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한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열어뒀다. 1분기 수치가 연간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1%대 초반 성장률도 장담하기 어렵다. 한은은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다음 달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1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 방향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하기로 했다. 물가나 경기 상황만 보면 금리를 낮추는 게 맞지만 한은은 ‘일단 멈춤’을 선택했다. 최근 달러당 원화가치가 큰 폭으로 오르내리는 등 변동성이 커졌고,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지정 여파에 따른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결정은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찬성했다. 신성환 금통위원은 0.25%포인트 인하해 경기 둔화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냈다.

한은은 5월 수정 경제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중간평가 성격의 경제 진단을 내놨다. 한은은 이날 경제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1분기 성장률(전기 대비)은 2월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 근거로는 12·3 비상계엄 이후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예상보다 장기화했고, 미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로 경제 심리 회복이 지연됐다는 점을 들었다. 여기에 3월 대형 산불,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 일시적 요인도 경기 하방 위험을 키웠다.



이창용 “미 관세로 어두운 터널”올 성장률 1.2% 그칠수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열린 통화정책 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은은 이날 기준금리(연 2.75%)를 동결했다. [뉴스1]
1분기 일시적 침체 후 2분기에 반등할 가능성도 현재로선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은 미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상품수지가 축소되고, 상품교역 감소로 운송수지 흑자가 줄면서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2월 전망치인 750억 달러를 하회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2월 전망은 너무 낙관적이었다”면서 “1분기 성장 부진을 고려하면 올해 성장률도 지난 2월 전망치인 1.5%를 하회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1분기 성장률이 -0.1%고, 올해 내내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성장률 전망치도 0.3%포인트 하향 조정한 1.2%에 그칠 수 있다”면서도 “관세정책의 영향 등 불확실성이 매우 커서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

주요 전망 기관도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낮추고 있다. 이 총재는 “다음 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할 한국 성장률 전망치도 상당 폭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

김주원 기자
이처럼 경기 하강 신호가 뚜렷한데도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건 여전히 경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데다 환율 변동성도 심화하는 추세라서다. 이 총재는 “미 관세정책 변화 이후 한국 경제가 어두운 터널로 확 들어온 느낌”이라며 “(금리 인하) 스피드를 조정하면서 밝아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음 주부터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본격화하는 만큼 이를 지켜본 후 대응하겠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물가 재상승 우려에 미국의 금리 인하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점도 금리 인하에 걸림돌이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16일(현지시간) “관세는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물가 안정을 위한 금리 동결에 더 무게를 둘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현재 최대 1.75%포인트로, 더 벌어질 경우 외국인 자금 유출이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

다만 5월에는 한은이 하향 조정한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으면서 금리를 인하할 수밖에 없을 거란 관측이 우세하다. 금통위원 6명 모두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처럼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선 금리 인하 시그널을 주는 것만으로 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며 “환율 변동성이 완화한다면 1400원대의 다소 높은 수준이 유지되더라도 감내하면서 금리 인하로 경기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41 광주 광산구 도로에 소형 싱크홀…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9
45940 부르고뉴 와인은 다 비싸다?…편견을 깨면 보인다, 부르고뉴의 숨은 보석들 랭크뉴스 2025.04.19
45939 선관위에 ‘붉은 천’ 누가 파묻었나 조사했더니…경찰 “이미 출국한 외국인” 랭크뉴스 2025.04.19
45938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이상민, 밤샘 조사받고 귀가 랭크뉴스 2025.04.19
45937 정보라 ‘너의 유토피아’ 필립 K.딕상 수상 불발 랭크뉴스 2025.04.19
45936 섬세한 감정평가, 상속세 절세의 시작[박효정의 똑똑한 감정평가] 랭크뉴스 2025.04.19
45935 '尹 지지' 김흥국, 나경원 캠프에…공동조직총괄본부장엔 정양석 랭크뉴스 2025.04.19
45934 "코로나19, 중국 실험실이 만들었다"...백악관 홈페이지 게재 랭크뉴스 2025.04.19
45933 나경원 "윤 전 대통령에게 덕 본 사람은 한동훈‥저는 구박만" 랭크뉴스 2025.04.19
45932 "오늘부터 당장 '빠르게' 걸어야겠네"…심장 부정맥 위험 '확' 낮춘다 랭크뉴스 2025.04.19
45931 국힘, 첫 경선 토론‥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랭크뉴스 2025.04.19
45930 흑인 배우들은 어떻게 ‘할리우드 바늘구멍’을 통과했나 [주말 뭐 볼까 OTT] 랭크뉴스 2025.04.19
45929 ‘판’ 커진 대선… 사법지형도 차기 정부에 달렸다 랭크뉴스 2025.04.19
45928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밤샘 조사받고 귀가 랭크뉴스 2025.04.19
45927 정보라, 세계 3대 SF상 ‘필립K딕’상 불발 랭크뉴스 2025.04.19
45926 한동훈 "4·19혁명, 필요한 건 '공수교대' 아닌 '시대교체'라 말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19
45925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자 1차 토론회 랭크뉴스 2025.04.19
45924 손동작 4개로 '계엄' 말했다…尹탄핵 그 순간 알린 통역사들 랭크뉴스 2025.04.19
45923 "대공황 사태 날까 걱정"…파월 압박하지만 떨고 있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19
45922 정치권 "4·19 정신 계승" 한목소리…'민주주의 위기' 책임 공방 랭크뉴스 2025.04.19