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18재단에 이어 4·3재단도 이달 도입
부족한 인력 대응 도와···정확도 90%
'12·3 비상계엄'으로 악플 건수 치솟아
"2차 피해 막기 위해 국가 지원 필요해"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이튿날인 12일 오후 도민과 관광객이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을 찾아 둘러보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지난해 12월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시민들이 오월 영령에 참배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서울경제]

광주 5·18 민주화운동과 제주 4·3 등 역사적 사건에 대한 허위·왜곡 사실 유포가 증가하는 가운데 다양한 유형의 악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과거사 재단이 인공지능(AI) 모니터링 시스템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확인했던 과거에 비해 한층 진일보했지만 늘어나는 악플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제주4·3평화재단 등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제주 4·3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AI 악플 대응 시스템이 도입됐다. 앞서 지난해 3월부터 5·18기념재단이 악플 대응에 AI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데 이어 제주4·3평화재단도 동일한 시스템을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5·18기념재단은 디시인사이드·일간베스트 등 3개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다 올해부터 22개 사이트로 대응 범위를 확대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올라온 5·18민주화운동 왜곡·폄하 게시물.


이들 과거사 재단이 AI 악플 대응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로는 늘어나는 악플 대비 부족한 재단의 인력이 꼽힌다. 5·18 민주화 운동과 제주 4·3 모두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악플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정부 지원은 없다. 홈페이지에서 운영 중인 신고 센터를 통해 악플·악성 게시물이 접수되더라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처리에는 평균 4~8개월, 길게는 1년 가까이가 소요된다고 한다. 제도적 대응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니 결국 사람의 손으로 악플을 일일이 판별한 뒤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자와 플랫폼의 방침에 맡길 수밖에 없었다.

반면 AI 악플 대응 시스템은 인력 5명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시스템에 악플 데이터를 모아 학습시키면 추후 수집된 텍스트에 대해 AI가 1차 판별을 진행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사람이 악플 여부를 판단하지만 시스템의 정확도는 89~91%에 육박할 만큼 정밀하다. 텍스트뿐 아니라 동영상에 대해서도 AI가 특정 구간이 ‘허위 사실’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시스템을 통해 악플의 정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5·18 민주화 운동의 경우 2023년 597건이던 악플 감지 건수는 지난해 1728건으로 크게 높아졌다. ‘소년이 온다’를 쓴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탄 지난해 10월에도 악플 건수가 치솟았다.

이후 지난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탄핵 반대 세력이 집결되면서 올 2월 한 달에만 696건에 달하는 악플이 게시됐다. 지난 한 해 동안 달린 악플 건수의 40%가 2월에 집중적으로 쏠린 것이다. 업체 측은 “국내 정치의 불안정성의 영향을 받아 유튜브 악성 게시물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내란’ 등 특정 키워드의 언급도 늘었다.

과거사 재단 측은 악플 대응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늘어나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5·18기념재단 측은 “왜곡·폄하 게시물은 일반 시민들과 당사자·유가족에게 2차 피해를 준다”면서 “지난해 5·18 민주화 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도 국가가 왜곡에 대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보고서에서) 언급했지만 실제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특히 제주 4·3은 특별법 내 사실 왜곡·폄하에 대한 형사처벌 조항도 없는 상황이다. 업체 측은 “AI가 수집한 악플 데이터로 처벌 강화를 위한 구체적 근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19 한동훈 “尹 대통령은 과거로 두고 미래로 가자” 랭크뉴스 2025.04.18
45518 박나래 자택에서 수천만원 금품 훔친 30대 남성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4.18
45517 ‘언론은 적’…1호 당원부터 원내대표·대선 주자도, 한결같은 국힘 랭크뉴스 2025.04.18
45516 박나래 자택서 금품 훔쳐 장물 내놨다…30대 절도범 결국 랭크뉴스 2025.04.18
45515 '희대의 사기꾼' 81세 장영자 또 실형…감옥살이만 34년, 뭔일 랭크뉴스 2025.04.18
45514 박나래 자택 절도범 구속 송치… 훔친 금품 장물로 내놔 랭크뉴스 2025.04.18
45513 "이대로면 대선 필패"…안철수, 공개적으로 尹 탈당 촉구 랭크뉴스 2025.04.18
45512 포장에도 중개수수료?…배민 시행 첫 주부터 ‘시끌’ [뉴스in뉴스] 랭크뉴스 2025.04.18
45511 한준호, '윤어게인 신당' 두고 "좀비들 각축장 보는 듯" 랭크뉴스 2025.04.18
45510 대통령과 국회 충돌땐…떠나는 문형배 재판관이 내놓은 해법 랭크뉴스 2025.04.18
45509 나경원 "교육감 직선제 폐지, 수능 100% 전형 연2회 실시" 공약 랭크뉴스 2025.04.18
45508 대구 찾은 李 “수도권서 떨어진 거리 따라 지역 예산 가중치 둬야” 랭크뉴스 2025.04.18
45507 '채상병 사건' 박정훈 대령측, 2심서 "尹 전 대통령 증인 신청"(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506 "난 매일 사용하는데"…대장암 전문의는 절대 안 쓴다는 '구강청결제', 왜? 랭크뉴스 2025.04.18
45505 [단독] '22대 총선 선거방송 심의는 참사'‥방심위 직원들 양심고백 랭크뉴스 2025.04.18
45504 트럼프 관세에 ‘럭셔리 기업’도 발 동동···에르메스 “가격 인상”·루이뷔통 “미국 생산 증가” 랭크뉴스 2025.04.18
45503 무너진 다리를 넘은 기적… “다시 숨 쉬는 매일이 선물” 랭크뉴스 2025.04.18
45502 법원, 尹 21일 재판도 지하주차장 진출입 허용…法 “사회적 관심도 고려” 랭크뉴스 2025.04.18
45501 CEO 부재에 경영난… 車 판매 세계 5위 스텔란티스 ‘흔들’ 랭크뉴스 2025.04.18
45500 법원, 윤 전 대통령 21일 재판도 지하주차장 출입 요청시 허용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