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루 한번 먹는 오포글리프론 임상 3상 발표
앞서 암젠, 화이자는 먹는 비만약 임상 중단
먹는 약도 릴리, 노보 노디스크 양강 구도 예상

데이비드 릭스 일라이 릴리 CEO./일라이 릴리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하루 한번 먹는 비만 치료제가 임상 3상 시험에서 성공했다고 17일(현지 시각) 밝혔다. 현재 비만 치료제는 모두 주사제이다. 앞서 미국 제약사 암젠과 화이자가 잇달아 먹는 비만약의 임상시험을 진행하다 부작용이 나타나 중단을 선언한 만큼, 일라이 릴리가 먹는 비만약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커졌다.

일라이 릴리는 이날 경구용 당뇨·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 시험 결과, 36㎎ 용량 약을 하루 한 번 먹은 참여자들이 9개월 동안 평균 7.3kg 체중을 감량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 3상 시험은 미국괴 중국·인도·일본·멕시코에서 제2형 성인 당뇨병을 앓고 있는 비만 환자 559명을 대상으로 40주간 진행됐다. 회사는 이번 임상 3상은 이 약의 안전성과 내약성, 혈당 조절, 체중 감량 측면에서 기대치를 충족했다고 밝혔다. 안전성과 함께 체중을 줄이고 혈당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확인했다는 얘기다.

발표에 따르면, 3㎎, 12㎎, 36㎎ 복용군 모두에서 혈당이 1.2~1.5% 감소했고, 체중은 각각 평균 4.5%, 5.8%, 7.6% 줄었다. 회사는 “일부 참가자의 경우 혈당 수치가 당뇨병 기준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다”고 밝혔다. 다만 고용량인 36mg을 투약한 환자의 8%는 부작용이 나타나 임상시험에서 중도 탈락했다고 보고했다.

현재 세계 비만 치료제 시장은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와 미국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티르제파타이드) 양강 구도다. 두 회사 제품 모두 소화 속도를 늦춰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주사제다. 주사제는 환자가 직접 일주일에 한 번 주사를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라이릴리 비만 치료 주사제 젭바운드(한국 제품명 마운자로). /일라이 릴리

릴리가 개발한 오포글리프론 역시 GLP1 계열 약물인데, 주사제가 아닌 알약 형태로 하루 한 번 복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먹는 비만약을 개발하면 환자 편의성이 커져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주사형 치료제에 비해 대량 생산이 용이해 약값도 낮출 수 있다. 기존 비만약 펜 주사기는 일반 주사기보다 단가가 10배 이상 높다. 데이비드 릭스(David Ricks) 일라이 릴리 CEO는 “오포글리프론은 하루 한 번 복용하는 편리한 알약으로, 승인된다면 대규모 생산과 전 세계적 보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라이 릴리는 이번 오포글리프론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안에 비만약 승인 신청을 먼저하고, 내년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도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보 노디스크도 먹는 GLP-1 계열 리벨서스를 개발해 임상 3상 시험에 성공했지만, 당뇨병 치료제로만 허가를 받은 상태다.

시장에선 먹는 비만약 시장 역시 노보 노디스크의 리벨러스와 일라이 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의 경쟁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포글리플론의 경쟁약물이 리벨서스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 증시에서 일라이 릴리 주가는 전일 대비 14% 오른 반면 노보 노디스크의 주가는 7% 빠졌다. 시장은 릴리가 먹는 비만약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것이다.

나비드 사타르(Naveed Sattar) 영국 글래스고대 심대사질환 교수는 사이언스미디어센터에 “이번 결과는 매우 중요하다”며 “혈당을 낮추는 동시에 기존 당뇨병 치료제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체중까지 감량시키는 새로운 경구약이 나온다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미래에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론 아직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라이 릴리의 이번 임상 3상 시험 결과는 오는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며, 이후 학술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86 여수 섬마을서 복어 먹던 3명 신체 마비로 긴급이송…1명 위중 랭크뉴스 2025.04.19
46085 이재명, 충청 경선 88% 압도적 1위…김동연 2위 김경수 3위 랭크뉴스 2025.04.19
46084 전남 여수서 복어 독 중독된 3명 긴급이송 랭크뉴스 2025.04.19
46083 민가 오폭 한 달 만에…공군 공격기서 기관총·연료탱크 낙하 사고 랭크뉴스 2025.04.19
46082 "회사 나가면 최대 7억 준대"…신의 직장 뿌리치고 퇴사 신청하는 사람 '무려' 랭크뉴스 2025.04.19
46081 트럼프 집권 후 미국행 급감…3월 한국인 방문객 작년보다 15%↓ 랭크뉴스 2025.04.19
46080 식약처, ‘몽고간장 국’ 회수···발암가능물질 초과 검출 랭크뉴스 2025.04.19
46079 한동훈, 대선 캠프 후속 인선… 친한계 의원 17명 전진 배치 랭크뉴스 2025.04.19
46078 여수 섬마을서 복어 먹은 60대 3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4.19
46077 전광훈 "대선 출마‥윤 전 대통령 모셔올 것"‥파면에도 신당 논란까지 랭크뉴스 2025.04.19
46076 1168회 로또 1등 21억3600만원씩…당첨명당 13곳 어디 랭크뉴스 2025.04.19
46075 국민의힘도 첫 경선 토론‥'이재명'·'계엄 옹호' 놓고 설전 랭크뉴스 2025.04.19
46074 선관위에 '의문의 붉은 천'‥'외국인 5명' 이미 출국 랭크뉴스 2025.04.19
46073 [대선팩트체크] 김문수, 계엄 옹호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4.19
46072 '언론사 단전·단수' 이상민 18시간 밤샘조사‥'혐의 부인' 랭크뉴스 2025.04.19
46071 “테슬라, 주행거리계 조작해 무상 보증기간 단축” 소송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70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만들어졌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9 이재명 "일단 용산으로"‥김경수·김동연 "용산은 하루도 안 돼" 랭크뉴스 2025.04.19
46068 이재명 첫 경선 충청서 88% 득표‥'충청 아들' 앞세운 김동연 2위 랭크뉴스 2025.04.19
46067 콜드플레이 “우리 올 때마다 대통령이 없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