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국내 배달 플랫폼 1위, '배달의민족'이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내도록 했습니다.

업주들은 반발하고 있는데요.

경제산업부 김채린 기자와 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포장 주문이면 고객들이 앱으로 주문하고 직접 가서 받아 가는 거잖아요?

그런 경우에도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이번 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결제금액의 6.8%인데요.

10% 부가세는 별도라서 이것까지 더하면 실제론 결제금액의 7.5% 정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손님이 2만 원짜리 포장 주문을 했다고 하면,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로 2만 원의 7.5%인 천5백 원가량을 가져가는 거죠.

[앵커]

배달의민족이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기로 한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배달의민족은 2020년부터 지금과 비슷한 형태의 음식 포장 주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이때부터 받았어야 하는 포장 중개료를 미루고 미루다 5년 뒤인 이제서야 받는 거라고 설명합니다.

업주들이 배달 앱으로 더 간편하게 주문을 받을 수 있게 됐으니 이용료를 받았어야 하지만, 코로나19 시기 등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해 포장 중개 수수료를 계속 면제해 왔다는 겁니다.

배달 주문이나 포장 주문이나 배달의민족 앱을 이용하는 건 똑같고, 서비스 개발, 운영비가 들어가는데 그동안 포장 중개에서 나오는 수익이 없었다, 결국 다른 데서 번 돈을 포장 중개하는 데에 써야 한다는 건데 서비스 구조상 맞지 않는 거 아니냐, 이런 논리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만 이런 수수료를 받는 건가요?

[기자]

그건 아닙니다.

다른 플랫폼도 받고 있는데요.

요기요는 7.7%, 공공배달앱 먹깨비는 1.5%의 포장 중개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쿠팡이츠는 무료로 포장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안 들어가던 돈이 갑자기 들어가게 된 거니까, 업주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부담되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업종별로 그 여파에 차이는 있겠지만, 추가 지출은 불가피한데요.

분식점 사장님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영명/분식집 사장 : "작년에 배달의민족에서 발생한 매출을 찾아봤더니 포장 주문으로 발생한 주문 건에 중개 수수료가 추가가 되게 되면, 소득이 월에는 16만 원 정도, 연간 한 190만 원 정도 감소하더라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앞으로는 배달의민족 앱을 사용하지 말고 매장에 직접 전화하거나 수수료가 저렴한 플랫폼을 통해 포장 주문을 해달라고 손님들에게 부탁하겠다는 업주도 있었고요.

배달의민족으로는 더 이상 포장 주문을 받지 않겠다, 나아가서 아예 배달의민족 앱을 쓰지 않겠다, 회원에서 탈퇴했다는 가게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부 업주는 포장 손님에게 제공하던 서비스 메뉴, 할인 혜택을 없애는 등 다른 비용 절감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할인 혜택을 없앤다면 소비자들한테도 부담이 가는 거 아닌가요?

[기자]

이번 포장 수수료는 업주한테 부과되는 거고, 소비자가 내는 돈이 당장 늘어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앞으로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포장 수수료 부담 때문에 업주들이 결국 포장 메뉴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이 중개 수수료와 배달료를 받고 있는 배달 메뉴 가격을 보면요.

매장 주문 가격보다 더 높게 정해진 이른바 '이중 가격제'가 일반화돼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제가 만난 한 시민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배달의민족 이용 소비자 : "판매하면서 마진이라는 게 좀 있어야 되는데 업주도 당연히 경기가 어려워서 힘들 텐데 업주 입장에서도 당연히 부담이 되고, (결국) 소비자가 이용하는 가격이 더 올라가게 되니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거 같아요."]

[앵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업주 모두 불만이 많은 건데, 그렇다고 배달의민족이 이미 시작된 수수료 제도를 다시 철회할 가능성은 작아 보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이미 5년 동안 무료 정책을 폈고, 지난해 7월부터 시간을 두고 전면 유료화를 예고했기 때문에 포장 중개 수수료는 불가피하단 게 배달의민족 입장이고요.

다만 새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서비스 개선에도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

포장 주문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만들고 이용도 활성화해서, 소비자와 업주에게 모두 이익이 돌아가게 하겠다는 건데요.

