 수라고 지적했다. 학교 식수 인원이 여느 공공기관의 2~3배에 이른다고 했다. 이 문제는 학교와 교육청이 재원을 확보해 함께 풀어야 한다. 단 조리원들은 “교육청, 학생, 교직원, 학부모 모두와 대화를 하겠다”며 석식 중단이 장기화되지 않을 가능성도 엿보이게 했다.

둔산여고와 같은 상황을 겪을 학교가 전국적으로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16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개한 전국 학교급식실 실태조사에 따르면 작년 급식 조리실무사(조리원) 중 정년을 채우지 않고 자발적으로 퇴사한 비율은 60.4%다. 이 비율은 2022년 56.7%에서 2023년 57.5%로 계속 오르고 있다.

입사한 지 3개월 이내 퇴사한 비율도 상승세다. 2022년 상반기 11.7%였던 퇴사율은 작년 상반기 15.6%로 증가했다. 하지만 학교는 이탈한 인력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상반기 급식실 채용 미달율은 평균 29%다. 서울의 경우 이 비율은 84.5%로 3배가 넘는다.

비정규직노조는 이 상황을 지속적으로 경고해왔다. 조리원은 센 노동 강도에 비해 임금이 낮고 산재 위험까지 높아 근로자들이 버티기 어렵다. 이번 설문 결과에서도 조리원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이 재확인됐다. 비정규직노조는 “학교급식은 노동강도가 상상을 넘는다”며 “근골계질환 발생률은 농업인과 선박 제조업 보다 높다, 학교급식 노동자의 폐암 산재 신청 건수는 214건에 이른다”고 대책을 촉구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64 여수 섬에서 관광객 3명 복어 먹고 중독 증세···해경 긴급 이송 랭크뉴스 2025.04.20
46163 이재명, 민주당 첫 경선 압승‥충청 88% 득표 랭크뉴스 2025.04.20
46162 [New & Good] 불황에는 추억을 팔아라…'단종' 도시락, 라면이 돌아온다 랭크뉴스 2025.04.20
46161 한국 애니 '킹 오브 킹스' 북미 흥행 지속…8일간 500억원 수입 랭크뉴스 2025.04.20
46160 "복권 2580만장 사서 1등 823억 당첨" 텍사스 발칵 뒤집힌 사건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4.20
46159 이재명, 충청 경선 88% 압도적 1위…김동연 2위·김경수 3위 랭크뉴스 2025.04.20
46158 국힘 잠룡들의 '핫플'… 대통령 3명 배출한 '그 빌딩'은 어디? 랭크뉴스 2025.04.20
46157 [샷!] 발마사지 해주며 천천히 교감을 시작했다 랭크뉴스 2025.04.20
46156 “주거·생계 따져야”…대법 ‘1세대’ 기준 변경 [허란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4.20
46155 [작은영웅] 톨게이트 직원들 감탄하게 만든 마술사의 5년 전 영상 랭크뉴스 2025.04.20
46154 직장동료 둔기로 살해하려 한 40대…"고의 아냐" 주장에도 실형 랭크뉴스 2025.04.20
46153 美경고 겁났나…러, 30시간 휴전 일방선언·우크라는 연장 제안(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0
46152 밤 12시 되면 트래픽 폭주…'운세'에 푹 빠진 MZ들, 왜 [비크닉] 랭크뉴스 2025.04.20
46151 '연돈' 사장, 착취설 직접 입 열었다 "백종원 대표 덕에 행복" 랭크뉴스 2025.04.20
46150 LNG, 조선 外 대미 협상 카드는… 항공기·무기·농축산물·원유 랭크뉴스 2025.04.20
46149 금융당국, 이번주 홈플러스 사태 檢이첩…'채권 사기 발행' 정황 랭크뉴스 2025.04.20
46148 토허제 후폭풍·증시 급등락…5대은행 가계대출 이달 2.5조원↑ 랭크뉴스 2025.04.20
46147 느낌에 몸을 맡기면 AI가 코딩을 척척?…‘바이브 코딩’이 뭐길래[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4.20
46146 ‘바로미터’ 충청 “탄핵당 재집권 막아야” vs “그래도 이재명은 좀…” 랭크뉴스 2025.04.20
46145 "AI 100조 투자" "난 200조"…대선 숫자 싸움, 알맹이가 없다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