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월부터 입항 수수료 단계적 부과

미국이 자국 항만을 이용하는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에 수백만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해운업계가 업황 침체를 우려하고 있다. 국내 해운사들은 중국산 선박 보유 비중이 높지 않아 입항 수수료 타격이 크지 않지만, 해운 경기 자체가 꺾이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반면 국내 조선사는 미국의 이번 조치로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요가 줄어 반사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7일(현지 시각)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수수료는 180일 유예 기간을 두고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부과된다.

우선 USTR은 중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에 톤(t)당 50달러(약 7만1000원)의 입항 수수료를 징수하고, 매년 인상하기로 했다. 다른 나라 기업이라도 중국산 선박을 갖고 있다면, 10월 14일부터 t당 18달러가 매겨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펴낸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

입항 수수료가 부과되면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려는 수요가 줄어 전 세계 해운·조선업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줄어들 전망이다. 실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 관세로 145%(품목별 최대 245%)를 부과한 첫 주부터 중국 내 컨테이너선 물동량이 감소했다. 지난 15일 중국 교통운수부는 4월 둘째 주(7~13일) 중국 항구의 컨테이너 처리량이 594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로 전주 대비 6% 떨어졌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 간 화물 운송 취소 건수도 급증하는 추세라고 한다.

컨테이너 물동량이 줄면서 해상 운임도 하락하고 있다. 해상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Shanghai Containerized Freight Index)는 11일 기준으로 1394.68포인트(p)를 기록했다. 해운사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지는 1000p는 웃돌지만, 지난해 7월 고점(3733.80p)과 비교하면 65% 떨어진 상태다.

국내 해운사들은 해운 수요 위축, 운임 하락으로 해운업황이 나빠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입항 수수료에는 운항 항로 재조정, 선복 공유 등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구조적 침체기는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주 노선이 있는 HMM, SM상선의 경우 중국산 선박 비중이 크지는 않다. HMM은 전체 선박 82척 중 4척, SM상선은 총 14척 중 2척만 중국산이다. 이들은 중국산 선박을 미주 노선 대신 다른 노선에 투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에 항만 수수료 조치가 더해지면서 해운업이 침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재혁 LS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관세 정책과 각국의 보복 관세, 수출 규제 대응에 따라 전 세계 해운 수요가 타격을 입을 전망이며, 특히 컨테이너 화물, 자동차 해운 부문에서 수요가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반면 이번 조치로 한국 조선사들이 반사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 입항 수수료 부담이 커지면 선사들이 중국산 선박 대신 한국산 선박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에서다.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엑손모빌이 중국에 액화천연가스 벙커링 선박(LNGBV·Liquified Natural Gas Bunkering Vessel) 2척을 맡기기로 했다가 미국 입항 수수료가 공개된 후 취소한 사례도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87 섹스처럼 그 호르몬 뿜었다…딴사람 까는 ‘뒷담화’의 비밀 랭크뉴스 2025.04.19
46086 여수 섬마을서 복어 먹던 3명 신체 마비로 긴급이송…1명 위중 랭크뉴스 2025.04.19
46085 이재명, 충청 경선 88% 압도적 1위…김동연 2위 김경수 3위 랭크뉴스 2025.04.19
46084 전남 여수서 복어 독 중독된 3명 긴급이송 랭크뉴스 2025.04.19
46083 민가 오폭 한 달 만에…공군 공격기서 기관총·연료탱크 낙하 사고 랭크뉴스 2025.04.19
46082 "회사 나가면 최대 7억 준대"…신의 직장 뿌리치고 퇴사 신청하는 사람 '무려' 랭크뉴스 2025.04.19
46081 트럼프 집권 후 미국행 급감…3월 한국인 방문객 작년보다 15%↓ 랭크뉴스 2025.04.19
46080 식약처, ‘몽고간장 국’ 회수···발암가능물질 초과 검출 랭크뉴스 2025.04.19
46079 한동훈, 대선 캠프 후속 인선… 친한계 의원 17명 전진 배치 랭크뉴스 2025.04.19
46078 여수 섬마을서 복어 먹은 60대 3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4.19
46077 전광훈 "대선 출마‥윤 전 대통령 모셔올 것"‥파면에도 신당 논란까지 랭크뉴스 2025.04.19
46076 1168회 로또 1등 21억3600만원씩…당첨명당 13곳 어디 랭크뉴스 2025.04.19
46075 국민의힘도 첫 경선 토론‥'이재명'·'계엄 옹호' 놓고 설전 랭크뉴스 2025.04.19
46074 선관위에 '의문의 붉은 천'‥'외국인 5명' 이미 출국 랭크뉴스 2025.04.19
46073 [대선팩트체크] 김문수, 계엄 옹호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4.19
46072 '언론사 단전·단수' 이상민 18시간 밤샘조사‥'혐의 부인' 랭크뉴스 2025.04.19
46071 “테슬라, 주행거리계 조작해 무상 보증기간 단축” 소송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70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만들어졌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9 이재명 "일단 용산으로"‥김경수·김동연 "용산은 하루도 안 돼" 랭크뉴스 2025.04.19
46068 이재명 첫 경선 충청서 88% 득표‥'충청 아들' 앞세운 김동연 2위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