우선 소비자에게는 직접 가서 음식을 받아오는 만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포장 주문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겠단 거고요.

업주 입장에서도 포장 주문이 늘수록 수익성이 높아질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포장 주문은 업주가 배달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남는 게 더 많다는 거죠.

현재 배달의민족 앱에서 포장 주문은 전체 주문의 5% 정도에 그치는 걸로 알려졌는데요.

배달의민족은 연간 300억 원을 투자해 이 비중을 두 자릿수로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앵커]

배달의민족같은 배달앱의 수수료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잖아요?

[기자]

네 배달 플랫폼이 단순 중개만으로 10%가량의 수수료를 받아 가는 건 너무 과하다, 이런 반발이 꾸준히 있었죠.

결국 배달의민족은 수수료를 낮추되 매출에 따라 배달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상생안을 지난 2월부터 시행해 왔습니다.

그런데 채 두 달도 안돼 또다시 수수료를 추가한 건데요.

이 때문에 소상공인과 상생 의지가 있는 거 맞냐 이런 의심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배달의민족은 배달앱 사용자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60%에 가까운 절대 강자입니다.

요즘 배달앱 안 쓰는 사람을 찾기가 힘든데, 공공배달 앱은 제대로 활용이 안 되고 있고, 자영업자들은 배달의민족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이런 상황에서 배달 플랫폼 수수료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지 잘 지켜봐야겠네요.

김채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신선미 강지은/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80 안철수 "尹 탈당하라" 홍준표 "시체에 난도질"... 국민의힘 난타전 랭크뉴스 2025.04.18
45579 양꼬치 골목 찾아가서 “중국으로 꺼져”···일본 ‘혐한’ 닮아가는 ‘윤어게인 집회’ 랭크뉴스 2025.04.18
45578 [마켓뷰] 관세 협상 기다리는 韓 증시… 코스피 거래 대금 불과 5.5兆 랭크뉴스 2025.04.18
45577 선관위, '中해킹 주장' 4·2보선 참관인 3명 개표방해로 고발 랭크뉴스 2025.04.18
45576 中, 미국산 LNG 수입 전면 중단… “고관세로 사실상 무역 중지” 랭크뉴스 2025.04.18
45575 [줄기세포 한·일전]② 日 질주하는데 韓 “치료 승인 0건” 랭크뉴스 2025.04.18
45574 서울 강남구 한 공사현장에서 물탱크차 추락…1명 경상 랭크뉴스 2025.04.18
45573 [단독] 미래에셋證 주문 먹통 사태 원인, “시스템 아닌 직원 실수” 랭크뉴스 2025.04.18
45572 ‘성인 남성이 학생 접촉’ 강남구 초등학교 인근서 신고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18
45571 "음료 사줄까" 초등생에 접근한 남자들…강남 덮친 '유괴 공포' 랭크뉴스 2025.04.18
45570 정부, ‘독도 영유권 주장’ 일본 영토주권전시관 재개관에 “즉시 폐쇄 촉구” 랭크뉴스 2025.04.18
45569 “손가락 휘고 무릎 성한 곳 없다”…학교 급식실의 비명, 석식은 중단됐다 랭크뉴스 2025.04.18
45568 ‘계몽’ 김계리 “국힘에 기대 안 해…청년들 또 그들 앵벌이 될 것” 랭크뉴스 2025.04.18
45567 [단독] 국민의힘, 대공수사권 부활·검찰 독립성 강화 대선 공약 추진 랭크뉴스 2025.04.18
45566 "감사 인사 까먹은 분 없나요?"... 퇴임식 내내 웃은 문형배·이미선 랭크뉴스 2025.04.18
45565 한은의 '역성장' 경고… 성장경로 정상화 비용 최소 24조 랭크뉴스 2025.04.18
45564 '서울대 딥페이크' 주범 항소심서 징역 9년…"비난가능성 커"(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563 ‘서울대 딥페이크’ 주범 2심서 1년 감형…징역 9년 선고 랭크뉴스 2025.04.18
45562 [속보] 원·달러 환율, 4.4원 오른 1423.3원 마감 랭크뉴스 2025.04.18
45561 "시체에 난도질…사람 도리 아냐"…홍준표, 安의 ‘尹탈당론’에 격분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