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초보다는 2조2000억원 늘었지만
소상공인 등 어려움 덜기엔 ‘역부족’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심의를 위한 임시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정부가 18일 편성한 12조2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두고 ‘찔끔 대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당초 정부 계획보다 2조2000억원 더 늘렸지만, 장기간 내수 침체로 고통받는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덜기에는 부족한 규모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취약계층과 민생 분야에 지원을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추경 규모로 당초 10조원보다 소폭 늘어난 12조2000억원을 제시했다. 영남권 산불 등 재해재난 대응(3조2000억원), 통상 및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지원(4조4000억원), 소상공인 등 민생안정(4조3000억원)에 집중한 ‘핀셋 추경’이다. 규모 면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적정 추경 규모로 제안한 15조~20조원에 미치지 못한다.

‘찔끔 추경’으로는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달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한국 경제 상황이 장기 불황의 늪 초입에 있다. 한은은 올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예고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0%대로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류덕현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 침체가 깊어지고 있는데, 정부가 국가 경제를 확고하게 회복시키겠다는 신호를 주기에는 추경 규모가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2500조원대인 한국 국내총생산(GDP) 규모에 비해 추경 규모가 많이 부족하다”며 “정부가 재정을 풀어 소비 여력을 늘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세부 내용에서는 취약계층·민생 분야 지원을 늘리라는 조언이 나왔다. 김은정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반도체 및 AI 인프라 구축 등 장기적 전략사업 지원에 가장 큰 비중(4조4000억원)을 둔 반면, 직접적인 민생 복지 대책은 부족하다”며 “생활고 사망 등 민생 위기의 징후가 곳곳에서 표출되는데도 긴급복지지원제도 확대와 같은 실질적이고 즉각적인 지원이 없다”고 지적했다.

류 교수는 “민생 대책 중 즉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항목이 별로 없다”며 “소상공인·저소득층 지원 대책 상당 부분이 금융 지원인데 이는 빚내라는 얘기일 뿐이고, 자영업자 대책도 언 발에 오줌누기식”이라고 평가했다.

재해·재난 분야에서는 산불 피해 지원보다 장비 구입 등 예방 관련 예산이 더 많았다. 산불피해 복구 예산 중 피해주민에게 직접 지원하는 예산은 1조1000억원인데, 예비비는 그보다 많은 1조4000억원을 증액했다.

정부는 이번 추경이 ‘경기 진작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다만 국회 심사 과정에서 증액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김윤상 기재부 2차관은 사전 브리핑에서 “국회에서 증액 요구가 있을 때 요구하는 내용이 추경의 목적과 부합하다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추경 규모를 최소 15조로 늘리자고 요구하고 있다.

이번 추경에서 세입경정은 빠졌다. 올해도 3년 연속 세수펑크가 확실시되는 만큼, 세입 추계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에 따라 약 8조3000억원의 세수 결손 보전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대선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면 2차 추경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 새 정부가 2차 추경을 추진한다면 세입경정 추경 편성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독]남아돌아 깎는다던 긴급복지 예산…실집행률은 ‘100%’ 초과정부가 예산을 다 채워 쓰지 못했다는 이유로 긴급복지지원 사업 예산을 삭감했으나, 실제로는 다른 사업 예산을 끌어다 쓸 정도로 집행률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예산을 땡겨와 쓰고, 최종적으로 일부 금액이 남는 구조인데 신속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서는 정부가 본예산을 적극적으로 편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지...https://www.khan.co.kr/article/202411051559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84 전남 여수서 복어 독 중독된 3명 긴급이송 랭크뉴스 2025.04.19
46083 민가 오폭 한 달 만에…공군 공격기서 기관총·연료탱크 낙하 사고 랭크뉴스 2025.04.19
46082 "회사 나가면 최대 7억 준대"…신의 직장 뿌리치고 퇴사 신청하는 사람 '무려' 랭크뉴스 2025.04.19
46081 트럼프 집권 후 미국행 급감…3월 한국인 방문객 작년보다 15%↓ 랭크뉴스 2025.04.19
46080 식약처, ‘몽고간장 국’ 회수···발암가능물질 초과 검출 랭크뉴스 2025.04.19
46079 한동훈, 대선 캠프 후속 인선… 친한계 의원 17명 전진 배치 랭크뉴스 2025.04.19
46078 여수 섬마을서 복어 먹은 60대 3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4.19
46077 전광훈 "대선 출마‥윤 전 대통령 모셔올 것"‥파면에도 신당 논란까지 랭크뉴스 2025.04.19
46076 1168회 로또 1등 21억3600만원씩…당첨명당 13곳 어디 랭크뉴스 2025.04.19
46075 국민의힘도 첫 경선 토론‥'이재명'·'계엄 옹호' 놓고 설전 랭크뉴스 2025.04.19
46074 선관위에 '의문의 붉은 천'‥'외국인 5명' 이미 출국 랭크뉴스 2025.04.19
46073 [대선팩트체크] 김문수, 계엄 옹호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4.19
46072 '언론사 단전·단수' 이상민 18시간 밤샘조사‥'혐의 부인' 랭크뉴스 2025.04.19
46071 “테슬라, 주행거리계 조작해 무상 보증기간 단축” 소송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70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만들어졌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9 이재명 "일단 용산으로"‥김경수·김동연 "용산은 하루도 안 돼" 랭크뉴스 2025.04.19
46068 이재명 첫 경선 충청서 88% 득표‥'충청 아들' 앞세운 김동연 2위 랭크뉴스 2025.04.19
46067 콜드플레이 “우리 올 때마다 대통령이 없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66 "퇴직금 달라" 노동청 찾은 이주노동자, 불법체류 밝혀져 체포 랭크뉴스 2025.04.19
46065 죗값과 목숨의 무게, 어느게 더 중한가…장제원 부고를 듣고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