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18재단에 이어 4·3재단도 이달 도입
부족한 인력 대응 도와···정확도 90%
'12·3 비상계엄'으로 악플 건수 치솟아
"2차 피해 막기 위해 국가 지원 필요해"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이튿날인 12일 오후 도민과 관광객이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을 찾아 둘러보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지난해 12월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시민들이 오월 영령에 참배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서울경제]

광주 5·18 민주화운동과 제주 4·3 등 역사적 사건에 대한 허위·왜곡 사실 유포가 증가하는 가운데 다양한 유형의 악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과거사 재단이 인공지능(AI) 모니터링 시스템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확인했던 과거에 비해 한층 진일보했지만 늘어나는 악플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제주4·3평화재단 등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제주 4·3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AI 악플 대응 시스템이 도입됐다. 앞서 지난해 3월부터 5·18기념재단이 악플 대응에 AI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데 이어 제주4·3평화재단도 동일한 시스템을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5·18기념재단은 디시인사이드·일간베스트 등 3개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다 올해부터 22개 사이트로 대응 범위를 확대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올라온 5·18민주화운동 왜곡·폄하 게시물.


이들 과거사 재단이 AI 악플 대응 시스템을 도입한 이유로는 늘어나는 악플 대비 부족한 재단의 인력이 꼽힌다. 5·18 민주화 운동과 제주 4·3 모두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악플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정부 지원은 없다. 홈페이지에서 운영 중인 신고 센터를 통해 악플·악성 게시물이 접수되더라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처리에는 평균 4~8개월, 길게는 1년 가까이가 소요된다고 한다. 제도적 대응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니 결국 사람의 손으로 악플을 일일이 판별한 뒤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자와 플랫폼의 방침에 맡길 수밖에 없었다.

반면 AI 악플 대응 시스템은 인력 5명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시스템에 악플 데이터를 모아 학습시키면 추후 수집된 텍스트에 대해 AI가 1차 판별을 진행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사람이 악플 여부를 판단하지만 시스템의 정확도는 89~91%에 육박할 만큼 정밀하다. 텍스트뿐 아니라 동영상에 대해서도 AI가 특정 구간이 ‘허위 사실’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시스템을 통해 악플의 정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5·18 민주화 운동의 경우 2023년 597건이던 악플 감지 건수는 지난해 1728건으로 크게 높아졌다. ‘소년이 온다’를 쓴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탄 지난해 10월에도 악플 건수가 치솟았다.

이후 지난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탄핵 반대 세력이 집결되면서 올 2월 한 달에만 696건에 달하는 악플이 게시됐다. 지난 한 해 동안 달린 악플 건수의 40%가 2월에 집중적으로 쏠린 것이다. 업체 측은 “국내 정치의 불안정성의 영향을 받아 유튜브 악성 게시물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내란’ 등 특정 키워드의 언급도 늘었다.

과거사 재단 측은 악플 대응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늘어나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5·18기념재단 측은 “왜곡·폄하 게시물은 일반 시민들과 당사자·유가족에게 2차 피해를 준다”면서 “지난해 5·18 민주화 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도 국가가 왜곡에 대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보고서에서) 언급했지만 실제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특히 제주 4·3은 특별법 내 사실 왜곡·폄하에 대한 형사처벌 조항도 없는 상황이다. 업체 측은 “AI가 수집한 악플 데이터로 처벌 강화를 위한 구체적 근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36 섬세한 감정평가, 상속세 절세의 시작[박효정의 똑똑한 감정평가] 랭크뉴스 2025.04.19
45935 '尹 지지' 김흥국, 나경원 캠프에…공동조직총괄본부장엔 정양석 랭크뉴스 2025.04.19
45934 "코로나19, 중국 실험실이 만들었다"...백악관 홈페이지 게재 랭크뉴스 2025.04.19
45933 나경원 "윤 전 대통령에게 덕 본 사람은 한동훈‥저는 구박만" 랭크뉴스 2025.04.19
45932 "오늘부터 당장 '빠르게' 걸어야겠네"…심장 부정맥 위험 '확' 낮춘다 랭크뉴스 2025.04.19
45931 국힘, 첫 경선 토론‥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랭크뉴스 2025.04.19
45930 흑인 배우들은 어떻게 ‘할리우드 바늘구멍’을 통과했나 [주말 뭐 볼까 OTT] 랭크뉴스 2025.04.19
45929 ‘판’ 커진 대선… 사법지형도 차기 정부에 달렸다 랭크뉴스 2025.04.19
45928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밤샘 조사받고 귀가 랭크뉴스 2025.04.19
45927 정보라, 세계 3대 SF상 ‘필립K딕’상 불발 랭크뉴스 2025.04.19
45926 한동훈 "4·19혁명, 필요한 건 '공수교대' 아닌 '시대교체'라 말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19
45925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자 1차 토론회 랭크뉴스 2025.04.19
45924 손동작 4개로 '계엄' 말했다…尹탄핵 그 순간 알린 통역사들 랭크뉴스 2025.04.19
45923 "대공황 사태 날까 걱정"…파월 압박하지만 떨고 있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19
45922 정치권 "4·19 정신 계승" 한목소리…'민주주의 위기' 책임 공방 랭크뉴스 2025.04.19
45921 [르포]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어디까지 왔나… 마라톤 하프코스 완주 성공 랭크뉴스 2025.04.19
45920 백악관, 홈페이지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이 만들었다” 랭크뉴스 2025.04.19
45919 "실면적이 다르잖아"…매도인 찾아가 낭심 잡고 골프채 난동 랭크뉴스 2025.04.19
45918 “윤석열 탄핵 판결문 필사 해야지”…한국인은 왜 ‘베껴’ 쓰는가 [.txt] 랭크뉴스 2025.04.19
45917 한덕수 “4·19 혁명 정신 지키자”면서 ‘12.3 내란’은 언급도 안 해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